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성현 말씀, 구전어 59

세상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란 이유로 왕후가 된 정순왕후

세상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란 이유로 왕후가 된 정순왕후오늘은 세상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라고 하는데, 보릿고개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 유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여러분! 어렸을 때 할아버지 할머니로부터 보릿고개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죠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말씀하시는 보릿고개란, 지난 가을에 수확한 양식은 바닥이 나고, 보리는 미처 여물지 않은 5~6월(음력 4~5월), 농가생활에 식량사정이 매우 어려운 고비로 춘궁기(春窮期)를 말한다고 합니다. 또는 맥령기(麥嶺期)라고도 하죠그럼 네이버에서는 뭐라고 정의하고 있을까 한번 볼까요, 보릿고개란 햇보리가 나올 때까지의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으로, 묵은 곡식은 거의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아니하여 농촌의 식량 사정이 가장 어려운 때를 비유적..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의 의미와 유래~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의 의미와 유래~ 여러분! 혹시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짧은 기간이지만 깊은 인연을 강조할 때나 남녀가 만나 급속도로 진행될 때도 사용하는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남녀가 하룻밤을 만나 풋사랑을 나누고 실제로 만리장성을 쌓으러 간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주변에서 흔히들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을 한번씩 하거나 들어 보신적 있죠? 이말은 ​"만난 지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깊은 인연을 맺을 수 있다"는 뜻으로, 앞으로의 돈독한 친분관계를 바라거나 과시할 때 하는말로 이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원래의 어원은 전혀 다른 뜻으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바야흐로 이 이야기는 옛날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을 대로 거슬러 ..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말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다섯가지 복, 이 오복[五福]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복이 있다고 하는데, 그걸 우리는 오복이라 부르고 있죠. 그럼 오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먼저 네이버에 한번 물어볼까요. 오복 한국전통지식포탈(다섯가지 복을 이르는 용어임). 식색재명수(食色財名壽) 다섯가지이나, 이제마의 격치고에서는 기존의 오복과는 다르게 수(壽), 양심술(養心術), 호학서(好學書), 가산(家産), 행세(行世)의 오복을 말했음. 오복 (한시어사전) 사람이 누리는 5가지 복.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오늘은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아부지, 엄마가 보고싶다는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이야기를 소개할까 합니다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어느 시골에 사는 노파가 시골 논밭을 팔아 서울까지 대학을 보내고 똑똑하다는 며느리를 얻어 결혼을 시키고 서울에 집까지 마련해 주었다 며느리가 손자를 연년생으로 출산을 하여 육아가 힘드니까, 할배 할매가 큰 손자를 데려다가 초등학교까지 반듯하게 키워 서울로 돌려보냈다 자식이 키울때는 먹고 사는데 바빠서, 아부지, 어머니를 모시기에 바빠 언제 지나갔는지 몰랐지만 나이를 먹으니 그동안 못했던 짜릿한 사랑으로 금이야 옥이야 애지중지 키웠다 명절에 만나면 너무 이뻐서 끌어안고 뽀뽀를 하고 주머니 털어서 ..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오늘은 옛 성현들 말씀중에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알아야면장하지란 말에 대해서 그 유래와 의미를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옛날 세종대왕께서 처음 한글을 창제하실때는 우리나라 한글은 누구나 그 뜻을 똑 같이 이해하고 또, 누구가 보더라도 똑 같은 의미로 해석하고 그리고 누가 한글을 쓰더라도 똑 같이 쓰라고 한글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가운데 그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적지 않습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이 즐겨쓰는 말은 그렇다 치고 그 많은 말들 가운데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우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에 대한것부터 살펴보고자 합니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2024년은 윤년! 윤년과 윤달의 차이점 및 이때하면 좋은것?

