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속담 22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우리 옛말에 言顧行行顧言(언고행 행고언)이란 말이 있습니다말과 행동에 괴리가 있다면 최소한 둘 중 하나는 잘못된 것이고 말과 행동의 일치 여부는 인격의 가장 중요한 척도입니다.  "군자는 말이 행동보다 앞서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라는 공자의 말씀도 있습니다.  말은 높게하고 행동은 낮은것이 인격의 가장 아랫단계입니다. 현명한 자는 행동이 높더라도 말은 낮게 합니다.   행동이 말에 미치지 못할까 두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할 때 나의 말이 나의 행동과 부합 하는가를 늘 살펴야 하고, 행동할 때 나의 행동이 내가 한 말과 부합하는가를 늘 살펴야 합니다.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  특히 나의 말이 ..

사자성어! 마부위침(磨斧爲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

사자성어! 마부위침(磨斧爲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갈 마(石/11) 도끼 부(斤/4) 하 위(爪/8) 바늘 침(金/2)]​격언이 되는 성어 중에 도끼 갈아 바늘 만들기란 이 말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데요‘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나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는속담을 어릴 때부터 들어왔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랍니다.쇠로 된 도끼를 갈아(磨斧) 바늘을 만든다(爲針)고 말하면 어느 세월에? 라고 하지만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는 가르침이랍니다. ​이처럼 차근차근 이뤄나가야 한다는 이 말의 연원을 보면 좀 의외이구요중국 唐(당)나라 때 詩仙(시선)으로 불린 李白(이백, 701~762)이 등장하기 때문이랍니다.이백은 자유분방한 방랑자의 인상이 강해꾸준히 한 우물..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간다는 우보천리(牛步千里) 의미와 유래!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간다는 우보천리(牛步千里) 의미와 유래!요즘 정치인들 하는걸 보면 무엇이 생각나나요? 탄핵은 밥먹듯이 하고 우리 국민을 위해 신중하고 차분하게 처리하지 않고 마음대로 즉흥적으로 서둘러서 판단하는걸 보고 정말 걱정이 앞섭니다그래서 오늘은 서두르지 말고 차분하게 처리하라는 말에서 나온 사자성어 우보천리(牛步千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牛步千里(우보천리)라는 말이 있는거 아시죠, 한자로는 이렇게 쓰죠. 소우, 걸음보, 일천천, 마을리자 인데요 이 사자성어는 소의 걸음으로 천 리를 간다는 뜻이지요. 급하게 서두르면 일을 망치기 쉽다는 의미입니다. 네이버를 한번 검색해 볼까요 네이버를 검색해봐도 소의 걸음으로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서두르지 않고 일을 처리함을 이르는 말이라고..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의 유래와 그 의미?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의 유래와 그 의미?여러분! 오늘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라는 의미로나 또, 어떤 사실이 말하는 사람의 뜻에 따라 이렇게도 해석되고 저렇게도 해석되는 경우를 말할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죠 바로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이란 고사성어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의 유래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耳懸鈴鼻懸鈴! 먼저 한문 고사성어니까 한글자 한글자를 한자로 한번 풀이해 볼까요耳(이): 귀, 청각 기관의 일부를 나타내며, 소리와 관련된 의미를 가집니다. 懸(현): 매달리다, 달다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무엇을 떠올리거나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뜻합니다. 鈴(령): 종, 방울, 소리와 관련..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의 의미와 유래, 유사한 성어는?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의 의미와 유래, 유사한 성어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할것없이 남자들끼리 말할 때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죠. 그래서 오늘은 이말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이와 유사한 성어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약속이란 인간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구실을 하게되죠. 그 중에서도 한 마디의 약속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강조하는 성어,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에 대해 알아볼까요? 이 성어는 남자라면 한마디의 말을 반드시 지키며, 약속을 가볍게 여기지 않아야 함을 전해온 가치관입니다. 과연 왜 이런 성어가 생겨났을까요?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의 의미와 유래, 유사한 성어는? 먼저 이 성어에 대하여 각 한자의 뜻을 한번 알아볼까요 男(남..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우리가 사람이 돌아가시면 가족들이 제사를 지내게 되죠. 물론 제사를 지내면 친척은 물론 동네 사람들도 다 알게 되구요 그러나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까마귀조차 모르게 조용히 지내는 제사가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이러한 까마귀도 모르는 제사, 일부지역에서는 가메기 모른 식게라고도 한다는데 이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여러분 제사에 대해서는 다 아시죠. 물론 지내는 사람도 있고 안지내는 사람도 있지만요 그런데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지내는 제사가 있다는건 들어보셨나요. 이를 ‘까마귀도 모르는 제사’ 라고 하는데요 일부지역에서는 까마귀 모른 식게, 가메기 모른 식게라고 한답니다. 물론 종교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

