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우리가 지구상에 태어남과 동시에 모든 것이 숫자와 연관된 삶을 살아가고 있죠
오늘은 이러한 숫자중에 3이라는 숫자가 왜 우리들의 가장많은 관심을 받고
세계 신화의 공통분모가 되었는지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 대부분이 바로 삼(3)이라 대답 할 것이죠.
그건 3이 좋아서라기 보다는 어려서부터 3이란 숫자를
하도 많이 듣고 보고 쓰다 보니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머릿속에는 숫자 3이 아마도
가장 입력이 잘 되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단군신화에서도 환인,환웅,단군을 3신으로 모셨고
훈민정음도 천,지,인의 세가지 기본으로 만들었고
식사도 하루 세끼, 삼국시대, 삼한시대등이 있었죠
또, 속담도 많은데요.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셋째 딸은 선도 보지 않고 데려간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도 있습니다.
삼년상, 삼고초려, 내기를 해도 꼭 삼세번, 경기도 삼판양승, 메달도 금은동,
방망이도 세 번 탕탕탕, 관제도 우의정·좌의정·영의정 3정승,
상중하. 이처럼 숫자 3은 우리 문화와 생활 속에
완전한 숫자로 자리잡고 녹아 있습니다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그리고 요즘 국민의 스포츠라고 하는 고스돕도 3점이면 나고,
같은게 3장이상이면 흔들고 스리고 이상이면 배를 먹고,
야구나 음주처벌등에도 삼진아웃이 있죠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거나 톡을 보낼 때 사용하는 키보드도 천지인 키보드,
운전을 하다 잘 봐야 하는것도 적색, 황색, 녹색의 삼색 신호등,
기체,액체,고체등 물체의 상태, 초복 중복 말복의 삼복더위.
서론 본론 결론등 글의 개요.
육군 해군 공군등 우리나라 군대. 입법 행정 사법, 삼권분립. 미스코리아 진선미.
등급을 나누는 상 중 하. 크기를 나누는 대 중 소. 시간을 구분하는 과거 현재 미래.
시작하기 전에 외치는 숫자. 하나 둘 셋. 이렇게 3이 정말 많습니다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이처럼 숫자 3이 유난히 강조되는 건 왜 그럴까요
첫째, 3은 완성, 완벽, 안정을 상징하는 숫자이죠.
하나만 있으면 불안정하고 둘은 구분이나 대립은 될 수 있지만
1과 마찬가지로 생성할 수 없는 불완전 상태랍니다
1과 2를 합한 3은 더하거나 뺄 것이 없는 완벽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천지인의 세 가지를 기본으로 창제한 훈민정음도 그렇고
단군신화에 보이는 풍백·우사·운사의 3신, 천부인 3개, 무리 3천,
고구려 건국을 상징하는 세 발 달린 삼족오, 불가에서 말하는 삼존불,
성서의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일체 등은 숫자 3의 완벽함을 말해 준다네요.
둘째, 3은 반복, 강조, 금기의 해제 등을 의미합니다.
복잡하고 긴 것도 셋으로 구분하고 반복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강력한 강조의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논문의 서론·본론·결론, 하루를 아침·낮·저녁, 신체의 구조를
머리·몸통·다리 등으로 구분하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기억하기도 쉽구요.
단군신화에 곰이 굴에 들어가 삼칠일(三七日:21일) 즉 세이레(한이레:7일) 만에
금기가 해제돼 사람이 된 것이나 출산 때 친 금줄을 세이레 만에 걷는 것도
금기의 해제를 의미합니다.
셋째, 3은 많음, 탄생, 만물의 소생을 의미합니다.
이런 숫자 3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요. ‘도덕경’에 따르면 3은 천지인의 도라 했는데요.
