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제사지낼때 술잔을 돌리는 방향과 3번을 돌리는 이유는?

제사지낼때 술잔을 돌리는 방향과 3번을 돌리는 이유! 안녕하세요! 우리들의 전통예절을 알아보는 청곡의 니캉내캉입니다 우리가 제사를 지낼 때 술잔을 세 번 돌린다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제사 지낼 때 상 앞에서 술잔 돌리는 방향과 3번돌리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여러분들의 가정에서는 제사나 차례를 1년에 몇번 지내시나요? 지내시는 분이라면 기제사, 설날, 추석등 최소 3번은 지내시겠죠? 물론 제사를 지내지 않은 사람도 있을겁니다 제사지낼때 술잔을 돌리는 방향과 3번을 돌리는 이유! 우리가 제사 지낼때 술잔은 어느 방향으로 돌리나요? 어떤사람들은 시계방향으로, 어떤 사람들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야 방향이 맞는다고 합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돌리지 않아야 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무엇이 정답일까요? 결..

산소 손질하고 찬음식만 먹는다는 한식(寒食)

안녕하세요. 오늘은 4월 5일 식목일이자 청명입니다. 청명과 함께 따라오는 게 바로 한식이 있죠 그래서 오늘은 한식의 유래와 시절음식, 주요행사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명과 한식 두가지는 땔래야 땔수도 없고 시절음식이나 행사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같이 이어지고 있죠. 올해는 한식이 하루 늦게 내일이지만 같은날인경우도 많이 있죠 산소 손질하고 찬음식만 먹는다는 한식(寒食)!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 4월 5일이나 6일 무렵, 음력 2월 또는 3월이라고 합니다. 음력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철이 이르고, 3월에 드는 해는 철이 늦다고 하죠. 그래서 ‘2월 한식에는 꽃이 피지 않고 3월 한식에는 꽃이 핀다.’는 말이 전하는데요 한식(寒食)은 예전에는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전통 4..

봄 농사가 시작된다는 청명(淸明)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마다 음력 2월이나 3월 양력 4월초에 찾아오는 청명(淸明)과 한식(寒食) 그 의의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명과 한식 이 두날은 한식(寒食)의 하루 전날이 청명이거나 때로는 같은 날일때도 있답니다 올해는 청명이 4월 5일이고 한식이 6일이네요 그래서 옛날 어르신들이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매일반"이라는 속담도 있죠. 그럼 먼저 청명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한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봄 농사가 시작된다는 청명(淸明)! 청명(淸明)이란 청명일의 준말로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으로 24절기 중 춘분과 곡우 사이의 절기로 4월 5~6일 무렵이죠.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로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이죠. 농사를 준비하..

4월 1일! 오늘은 즐겁게 사람을 놀리거나 거짓말로 속이는 만우절!

4월 1일! 오늘은 즐겁게 사람을 놀리거나 거짓말로 속이는 만우절! 안녕하세요.. 오늘은 만우절이죠. 그래서 만우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우절(萬愚節)이란 즐겁게 다른 사람을 놀리거나 거짓말로 남을 속이기도 하고 헛걸음을 시키며 노는 날이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소소하게 친구들이나 선생님에게 거짓말을 하거나 장난을 하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에이프릴 풀스데이(April Fools’ Day)'라고도 한답니다 그리고 이날 속아 넘어간 사람을 4월 바보란 의미에서 April fool 또는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이라고 부른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만우절을 힐라리아(Hilaria)라고 불렀답니다. 이란에서는 시즈다 베다르(Sizdah Bedar), 프랑스에서는 쁘와송 다브릴(Poisson..

장례식장 방문시 헌화와 분향 요령은?

안녕하세요!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꼭 참석해야 하는 행사나 모임을 맞게 되는데요. 다른 행사나 모임과 달리 장례식에선 유독 예절이 강조된다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장례식장 방문시 헌화와 분향 요령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장례식장 방문시 헌화와 분향 요령!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한 예로 결혼식 피로연이나 어르신의 생신 잔치 같은 곳에선 음주를 과하게 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조금 튀는 행동을 하게 되더라도, 너무 빗나간게 아니라면 그냥 웃으면서 적당히 넘길수도 있지만 장례식에선 그렇지 않죠. 장례식의 조문 예절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장례식은 다른 행사나 모임과 달리 날짜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불시에 참석하게 되잖아요. 그러니 심각하게 폐를 끼치지 않는 정도의 조문 예절은..