호가호위(狐假虎威), 의미와 민주당 최고의원의 엉터리 해석은 과연 어떻게 했나?

호가호위(狐假虎威), 의미와 민주당 최고의원의 엉터리 해석은 과연 어떻게 했나? 우리가 사용하는 사자성어중에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말로 권력자를 뒷배경으로 두고 앞에서 전횡하는 소인배나 간신을 지칭할 때 쓰는 말로 호가호위(狐假虎威)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오늘은 이 호가호위의 의미를 알아보고요. 청와대 대변인을 지냈고 중국어과를 나왔다는 사람도 햇갈리는 이말이 무엇과 혼돈되는지도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狐假虎威(호가호위) : 여우호, 거짓가, 범호, 위엄위 사전적 의미로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호기(豪氣)를 부린다.는 것인데요 다시 말하면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린다는 의미랍니다 먼저 호가호위라는 말이 유래된 경위를 알아보고 그 다음 민주당 최고의원인 고민정의원이 어떻게 ..

새해 덕담으로 좋은 사자성어와 센스있는 인사멘트는?

새해 덕담으로 좋은 사자성어와 센스있는 인사멘트는? 이제 2023년 계묘년, 지혜롭고 영리한 흑토끼의 해가 찾아왔습니다. 올 한해는 가정살림과 국가경제도 흑토끼처럼 도약하는 한해가 되시길 기원하면서 새해 인사말로 쓰면 좋은 사자성어와 센스있는 인사멘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새해 덕담으로 좋은 사자성어와 센스있는 인사멘트는? 어제아침 일출을 보시면서 모두가 소원은 빌어보셨나요 올해 칼랜더를 보니 설날도 22일로서 얼마남지 않았더라구요 그래서 아마 새해 기분은 올해 설날까지 쭉 이어질 것 같은데요 새해나 설날을 맞아 각종 행사나 지인들을 만나면 새해 덕담이나 인사를 하게되는데요 갑자기 덕담이나 인사말을 할려면 고민이 될 때가 있죠 이럴 때 사자성어나 센스있는 멘트 몇가지 알아두면 설날까지 써먹을수 있겠죠..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어르신들이 아무런 의지도 없이 되는대로 행동하는 모양이나 뒷짐지고 아무생각없이 있는 사람보고 어영부영하다고 말을 하죠. 그래서 오늘은 이 어영부영의 유래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우리나라 말은 참 재미있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그 정확한 뜻을 모르는 체 그냥 어디서 듣거나 또는 느낌으로 이야기 할 때도 많다고 하죠. 여러분 어영부영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그렇다면 도대체 어영부영이란 말을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아들! 시험이 내일 인데, 공부 안하니?" "지금까지 공부하다가 잠시 머리식히는 거라구" "그렇게 어영부영 시간보내다가 지난 번 처럼 또 시험 망칠려 그..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오늘은 우리가 한번씩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쓰는 한문 사자성어이든 한글이든 뛰어쓰기가 정말 중요한 경우가 많은데요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말을 뛰어쓰기를 잘못하면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말이 되잖아요 오늘 제가 말씀드린 내용도 바로 어떻게 뛰어서 쓰고 읽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이상하게 또는 버릇없이 말한다고 할수 있는 한문성어 한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옛날에 결혼도 못하고 모든게 잘 풀리지않는 노총각이 드디어 아리따운 여성을 만나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요 두사람 결혼식에서 주례선생님의 주례사중에 이런말이 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