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성현 말씀, 구전어 59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이제 며칠 있지않으면 동지(冬至)가 다가오는데요. 동짓날 하면 생각나는게 무엇일까요 바로 동짓팥죽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을 먹는 이유, 그리고 불교에서 팥죽의 유래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여러분 이달 22일이면 밤이 가장 길다고하는 동짓날이죠 동짓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동짓팥죽을 찾게 되는데요 동지의 유래와 풍속등에 대해서는 이미 이 채널에서 알아본적이 있는데요 동지에 대해 좀더 자세히 보실려면 우측상단 자막을 클릭하시면 되구요 오늘은 먼저 동짓팥죽을 먹는 이유, 민간에서 전해지는 팥죽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유래를 알려면 무엇이든지 옛날로 좀 거슬러 올..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우리가 전해오는 이야기나 성현들로부터도 우리의 가슴을 저미게 하는 모성애나 자식들의 처절한 효도를 엿볼수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 우화중에 연어와 가물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예로부터 전해오는 구전이야기에는 우화가 많다고 합니다 우화는 인간 이외의 동물 또는 식물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주는 설화를 말하는데요 그 우화중에 오늘은 모성애 가득한 연어와 효심 가득한 가물치 우화의 진실을 하나하나 파헤쳐 볼까요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첫 번째 물고기로서 바로 깊은 바다에서 사는 연어(salmon)인데요. 연어는 연어과의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는 70~90cm이고 방추형이..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오늘은 우리가 알고있는 내용과 전혀 유래가 다른 개판오분전, 이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혹시 개판5분전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이 ‘개판 오분전’, 이라는 말은 아수라장, 어찌해볼 수 없는 혼돈 이렇게 알고 계시죠 개판오분전은 관용구로 국어사전에는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상황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해석된답니다.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아무튼 그 유래를 보면 개판의 ‘개’를 키우는 개(犬)로 아시는 분이 많은데, 우리가 아는 dog판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럼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좀더 저세히 알아보면 이 말이 생겨난 지역이 부산이라고 합니다. 지금의 국제..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5少 13多! 이런말 말이 들어보셨죠. 그만큼 우리들 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SNS나 구전이야기로도 많이 전해지는거겠죠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는 건 당연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알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행복하게 살기위한 5가지 적게해야 할 사항과 13가지 많이 해야 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나씩 알아보고자 합니다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먼저 ​[5少] 01. 소식(少食) 과식하지마라 인데요. 십장생의 동물들은 위의 80%에만 음식을 채웠다고 하죠 지금도 건강채널이나 전문의가 하는 말을 보면 소식하면 건강하고 오래산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건강에 무리가 생길정도로 적게 먹어란 말을 아니죠. 02. 소언(少言)..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이 태어나면 누구나 한번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죠? 단 일찍 죽음을 맞이하고 늦게 맞이하고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하지만 누구나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그 내용을 한번 알아볼까요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들은 모두가 독특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방법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의 육체는 삶의 마지막 날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준비한다고 하죠 누구나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으로 당연히 의학적으로는 혈압감소. 산소포화도 감소. 맥박수 증가가 발생하구요. 그 외 우리가 볼 수 있는 증상으로 1. 식욕음료나 음식에 대한 소비 감소 식욕감소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보통 먹..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을하는 기회가 엄청 많다고 하죠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절을 한번하고 돌아가신분들한데는 절을 두 번하고요 부처님한데는 절을 세 번한다는 과연 부처님께 세 번 절을 하는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절을 해야 하는 경우는 엄청 많죠.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라서 어르신을 찾아뵐때도 절을 하고 설날에는 세배를 하고 상을 당할때는 문상을 가고 불교신도는 절에가서 기도를 하는등 절을 하는 기회는 엄청 많다고 합니다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오늘은 이미 앞에서 말씀드린대로 우리가 절을 하는 방법중에 불교의 인사법, 즉 부처님께 절은 왜 3번을 하는지에 ..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상식이지만 남자는 바지를 많이 입고 여자들이 치마를 많이 입는데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시청자 여러분 남자가 바지를 입는 이유는 다 아시죠? 여자들이 치마를 입는 이유는 특별히 2가지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 첫째가 우리가 평소 알고있는 바로 그 이유 이구요.. 또 다른 이유는 지구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오늘은 먼저 우리가 평소알고 있는 이유, 물론 잘 알고 있지만 한번 되돌아보는 의미에서 정리해보고요. 지구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기 쉽게 하기위한다는 내용은 다음시간에 한번 같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고대 인류의 신체(身體)는 어떠했..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불길한 예감이 들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그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요즘 주식이 많이 떨어졌다고 하죠. 우크라이나 사태와 환율, 물가상승등으로 인해 주식은 물론이고 경기가 전반적으로 바닥의 시궁창으로 자꾸만 떨어지고 있다고 아우성입니다 전에는 13일의 금요일에만 주식하지 말란 말이 있었지만 요즘은 워낙 하락하여 아예 주식을 하지말란 말까지 있죠. 그러나 기회는 뭔가 어려울 때 나온다고 하니 기회를 틈타서 언젠간 쨍하고 해뜰날이 또 오길 바라야 겠고 그렇게 해야겠죠 13일의 금요일! 사람들은 왜 13일의 금요일을 두려워할까요? 사실 영화의 ..

사라져가는 지역별 사투리(경상도편)

사라져가는 지역별 사투리(경상도편)! - 가시개 : 가위 - 각(갑)제 : 뜬금없이 - 개살시럽다 : 남을 못살게 굴다 - 갱빈 : 들판 - 거랑 : 냇가, 도랑 - 걸그치다 : 걸리적거리다 - 걸배이 : 거지 - 고방 : 정미소, 창고 - 고봉 : 수북히 담긴 모양 - 곡개이 : 우스광스러운 사람 - 구루마 : 소가 끄는 수레 - 까끄래기 ; (보리)껍데기 - 까디 : 땔깜, 좀 굵은 나무 까자구 : 가재 - 까치리하다 : 까칠스럽다 - 까칠시럽다 : 까다롭다 - 깨작깨작 : 소심하게 조금씩 조금씩 - 꺼시, 껄께이 : 지렁이 - 꼬랑대기 : 꼬리 - 꼬래비 : 꼴찌 - 꼬롬하다 : 화통하지 못하다 - 꼬불치다 : 모르는 곳에 숨기다 - 꼬시다 : 유혹하다 - 꼬장개이 : 막대기 - 꼬장주, 사리마다 ..

자형과 매형! 무엇이 맞고 그 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자형과 매형! 무엇이 맞고 그 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우리가 쓰는 호칭중에 자형과 매형이라는 말이 있죠 같이쓸수있고 같은 의미이지만 이들의 호칭은 엄연한 구별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자형과 매형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형과 매형! 우선 이들의 의미부터 한번 알아볼까요 먼저 자형인데요. 한문으로는 이렇게 쓰죠 자형(姊兄) 자자는 윗누이자 이죠 이걸 해석하면 손위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라 할수 있죠. 예전부터 주로 남부지방에서 누나의 남편을 부를때 자형이라고만 했는데요 그러나 지금은 남부지방에서도 중부지방처럼 누나의 남편을 매형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몇 십년 전에는 매형이라는 말은 거의 사용을 안했고 누나의 남편을 부를때 자형이라고 불렀죠 그런데 이 자형이라는 말을 우리나라 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