2022서울대 합격자기준 고등학교 Top 105

안녕하세요! 지난달에 서울대학교 정시 합격자가 발표되었죠 그래서 오늘은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합격자숫자를 고등학교별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2022서울대 합격자기준 고등학교 Top 105! 지난달에 2022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 합격자가 발표됨에 따라 고등학교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죠. 고교서열화에 대한 우려 때문에 서울대 합격자 분포를 공식적으로 집계해주는 정보가 별로 없지만, 일부 언론에서 개별적으로 수집한 정보들이 있어서 그나마 서울대 합격자 배출고교 경향을 알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2022학년도 서울대학교 수시최초, 수시추합, 정시최초 결과를 집계한 결과 가장 많은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한 고교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 일부 학교는 비공개로 합격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

제재, 제제, 재제, 재재의 구별방법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언론에 나오는 내용을 보고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을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한글을 한번 보실까요 제재 제제 재제 재재 이 네단어를 구분하실수 있을까요? 어렵죠 길 가다가 사람 한명한명씩 붙잡고 물어봐서 저 4개의 단어를 구별하고 대답할 줄 아는 사람이 100명에 1명은 있을까요? 요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과 유럽등에서 러시아의 옥쇄를 죄는 제재를 가하고 있다고 하죠. 나쁜짓을 저지른 사람에게 벌을 가할 때, 이럴 때 말하는 제재는 어느 단어가 맞을까요. 여러분은 몇 번째로 나온 표기가 맞는 것 같은가요 정답은 설명을 드린뒤에 들으면 이해가 될듯.... 제재, 제제, 재제, 재재의 구별방법! 며칠전에 TV를 보니까 유럽이 러시아를 제재하는데 자막에..

이월명절(음력2.1, 양력3.3)! 영등할머니 내려오시는 날!

안녕하세요. 우리가 예로부터 불리는 명절중에 설날, 정월대보름에 이어 음력 2월 초하루의 이월명절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이월명절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월명절(음력2.1, 양력3.3)! 영등할머니 내려오시는 날! 이월, 영동할머니날, 영등할머니제삿날, 구럭달개, 나이떡날, 머슴날, 노래기날, 노비일(奴婢日), 농군의날(農軍­), 삭일(朔日), 선머슴날, 여종날, 중화절(中和節), 콩볶아먹는날, 하리아드렛날, 하구다릿날, 구럭달기, 바람이불면안되는날, 이월밥해먹는날, 이월할매먹는날, 좀볶는날등 다양하게 불리는 이날이 언제 일까요 바로 모레 3월 3일이 음력으로 2월1일인데요 그날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神)인 ‘영등할머니’가 하늘(천계天界)에서 인간세상으로 내려오는 날이죠 이월명절(음력2.1..

황대헌 선수 금메달 축하합니다! 올림픽 메달리스트 연금 및 혜택은?

안녕하세요! 요즘 제24회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한창 열리고 있죠. 우리나라는 금메달 1~2개로 15위권을 목표로하고 있는데요. 전에는 금메달을 쇼트랙에서만도 몇 개씩이나 땄으며 늘 한자리수가 목표였는데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이렇게 스포츠에 약해졌는지 모르겠네요 그러나 여전히 올림픽에서의 메달은 부와 명예를 한꺼번에 챙길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연금과 포상금,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지금 현재 베이징에서는 2022 동계올림픽이 한창 진행 중에 있는데요, 모두들 올림픽경기 열심히 시청하면서 우리나라 선수를 응원하고 계시나요? 그런데 쇼트트랙 경기를 보면서 개최국 중국이 편파판정으로 정정당당 스포츠정신을 난장판으로 전락시켜 안타까운 마음이네요..

입춘의 유래와 풍습, 입춘축을 붙이는 시간은?

안녕하세요! 어제가 설날이었죠. 먼저 이 유튜브를 시청하시는 모든 구독자님과 시청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이틀후 2월 4일이면 24절기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이네요. 그래서 오늘은 입춘의 유래와 풍습, 시절음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대문에 이런 문구 많이 보셨죠 바로 2월4일이 입춘으로 대문에 이런 입춘축을 많이 붙이는 절기랍니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고 하죠.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이죠 올해가 호랑이띠라고 하죠 우리가 말하는 띠는 만세력으로 입춘일부터 시작되기에 2월4일부터 실제로 임인년(壬寅年) 검은호랑이의 한해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