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상견례 자리에서 만나 절대 해서는 안될 말은?

상견례 자리에서 만나 절대 해서는 안될 말은? 요즘 결혼도 많이 하고 상견례도 많이 하는 시기죠. 그래서 오늘은 결혼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상견례. 양가 어른들이 처음으로 서로 만나 결혼을 공식화하는 자리 상견례 예절중에서도 절대 해서는 안되는 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결혼을 준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자리라고 하면 양가 부모님을 함께 모시고 이야기하는 상견례 자리일 거예요. 양가 어른을 모두 배려해서 약속을 잡고, 어느 한쪽도 어려워하지 않도록 상대방 부모를 챙겨야 좋은 만남이 될 수 있답니다. 자식 입장에서는 어른들끼리 친분이 없고, 또 어떤 대화가 오갈지 몰라 더 긴장되기 마련이에요. 부모 입장에서는 자식이 누군가에게 타인이 되는 신기한 행사고, 혹여나 자기 자식이 책 잡히..

아내를 호칭하는 형처(荊妻), 남에게 자기아내를 말할때 쓰는말, 남의 부인을 호칭할때 쓰는 말은?

아내를 호칭하는 형처(荊妻), 남에게 자기아내를 말할때 쓰는말, 남의 부인을 호칭할때 쓰는 말은? 여러분 혹시 다른 사람에게 내 가족을 소개하는 말로 荊妻(형처)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그럼 내자(內者)나 안사람이라는 말은 아시겠죠. 바로 자기의 아내를 남에게 소개할 때 쓰는 말인데요 오늘은 이 荊妻(형처)라는 말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내를 호칭하는 형처(荊妻), 남에게 자기아내를 말할때 쓰는말, 남의 부인을 호칭할때 쓰는 말은? 먼저 荊妻(형처)라는 말을 네이버에서 한번 검색해 보았는데요 형처라는 의미는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로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고 정의하고 있네요 한자로 ..

동성동본간 결혼이 허용되는 경우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동성동본간 결혼이 허용되는 경우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여러분 사랑에는 국경이 없다고들 하지만 국경은 없지만 집안의 경계는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동성동본 결혼이 허용되는 경우와 허용되지 않는 경우를 알아보고요, 처제와는 결혼을 할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고 하여 동성동본간의 결혼은 금지되어왔죠? 왜 그랬을까요? 동성동본간 결혼하면 아이를 낳을 때 기형아 낳을 확률이 높아서 그렇다는 말도 있죠. 정말 무엇때문이었는지 알아볼까요 실제로 이 기형아 발생확률이라는것도 의학적으로는 노산인 산모가 기형아 출산한 확률과 비슷하기때문에 명백한 이유가 되는지도 의문입니다 ​근친혼의 금지는 예로부터 많은 민족에게 널리 인정되어온 것이 원칙이며 오늘날은 우생학적(優生..

경상도 아저씨들의 특징, 전라도 아저씨들의 특징은?

경상도 아저씨들의 특징, 전라도 아저씨들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옛날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역에 따라 문화도 약간씩 다르고 쓰는말도 약간씩 달라 지역별로 사투리가 있죠. 그런데 경상도등의 아저씨들도 약간씩 특징이 있다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경상도 아저씨들의 특징, 전라도 아저씨들의 특징은? 여러분! 경상도, 전라도 이런말 들으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언뜻 아마 정치적으로 생각을 많이 하실겁니다. 그러나 어느도를 막론하고 다 대한민국이요. 한 국민입니다 그래서 오늘 제사 말씀드릴내용은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것은 전혀 아니고요,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는 사람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경상도입니다. 경상도 아저씨들 과연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경상도 사람들..

교회당(예배당)의 십자가와 촛불에 대한 진실은?

교회당(예배당)의 십자가와 촛불에 대한 진실은? 지금까지 이 블로그에서 제사에 관해 여러번 올렸는데요. 이 채널이 종교와 관련된 곳은 아니지만 약간 제사가 불교관련방송이 많이 된것같아 오늘은 기독교와 관련되는 내용으로 교회당의 십자가와 촛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교회당(예배당)의 십자가와 촛불에 대한 진실은? 여러분! 교회당에 가면 교회당의 제단 위에 십자가를 걸어놓잖아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물론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할수 있지만요.. 의견을 달리하시는 분은 보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교회당 내 강단에는 구약시대 희생제사와 유대교의 설교전승,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으심과 부활을 기념하는 기독교전승이 함축되어 있고요. 제단은 구약시대 희생제사의 유산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구약시대에는 제단에 희..

다른사람을 부르는 쓰는 부름말(호칭)과 걸림말(지칭)의 올바른 사용법!