도는 1에서 시작되지만 1은 아무것도 낳을 수가 없어 음양으로 나뉘어
음과 양이 되고, 이 음과 양이 화합해 만물을 만들어 냅니다
고로 ‘1은 2를 낳고, 2는 3을 낳으며, 3은 만물을 생성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만물을 이루는 천지는 3개월을 한 계절로 삼기에 제사 때
밥이나 술을 세 번 올리는 것을 예로 삼고,
군대는 기를 세 번 흔드는 것을 제도로 삼았다는 것입니다.
또한 3은 음과 양을 함께 품은 수로서 1은 양인 하늘,
2는 음인 땅, 3은 사람으로 천지인을 품은 완전한 숫자이죠.
숫자 1은 남자(양)를 뜻하고 2는 여자(음)를 뜻해,
남녀가 혼인해 아이를 낳듯이 1과 2를 더한 3은 생명의 탄생을 의미합니다.
또, 사람은 음양으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머리가 둥근 것은 하늘(양)을 닮은 것이고 발이 네모난 것은 땅(음)을 닮은 것입니다
또 사람에겐 9개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입술 사이의 인중을 중심으로 위로 눈 2개, 귓구멍 2개,
콧구멍 2개 모두 숫자 2로 음을 상징합니다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씩으로 입 1개, 배꼽 1개,
항문 1개, 요도 1개 등 모두 숫자 1로 양이다.
이처럼 사람은 한몸에 음양을 함께 갖고 있어 숫자 3과 연관이 있죠.
넷째, 숫자 3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두 개만 나열된 선택지는 우선순위가 드러나기 어렵다.
두 개를 놓고 1위, 2위라는 순위를 부여하는 것은 어색하지만
반면 세 개를 놓고 1, 2, 3위를 부여하는 것은 자연스럽잖아요
다섯째, 셋이 융합하면 더 강해진다.
나와 너, 그리고 한 사람만 더 있으면 하나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집단이 됩니다
한 명, 두 명일 때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3명이 되면 그때부터
집단이라는 전환점이 생겨 상황을 바꾸는 구체적인 힘으로 작용합니다
최소 3명이 모이면 집단의 개념이 생기고, 집단의 행동은 사회적 규범이 된다고 합니다.
-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과 교수 필립 짐바르도 (Philip G. Zimbardo)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여섯째, 모든 종교에서 3이란 숫자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됩니다
게르만 신화에도 최초의 신들은 오딘,빌리,베등 3형제이고,
성서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말하고 동방박사도 셋이고
그들이 가져온 선물도 황금,몰약, 유황등 셋입니다
또, 예수의 죽음과 부활 사이 기간도 3일이구요,
불교에서 쓰는 삼세인과(三世因果)라는 심오한 관념을 보더라도
3이란 숫자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구요
구체적 효과가 무엇이든지 삼중 반복 형식은 모든 문화를 초월해서
민속 문학 속에서 자주 등장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3이 꼭 좋은 의미만은 아니고 숫자 3이 부정적으로 이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 사람이 있으면 그 안에 반드시 바보 한 명이 끼어 있다’,
‘뜰에 있는 두 사람 사이에 끼어든 세 번째 사람은 놀림감이 된다’는
속담이 바로 그것입니다.
두 사람이 모이면 파트너십이 형성되지만 한 사람이 더 끼면
방해가 될 뿐이라는 의미겠죠.
이와 유사하게 ‘두 사람이 사이좋게 지내면,
제3자는 할 말이 없다’는 관용구도 있습니다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지금까지 숫자중에 3이라는 숫자가 왜 우리들의 가장많은 관심을 받고
세계 신화의 공통분모가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요,
숫자 3이 유난히 강조되는 이유와 부정적으로 이해되는 경우까지 알아보았는데요.
끝까지 지켜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옛 성현 말씀, 구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8) | 2023.03.12 |
---|---|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 (2) | 2023.03.06 |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3) | 2023.02.22 |
과연 4살차이라면 궁합도 안봐도 되는 걸까? (2) | 2023.02.17 |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1)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