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우리가 부모님이 돌아가실때는 그 자식들이 모두 상주라고 하죠 그러나 돌아가신 자식 모두를 상주라 하지않고 상주와 상제를 구분하는 것은 아셔야 겠죠 그래서 오늘은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상제와 상주! 지역에 따라서 구별을 하지 않는 가문과 지역도 있지만 상제와 상주는 비슷한 말이지만 약간 다르다고 할수 있죠. 먼저 상제(喪制)인데요 상제라는 말이 사전에 나오는대로 정의하자면 부모 또는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서 거상 중에 있는 사람, 즉 거상중에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답니다 그럼 상주(喪主)는 어떻게 나올까요 상주란 주(主)가 되는 상제(喪制)로서 대개 장자..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 편)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편) ​ ~했는데 ~브렀제 ~하제 ~잉 ~랑께 ~당께 ~으까 ~냐 등 말 끝맺음에 위의 말을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요 ㅎㅎ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편) 1. 가까이 와 - 뽀짝 붙어브랑께 2. 가꼬 - 가지고 3. 가꼬다, 갈꾸다 - 가꾸다 4. 가나그 - 계집애 5. 가녑하다 - 간섭하다 6. 가는귀묵다 - 가는귀먹다 7. 가리 - 가루 8. 가리메 - 가리마 9. 가상구 - 가시 10. 가생이 - 가장자리 11. 가스나, 가시나 - 여자아이, 나이 어린 12. 가슬 - 가을 13. 가시개 - 가위 14. 가심 - 가슴 15. 가심팍 - 가슴통, 둘레의 크기 16. 가직한 - 가까운 17. 각다분하다 - 정리가 잘 된 18. 각단지다 - 잘 정리가 된 19. 간나구 - 간사스러..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오늘은 누구나 죽음에 이르렀을 때 죽음을 표현하는 용어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이나 열반,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우리가 주변에서 돌아가신분에 대해 죽음을 표현할 때 그사람의 신분, 종교 등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는 것을 많이 느끼셨죠. 특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높혀서 ..

묘제(墓祭)순서와 시기, 의의와 유래는?

