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윤달이나 음력그믐이 30일 제사나 생일일 경우 그믐날이 29일이라면 생일이나 제사는?

윤달이나 음력그믐이 30일 제사나 생일일 경우 그믐날이 29일이라면 생일이나 제사는? 여러분 이 채널에서 제사에 관한 글을 올렸는데 어떤 분이 윤달에 돌아가시면 제사를 어떻게 지내야 하는가라는 제례에 대한 질문을 해 주셨습니다. 또 음력 그믐날인 30일이 제사인 경우 29일까지 밖에 없는 해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물론 생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음력으로 하면 윤달이나 그믐날, 마지막날. 예를 들어 1월 30일날이 기제사나 생일이 있을 경우 다음 30일이 없는 해의 기제사나 생일이 난감하겠죠 다음해 같은 윤달은 거의 없다는 건 아실테구요. 그믐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윤달이 아니더라도 같은달 그믐날이 29일인경우도 있고 30일인 경우도 있답니다. 참고로 음력 1월을 한번보면 2020년은 30..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 및 꼭 지켜야 할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 및 꼭 지켜야 할 장례식장 예절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다 경험을 하는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와 금기사항등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누군가 돌아가셨다는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알리는 글을 부고(訃告)라고 하죠 이 부고에는 보통 고인이 돌아가신 날짜와 발인, 상주등 유가족들이 적혀 있는데요 예전에는 주로 부고장을 보냈으나 요즘은 세월에 따라 문자나 카톡, 아니면 다른 SNS로 대신하게 됩니다 그런데 부고장을 받으면 친분관계 때문에 빨리갈수록 좋다는 생각도 많이 하는데요 너무빨리 문상을 가는 것은 예의가 아니랍니다. 돌아가실걸 미리 예상한게 아니라서 상주가 정신도 없고, 문상객 받을 준비도 안되어 있기 때문이죠. 물론 가까운 일가친적은 빨리 가봐야되지만 일..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여러분 우리들에게 명절은 주로 봄, 가을, 겨울에 있지만 무더운 여름에는 잘 없죠 그러나 우리선조들은 여름철 명절로 유두절이란 명절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유두절의 의미와 유두절 행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유두절(流頭節)이란 말의 유래부터 한번 알아볼까요? 흐를 유(流)에 머리 두(頭)를 써서 '동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 동류두목욕! 이 뜻을 풀이하자면 '동쪽에서 흘러오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 뜻으로 해석되는데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여 좋지 못한 일을 제거한다고 믿었다고 하는데요. ​동류수에 머리를 감는 이유는..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우리가 보통 제사를 지낼 때 남자들만 제사에 참례하는 것으로 알고 있죠 그러나 실제로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고 예기나 주자가례에도 부부가 함께 올린다고 하는데 과연 여자는 제사에 참여하는지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오늘날 우리들이 보통 지내는 일반 가정의 제사에서는 여성들은 거의 참례를 하지 않고 있죠. 대부분의 가정에서 여성이 제사에 참례하지 않은 것은 무엇보다도 조선시대의 엄격한 내외법 즉 남녀유별 사상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제수(祭羞)에 대한 문화적 지식은 성별에 따라 다른데, 제사음식을 만들고 괴는 과정은 여성이 담당하는반면에 남성은 제사상을 진설하고 의례를 지낸답니다.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

호칭 총정리/가족,시가,처가,외가,이모,고모,사돈등 분야별!

호칭 총정리/가족,시가,처가,외가,이모,고모,사돈등 분야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우리가족을 비롯하여 고모나 이모, 시댁, 처가, 외갓집, 사돈집등의 사람들을 호칭할 때 어려움이 많이 있다고 하죠 제가 분야별로 몇차례 올린적이 있는데요. 시청하신분들이 분야별로 도표를 만들어 설명을 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하여 오늘은 분야별로 도표를 만들어 알아보고자 하니 끝까지 봐 주시고 구독도 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우리가 하는 “말은 그 사람의 인격을 대변한다”는 말 들어보셨죠. 이말은 그 사람이 하는 말의 질(質)이 그 사람의 됨됨이를 나타내는 것이구요 “세치의 혀는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한다”는 말이나, “혀는 강철은 아니나 사람을 밴다”는 말들은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끼치는 여러 가지 영향을 뜻하는 것으..

