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성현 말씀, 구전어 65

한잔하면서 외치는 건배사의 의미와 유행하는 건배사는?

한잔하면서 외치는 건배사의 의미와 유행하는 건배사는?여러분! 이제 곧 봄이 되면 누구할것없이 산악회를 비롯한 각종 모임이 많이 생기죠. 이럴때면 의례히 따라오는 것이 바로 술잔을 부딪히는 건배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건배의 어원과 의미, 요즘 건배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산악회에 가면 산에만 가는게 아니고 내려와서는 술을 한잔하죠모두 하산주 술잔을 높이 들어 '건배' 를 외치는 경우가 많으신데요. 그럼 오늘은 이 '건배' 라는 단어는 어떻게 유래가 됐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잔하면서 외치는 건배사의 의미와 유행하는 건배사는?그럼 먼저 건배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를 한번 알아볼까요건배. 1. 술잔의 술을 다 마셔 비움.2. 술좌석에서 서로 잔을 들어 축하하거나 건강 또는 행운을 비는 일. 건배를 ..

어느 고을의 불효장 이야기.. 지독한 어머니가 그만~

어느 고을의 불효장 이야기.. 지독한 어머니가 그만~옛날 어느 고을에 진대방과 진대원이란 아들 형제를 둔 홀어머니가 살았다. 큰아들 대방이를 결혼시켰는데, 얼마나 불량하였던지 술만 마시면 집에 들어와 세간을 마구 부수고 동생 대원이를 때리는 등 몹쓸 일을 다하였다.  대방이의 각시 역시 몽니가 이루 말할 수 없어서, 술 마시고 들어오는 남편에게“시어머니가 나를 박대하네. 시동생이 나를 구박하네.” 하며 남편을 꾀었다.  그러면 큰아들은 어머니한테 “이 망할 년이 우리 각시를 구박해! 이놈의 집, 막 때려 부숴야지.” 하며 부쉈다.  또 동생 대원이를 붙잡아 놓고는 “이 자식이 형수를 박대해? 이놈의 자식 죽어 봐라.” 하며 마구 때리고 구박했다.이렇게 하며 몇 년이 지나니 집안의 가산이 탕진될 지경에 이..

수능일을 앞두고 풍수학적으로 본 시험운을 높이는 방법?

수능일을 앞두고 풍수학적으로 본 시험운을 높이는 방법?여러분! 오는 14일이 2025학년도 수능일이죠? 이때가 되면 전국에 있는 기도도량에는 수능생을 둔 부모님들이 인산인해를 이루는 곳이죠. 특히 팔공산 갓바위에는 발 디딜틈이 없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수능일을 앞두고 풍수학으로 본 자녀의 시험운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수능일을 앞두고 풍수학적으로 본 시험운을 높이는 방법?여러분! 자식에게 이기는 부모가 없고 자식이 잘되기를 위해서 그 부모는 무엇이든지 다 한다고 합니다 특히 고3수능생을 앞둔 부모라면 지금쯤은 수능생에게 좋다면 지푸라기 하나라도 잡고 싶은 절박한 심정일겁니다 수능점수를 높이기위해서 선물을 주는 방법도 가지각색인데요. 엿을 비롯하여 떡이나 포크, 초콜릿등 방법도 다양하지..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 정말 하룻밤을 자고 만리장성을 쌓으러 간 사연~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 정말 하룻밤을 자고 만리장성을 쌓으러 간 사연~여러분! 혹시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짧은 기간이지만 깊은 인연을 강조할 때나 남녀가 만나 급속도로 진행될 때도 사용하는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남녀가 하룻밤을 만나 풋사랑을 나누고 실제로 만리장성을 쌓으러 간 사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여러분! 만리장성이라면 생각나는게 뭐가 있나요? 우선 중국 진시황이 쌓은 성을 생각할거구요. 그다음으로 남녀가 만나 하룻밤 거사를 치룬걸 보고 만리장성을 쌓았다는 말도 야담으로 많이 하시죠 그런데 이 말은 ​"만난 지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깊은 인연을 맺을 수 있다"는 뜻으로, 앞으로의 돈독한 친분관계를 바라거나 과시할 때 하는말로 이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젊은중과 이쁜처녀의 사랑에서 나온 십년공부도로아미타불의 유래와 의미!

젊은중과 이쁜처녀의 사랑에서 나온 십년공부도로아미타불의 유래와 의미!여러분! 우리가 살아가면서 쓰는 대화중에 한번씩 우리의 속담을 인용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속담중에 “십년공부(工夫) 도로(徒勞) 아미타불(阿彌陀佛)”이란 말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십년공부도로아미타불! 이말은 오랫동안 공(功)들여 해 온 일이 허사(虛事)가 되어버린 허무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할수 있죠.  특히 지금은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4년동안 준비한 것이 도로아미타불이 안되기 위해 경기순간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딱 어울리는 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젊은중과 이쁜처녀의 사랑에서 나온 십년공부도로아미타불의 유래와 의미!그런데 여러분! 우리나라 사람들은 오랫동안 불교를 믿어 왔기에 불교와 관련된..