묘제(墓祭)순서와 시기, 의의와 유래는? 이제 내일이면 추석이구요. 다음달이면 본격적으로 묘제(墓祭)시기가 다가오죠 그래서 오늘은 지금은 많이 사라져 가지만 아직도 전통을 이어져 오고 있는 묘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제사는 다 아시죠, 묘제는 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로서 기제를 모시지 않는 5대조 이상(친진,親盡)의 조상에게 1년에 한번 지내는 세일사(歲一祀) 묘제와 기제를 모시는 4대친(친미진,親未盡,고조-부모)에게 계절에 따라 지내는 묘제로 구분할 수 있죠. 에 의하면 세일사 묘제는 10월 1일에 지내고, 4대친 묘제는 3월 상순에 지내고 1일 전에 재계한다고 하지만 요즘은 4대친 묘제는 잘 지내지 않는다고 하죠. ​5대조이상 세일사묘제는 기제의 대상이 지난 봉사손(장손)의 5대조를 바로 세..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오늘이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이네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하면서도 햇갈리는 호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우리가족과 친척간에 대해 알아보고요. 다음시간에는 직장이나 사회생활에서의 호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呼稱(호칭)은 특정한 사람을 불러 일컫는 말이죠. 상대를 불러 일깨울 때, 상대에게 자신을 가리켜 말할 때, 대화중에 특정한 사람을 일컬을 때 호칭이 쓰이는데요 서로간의 관계에 따라 서로를 부르는 호칭도 다르고 아울러 제삼자를 일컫는 호칭도 달라지므로 호칭은 가리키려는 사람을 정확하게 표시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상대에 대한 존중을 잃지..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내일이 8월 18일이죠. 여러분 혹시 76.8.18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세요 지금은 기억속으로 사라져가지만 바로 8.18 판문점 도끼 살인이 일어난 날이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당시 만행 사건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여러분 요즘 남북관계가 극도로 좋지않죠. 핵실험은 김정은이 명령만 내리면 언제든지 실험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었고 남북관계는 타협을 모르고 적대적으로 변모하고 있죠 문재인 정부 5년동안 북한을 그렇게도 영웅시하고 대접해줬건만 돌아온건 소대가리란 말뿐인지 정말 안타깝기도 합니다. 그럼 이 8.18사건의 전말을 한번 알아볼까요 먼저 당시 대한늬우스를 잠깐 한번 보고 시작할까요 잘 보셨나요. 이처..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이제 한달정도 더 있으면 추석이 다가오죠. 추석이되면 또 차례를 지내게 되는데요 매번 하게 되는거지만 매번 차릴때마다 헷갈리는 게 바로 제사상이나 차례상 차리는 법 아닌가 싶어요. 차례상을 차릴때 쓰는 과일이랑 생선 이런건 장을 보러가면 기억대로 구입을 하지만 차례상에 음식을 놓을때 과일이 어디였더라 생선은 어디에 두나고민이 되죠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물론 가가예문이라고 하지만 예부터 전해오는 원칙에 대한 사자성어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여러분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이렇게 차례상을 차리는 것은 무슨 근거에서 비롯된 것인가 하면요 가장 많이 드는 근거가 바로 『주자가례(朱子家禮)』와 『격몽요결(擊蒙要訣..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우리가 보통 상가집을 방문할때는 검은색 옷을 입죠. 넥타이도 검은색을 착용하구요 장례식에서 검은색 옷을 입는 것은 당연한 예의로 알고 엄숙한 분위기인만큼 예복을 갖춰 입는 것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왜 검은색 옷을입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왜 장례식장에서 검은색 옷을 입고 언제부터 검은색 옷을 입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먼저 검은색 옷은 어떤 의미인지부터 알아볼까요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을 통해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죠. 음양오행에 따라서 유교에서는 붉은색은 양(陽), 검은색은 음(陰) 을 뜻하는데요. 그래서 검정색은 나쁜 의미의 색이죠. 우..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요즘 부모자식간에도 직장관계로 사는곳이 다른사람이 많죠. 따라서 1년에 한번씩 지내는 지제사도 종손인 경우에는 그 횟수가 정말 엄청 많죠 4대봉사를 한다면 그 많이 늘어나구요 그래서 오늘은 기제사의 합설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요즘 세월이 많이 변하고 간편하게 바뀌고 있죠? 예전에는 10년이면 세대차이가 난다고 했으나 요즘은 1년이면 세대차이가 난다고 할정도로 급속도로 변하고 있죠 그러나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이 바로 전통제례문화, 그중에도 조상님을 위한 제사가 그렇다고 할수 있겠죠 최근 세상도 바뀌었는데 돌아가신 부모님 조부모님 제사를 합쳐서 1년에 한번만 지내면 어떤가 묻는 사람들을 ..

복날의 유래와 복날먹는 삼계탕 재료의 종류와 효능!

복날의 유래와 복날먹는 삼계탕 재료의 종류와 효능! 이제 소서도 지나고 이번 주말이면 삼복중의 첫 번째인 초복이라 본격적인 찜통더위가 시작된다고 할수 있겠죠. 여러분 복날은 뭘 많이 드시나요. 바로 삼계탕이죠 그래서 오늘은 복날 삼계탕을 먹는 이유와 삼계탕에 들어가는 재료들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복날의 유래와 복날먹는 삼계탕 재료의 종류와 효능! 복날에 먹는 삼계탕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초복등 삼복의 유래에 대해 잠깐 알아볼까요 초복, 중복, 말복등 삼복 절기와 그에 대한 풍습은 조선 후기의 학자 홍석모가 우리네 1년 열두 달 풍속을 기록한 책 부터 등장하는데, 역사가들에 따르면 그보다 더 먼 과거에 중국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죠. 삼복의 복(伏, 엎드릴 복)은 북녘땅에서 내려오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