다른사람을 부르는 쓰는 부름말(호칭)과 걸림말(지칭)의 올바른 사용법! 오늘은 우리가 다른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부름말과 지칭할 때 쓰는 걸림말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부름말과 걸림말을 사용할때 금기사항도 같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 배달겨레의 가정언어에는 부름말(호칭)과 걸림말(지칭)이 엄격히 구별되어 있다는 사실 아세요? 의미 그대로 부르는 호칭을 말하는 부름말과 두 사람 사이에 걸림이 있을 경우 그 걸림을 나타내는 말, 즉 걸림말이 있는데요 다른사람을 부르는 쓰는 부름말(호칭)과 걸림말(지칭)의 올바른 사용법! 먼저 부름말입니다. 우리가 쉽게 말해 호칭이라는 것이죠 국어사전에도 보면 사람이나 사물을 부르는 말로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언니, 동생 따위가 있다고 정의하고 있..

제사 축문에 나오는 유세차(維歲次)의 숨겨진 비밀, 유우~를 길게하는 이유?

제사 축문에 나오는 유세차(維歲次)의 숨겨진 비밀, 유우~를 길게하는 이유? 오늘은 섬네일에서도 보셨듯이 우리가 제사 축문을 쓸 때 나오는 '유세차(維歲次)', 이 유세차의 의미와 숨겨진 비밀, 그리고 왜 연호를 삽입하지 않고 그냥 유우하고 길게 읽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속에서 그 흔적을 발견하기 어렵지만, 그래서 더욱 뜻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요. 이 블로그를 보시는 여러분들은 '유세차(維歲次)'라는 단어를 들으시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사때 자주 들어보기는 하지만 이 성어에 대해 잘 모르실 것 같습니다만, 그 정확한 뜻과 의미를 알게 된다면, 우리의 삶과 관련된 중요한 가치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유..

장례식장에서 부모님, 배우자, 자식이 사망했을때 맞는 인삿말?

장례식장에서 부모님, 배우자, 자식이 사망했을때 맞는 인삿말? 오늘은 장례식장을 방문했을때의 예절중 지금까지 알아보지 않았던 문상인삿말과 상제가 조문을 받을 때 예절, 장례후의 인사나 뒤처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살다보면 젊었을 적이나 갓 결혼하였을때는 결혼식이나 돌잔치등에 많이 참석하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지인의 부모님등 장례식장을 많이 방문하게 되는데요. 장례식장에서 부모님, 배우자, 자식이 사망했을때 맞는 인삿말? 오늘은 전에 소개한 장례식장 예절에서 대충 설명하거나 빠진 부분 즉, 상제와의 관계에 따라 문상 인사말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장례후의 인사나 뒤처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친지나 지인의 장례식장을 방문하면 인사말을 하게 되는데요. 우선 유족에게 너무많은 말을..

회갑, 칠순, 팔순, 희수, 미수, 회혼례등 수연의 종류와 의미?

회갑, 칠순, 팔순, 희수, 미수, 회혼례등 수연의 종류와 의미? 오늘은 오래살았다는 장수를 축하하는 생일잔치인 수연(壽宴), 수연예(壽宴禮)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모든 분야에는 예절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장례식장 예절, 결혼식장 예절, 사돈간의 예절, 직장 예절, 사회생활예절등 다양한 예절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장수를 축하하는 생일잔치인 수연(壽宴), 수연례(壽宴禮)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지켜야 하는 예절은 어떠한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회갑, 칠순, 팔순, 희수, 미수, 회혼례등 수연의 종류와 의미? 장수를 축하하는 생일잔치인 수연(壽宴)은 보통 환갑잔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요즘에 와서는 환갑은 너무 이르고 칠순, 팔순, 구순이나 희수, 미수, 백수, ..

자식이나 동생이 먼저죽거나 장례식장 상주가 손아래면 절을 해야하나?

자식이나 동생이 먼저죽거나 장례식장 상주가 손아래면 절을 해야하나? 우리가 살아가면서 모든게 순리대로, 순서대로 되지는 앉죠? 그래서 옛 어르신들이 태어나는 순서는 있지만 죽는 순서는 없다는 말을 많이 하시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참으로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자식이 먼저 죽는 경우나 동생이 먼저죽는 경우 과연 장례식이나 제사때 절을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식이나 동생이 먼저죽거나 장례식장 상주가 손아래면 절을 해야하나? 요즘은 100세인생이라고 하죠? 그래서 사고나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대부분 오래살게 되는데요? 그러나 한번씩 뉴스를 보면 교통사고나 살인사건으로 인해 젊은나이에, 심지어 어린애가 사망을 하여 부모가 영안실에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죠 이럴때는 정말 정신이 없죠. 그래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