의기(義妓) 또는 관기(官妓)로 불리는 기생이자 충절녀인 논개(論介)가 왜 촉석루에서 일본장수와 껴안고 춤을~

의기(義妓) 또는 관기(官妓)로 불리는 기생이자 충절녀인 논개(論介)가 왜 촉석루에서 일본장수와 껴안고 춤을~여러분! 우리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그때마다 기생의 역할이 큰 적도 있고 또, 충절녀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죠? 여러명이 있지만 기생이라면 황진이가 대표적이죠.. 충절녀는 논개와 평창에는 강소사(康召史)등이 있죠. 그래서 오늘은 조선시대 진주 의기(義妓) 또는 관기(官妓)로 불리는 기생이자 충절녀인 논개(論介)에 대해 출생과정과 그의 생애중 촉석루에 있었던 일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지금으로부터 4백여 년 전. 밤 여덟(時)시경 주진사(朱進士)내외는 저녁밥을 먹고 훗날의 살림꾸리기와 가정을 어떻게 이끌어 가야 할지 등을 다정하게 의논하고 있었습니다. 남편 주진사는 배가 남산만큼 부풀어..

밭둑 무너지는날! 이날 만나면 결혼하고 이날 같이하면 원하는 자녀를 낳는다~

밭둑 무너지는날! 이날 만나면 결혼하고 이날 같이하면 원하는 자녀를 낳는다~여러분! 혹시 남녀가 만나는날, 남녀가 만나는 시간, 자식을 낳지못한 부부가 함께하는날은 언제가 좋을까요? 그날이 바로 밭둑무너지는날 밭둑무너지는 시간이라고 하는데요 그날과 그 시간은 언제인지, 그 사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요즘세대는 아무리 시골 처녀와 총각이라도 그들이 만나 연애하는 방법이 어떨까요? 연애 방법보다는 서로 만남을 주고받는 방법이 어떨까요? 당연히 휴대폰이 있어 둘만의 만남 약속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겠죠 그럼 휴대폰이 나오기 전에는 어떠했을까요? 일반전화로 했겠지만 전화가 없는집도 많았고 전화가 있어도 당시만 해도 부모님 눈치를 보느라 애로사항도 많았구요. 그래서 편지를 주로 주고 받았구요그렇다면 그..

늑대같은 남자, 여우같은 여자! 이말의 유래는?

늑대같은 남자, 여우같은 여자! 이말의 유래는?여러분! 옛날 구전이야기 중 늑대 같은 남자, 여우 같은 여자에 대해 들어보신적이 있죠왜 이런말이 나왔느지 알아보고요, 배우자감으로 늑대같은 남자, 여우같은 여자가 왜 최고인지 그 이유를 알아볼까 합니다 여러분! 나이많은 어르신들로부터 남자는 늑대 이고 여자는 여우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죠그럼 이말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알고있는 사실은 별로 기분좋지 않은 말로만 알려져 왔죠그러나 오늘 이 방송을 끝까지 들어보시면 늑대와 여우가 얼마나 괜찮은 동물인지 알게될것입니다그 이유는 늑대처럼 의리있고 가족을 챙기는 동물이 없고, 여우처럼 센스있고 영리한 동물이 없으니깐요. 이 동물이 무슨동물일까요. 바로 늑대입니다. 보기만 해도 흉악스럽고 무섭게 생겼죠그래서 ..

보릿고개의 유래? 세계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 왜일까?

보릿고개의 유래? 세계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 왜일까?여러분 혹시 보릿고개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지금은 없어진 세월풍습이지만 예전에는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보릿고개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왜 세상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라고 했는지 왕후를 뽑는 간택시험에서 있었던 일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보릿고개의 유래? 세계에서 제일높은 고개가 보릿고개? 왜일까?여러분! 어렸을 때 할아버지 할머니로부터 보릿고개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죠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말씀하시는 보릿고개란, 지난 가을에 수확한 양식은 바닥이 나고, 보리는 미처 여물지 않은 5~6월(음력 4~5월), 농가생활에 식량사정이 매우 어려운 고비로 춘궁기(春窮期)를 말한다고 합니다. 또는 맥령기(麥嶺期)라고도 하죠 요즘은 쌀이 주..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말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다섯가지 복, 이 오복[五福]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복이 있다고 하는데, 그걸 우리는 오복이라 부르고 있죠. 그럼 오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먼저 네이버에 한번 물어볼까요. 오복 한국전통지식포탈(다섯가지 복을 이르는 용어임). 식색재명수(食色財名壽) 다섯가지이나, 이제마의 격치고에서는 기존의 오복과는 다르게 수(壽), 양심술(養心術), 호학서(好學書), 가산(家産), 행세(行世)의 오복을 말했음. 오복 (한시어사전) 사람이 누리는 5가지 복.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