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내일은 백로! 벌써 밤의 기온이 내려가 풀잎 등에 하얀 이슬이 맺힌데요

요즘 여름 장마철도 아닌데 비가 많이 내리고 있죠 올해 여름장마때에는 별로 비가 오지 않더니 오히려 가을장마에는 거의 매일 비가 내리고 있네요 이제 그만 좀 왔으면 좋은데 오늘 아침에도 또 소나기가 내렸네요 오늘은 24절기중의 15번째인 백로(白露)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내일이 벌써 백로이네요.. 여름의 더위에 맥을 못 추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입추, 처서를 지나 백로가 왔네요! 백로(白露)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9월 7일이나 8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든다는데요 그러니까 내일이 음력 팔월 초하루이죠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로서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라고 하죠 입추가 가을의 예고편라면 처서는 가을의 도입이라 할..

지방쓰는 법(조상,부모,형제, 배우자, 자식 등)과 그 지방의 의의

지방쓰는 법(조상,부모,형제, 배우자, 자식 등)과 그 지방의 의의 이제 얼마있지않으면 추석이 다가오는 데요. 추석이 되면 명절음식과 지방도 쓰죠 우리가 최소 1년에 3회(기제사, 설날, 추석)이상은 지방을 쓰게 되는데요? 지금까지 그랬지만 지방을 쓰지만 의미도 모르고 때론 컴퓨터로 출력도 했는데 그 지방쓰는 법과 의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 ​​ 1. 지방(紙榜)이란? 지방은 종이에 지방문(紙榜文)을 써서 만든 신주(神主)를 말하는데요. 과거에는 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기도 하였답니다. 사당은 조선시대에 발달하였는데, 먼저 양반층이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에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는데요. 비록 가난한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당시에는 집안 한구석에 간단하게나마 자리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