축! 결혼과 축! 화혼을 쓸때는 달라.. 아무렇게나 쓰면 안돼~

축! 결혼과 축! 화혼을 쓸때는 달라.. 아무렇게나 쓰면 안돼~ 요즘에 와서 몇년동안 코로나로 인해 미뤄왔던 청춘남녀들이 짝을 만나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는 일들이 많이 있죠 축! 결혼과 축! 화혼을 쓸때는 달라.. 아무렇게나 쓰면 안돼~ 그런데 우리가 결혼식에서 부조할 때 보면 봉투에 '축 결혼(祝 結婚)' '축 화혼(祝 華婚)' 축 혼인 (祝 婚姻)등의 글을 쓰고 있잖아요. 그렇다면 이러한 결혼이나 화혼, 혼인등의 같은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이나 나이먹은 사람들께서 화혼은 여자결혼에 또 결혼은 남자결혼에 사용한다고 말을 많이 들어 보셨죠?. 사실일까요 결혼은 신랑에게, 화혼은 신부에게 즉 남과 여를 구분한다는 말은 터무니없는 말입니다. 언제 부터 그런 말들이 생겨났는지 모르겠..

고명딸과 외동딸 차이점, 청첩장에 장남, 장녀라 표기하면 안되는 경우~

고명딸과 외동딸 차이점, 청첩장에 장남, 장녀라 표기하면 안되는 경우~ 여러분 혹시 딸을 두고 고명딸이란 말씀 들어보셨죠? 고명딸이란 말은 딸이 하나밖에 없을 때 이딸을 두고 하는 말인데요. 여기서 햇갈리는 것은 바로 고명딸과 외동딸인데요. 오늘은 이 외동딸과 고명딸의 차이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요 끝부분에서는 우리가 청첩장등을 보낼 때 장남이나 장녀라도 잘못표기하는경우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명딸과 외동딸 차이점, 청첩장에 장남, 장녀라 표기하면 안되는 경우~ 먼저 고명딸이란 말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 유래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고명딸이란 말은 어디서 왔을까요? '고명+딸'이 합쳐진 합성어로 음식에 얹는 고명과 딸을 합쳐서 나온 의미라는 건 아시겠죠 그렇다면 왜 고명이라는 단어를..

장인,장모의 지방과 축문을 쓰는 방법은?

장인,장모의 지방과 축문을 쓰는 방법은? 요즘은 많이 달아졌지만 우리민족은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의 관습에는 "남의 조상은 섬기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나와 성씨가 다른 집안의 조상은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는 것이라고도 할수 있죠 이 말대로 한다면 사위는 장인 및 장모의 제사를 지낼 수 없는 것이죠 그래서 예법에도 보면 처부모(妻父母)가 모두 사망하였을 때 친자손(親子孫)이나 친척(親戚)에서 입후(立後)하여 대(代)를 이을 후자가 전무하다면 외손(外孫)이 봉사(奉祀)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외손도 무(無)하다면 서(壻)는 처부모(妻父母) 제사(祭祀)에 주제자(主祭者)가 될 수 없고 여식(女息)인 부인(夫人)이 무축단헌(無祝單獻)의 예(禮)로 마치게 한다 이렇게 되어 있답니다 즉, 아들..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 그 내용과 차이점은?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 그 내용과 차이점은? 요즘 뉴스에 보면 우리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뉴스가 바로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이라는 걸 알수 있는데 오늘은 이러한 국회의원의 불체포 특권과 면책특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 그 내용과 차이점은? 최근 정치인들에게 불신을 보내는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국회의원의 수많은 특권들인데요. 먼저 이렇게 비난받는 국회의원 불체포특권에 대해 알아볼까요 대한민국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은 대한민국 헌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인정되고 있는데요. 헌법 44조를 한번 볼까요 이는 국회의원이 직무 수행 중 불특정 다수의 국민이나 국가기관 등의 체포, 구속, 압수, 수색 등을 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이죠. ​국..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오늘은 우리가 제사를 지낼 때 준비를 하는 지방, 이 지방의 의의와 쓰는 법, 우리가 많이 쓰는 부모님지방을 비롯하여, 조부모, 형, 형수, 동생 그리고 남편이나 아내, 또 있어서는 안될 자식의 지방쓰는 법까지 모두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여러분 부모님이 돌아가신날이나 추석, 설 같은 명절이 돌아오면 고민되는 일들이 많죠. 물론 제사 음식준비도 힘드시지만 제사를 지내는 절차나 지방쓰는 법을 몰라 고민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이 이런 지방을 잘 못쓰죠. 그래서 컴퓨터로 프린트도 해 사용한답니다. 물론 지방을 직접 쓸줄아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그 지방의 의미까지 알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