2024년은 윤년! 윤년과 윤달의 차이점 및 이때하면 좋은것? 지난 2023년에는 윤달이 있었고 올해 2024년은 윤년이라고 하죠. 우리가 많이 들어온 윤달과 윤년의 의미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한번 한번 알아보고요. 윤년에 달라지는 것도 같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2024년 올해는 무슨해! 또는 무슨년이라고 하죠? 이 물음에 대해 대부분이 아마 갑진년! 청룡의 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러나 올해는 청룡의 해 갑진년이기도 하지만 4년마다 한번씩 돌아오는 윤년이기도 합니다 예로부터 우리조상들은 윤년이나 윤달, 손없는 날에는 이장이나 개장을 많이 한다고 하죠 요즘에 와서는 이장이나 개장을 하는 분들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수의를 준비하는 사람은 시골일수록 좀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인생성공을 위한 3금(禁),3례(禮),3식(食),3락(樂),8불문(不問),삶의다짐9가지는?

인생성공을 위한 3금(禁),3례(禮),3식(食),3락(樂),8불문(不問),삶의다짐9가지는? 오늘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성현들이 말씀하시는 인생성공을 위한 조건들... 삼금, 삼례, 삼식, 삼락과 육불문, 삶의 다짐 9가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고, 또한 출세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켜야 할 예절, 금지해야 할 것, 먹어야 할 것, 즐겨야할 것, 남에게 묻지말아야 할 것, 그리고 평소 다짐해야 할것등이 있는데요 인생성공을 위한 3금(禁),3례(禮),3식(食),3락(樂),8불문(不問),삶의다짐9가지는? 1. 삼식(三食) : 밥식, 삼식은 세가지를 먹어야 하는 것들인데요. ① 술입니다. 그러나 술을 먹되 과음은 하지말고 술을 마신후 운전은 절대하면 안되구요 ② 안주(按酒)입니..

구용구사(九容九思)! 몸과 마음가짐의 지표와 지혜를 더하는 방법~

구용구사(九容九思)! 몸과 마음가짐의 지표와 지혜를 더하는 방법~ 우리가 어르신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구용구사라는 말을 많이 들어왔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구용구사(九容九思)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요, 그 유래도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구용구사(九容九思)! 구용은, 일상생활에서 몸과 마음가짐을 어떻게 하는가를 이르는 지표고, 구사는 학문을 하고 지혜를 더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말로, ‘소학(小學)’ 등 각종 어린이 계발용 도서에 많이 인용돼 있습니다. 최근 들어 정치인이나 고위 공직자등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몸과 마음을 간수하지 않아 많은 실망감을 주는 사례가 매스콤에 오르내리고 있는데요. 어느 누구보다도 추상같은 몸가짐으로 모범을 보여야 함에도 오히려 사회의 지탄 대상이 되고 있어 안타깝기 그지없..

공자님께서 꼭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공자님께서 꼭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여러분 이 채널에서 제사에 관해 여러번 올린적이 있는데요. 요즘에 와서 제사를 지내야 한다 지내지 말아야 한다등 여러 가지 주장이 대두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최고의 성현이라고 말하는 공자님께서 조상에게 제사 지내라고 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공자님께서 꼭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중국관광을 하다보면 공자 고향인 중국 산동성 곡부를 찾는 중국관광객은 물론 다른 외국관광객들도 많은 사람들이 공자의 혼을 모시는 공묘(孔廟)에서 간단하게 제사 드리는 예를 갖춘다고 합니다 공자님은 전 세계적으로 그만큼 존경받는 분이니 당연히 예를 취하는 것이죠. 이곳에서 사람이 예를 갖추는 절차는 아주 간단하다고 합니다. 절을 세 번만 하면 되는데..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이란 성어의 어원과 유래~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이란 성어의 어원과 유래~ 여러분 우리가 무슨일을 할때는 정신을 한곳으로 모으면 안되는 것이 없다는 의미로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이란 성어를 많이 들어보고 또 사용하고 있죠 그래서 오늘은 이 말의 어원과 유래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 何事不成), 한 가지 일에 집중하면 못 이룰 일이 없다는 이말에 대한 의미는 다 알고 계시죠. 그러나 이말이 어떻게 유래했는지는 모르시겠죠 한자로 풀이해보면 정할정. 귀신신, 한일, 이를도, 어찌하, 일사, 아닐불, 이룰성인데요 도대체 이말은 어떻게 나왔을까요? 그 유래에 얽힌 이야기를 한번 알아볼까요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이란 성어의 어원과 유래~ 예전에 어느 한 선비가 과거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