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현 말씀, 구전어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청하인 2023. 2. 22. 18:48
반응형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올해는 음력2월에 윤달이 있는 해이죠.

예로부터 윤달에는 이장을 하거나 묘지를 손보고 집을 고치고 이사를 가고,

수의를 준비하고, 결혼식을 많이 한다고 알려져 있죠

그래서 오늘은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다는 풍습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올해는 2월에 윤달이 껴있는 해이고,

음력으로 따지면 2023년 1월 14일, 2023년 12월 25일

이렇게 두번의 입춘이 있는 해라서 쌍춘년이라고 불린대요.

​쌍춘년은 2~3년에 한번씩 돌아온다고 합니다

실제로 과거 결혼 통계를 봐도 쌍춘년인 해에 결혼건수가 엄청 많았다고 해요

이제 연도로도 웨딩 성수기가 정해지나봐요..

 

그래서! 왜 쌍춘년에 결혼을 많이하냐! 하면

쌍춘년에 결혼하면 봄처럼 따뜻하고 원만하게 부부생활하고

다산다복하고 잘먹고 잘산다고 하네요!

부부간에 백년해로도 한다는 이런 미신이 있다네요...

미신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사람 마음이 좋은 소리 들으면 또 괜히 기분은 좋잖아요

일생에 한번 하는 결혼인데 좋은게 좋잖아요.?

올해 결혼하시는 신랑신부님들 모두모두 따스운 봄기운 가득 받으셔서

행복한 결혼하시길 바라야죠

쌍춘년이 있는 해는 봄도 길고 많이 따뜻하다는 정설도 있다고 하네요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그럼 윤달이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죠.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2달로 환산하면 도합 354일이 되는거죠.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과는 11일이 차이가 난답니다.

이렇듯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太陰曆)으로는 태양력과

날짜를 맞추기도 어렵거니와 계절의 추이를 정확하게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윤달은 이러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만든

치윤법(置閏法)에서 나온 개념입니다

따라서 윤달[閏月]은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 때문에

공달[空月], 덤달, 여벌달, 남은달이라고 부르고요

또, 윤달을 썩은달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윤달이 사람의 피부, 신체 부분에 있는 달이기 때문이랍니다.

우리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 놓아도 아무 탈이 없다.

”‘윤달은 손이 모두 하늘에 올라간다’라고 할 만큼 윤달에는 아무런 재액(災厄)이

없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하더라도 전혀 거리낌이 없다고 믿어왔잖아요.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윤달은 손이 모두 하늘에 올라간다’는 속담에서

‘손’은 사람의 일을 방해하는 귀신을 말하죠

전남 지역에서는 수의를 먼 곳으로 갈 때 입는 옷이라 하여 ‘머능옷’이라 하며,

죽을 때 입는 옷이라 하여 ‘죽으매옷’이라고도 한다네요.

 

경북 안동에서는 수의를 ‘머농’이라고 하며 명주나 삼베로 짓죠.

이처럼 윤달에는 수의를 짓기도 하지만 수의를 지을 옷감을 준비해두기도 하구요

전북 진안에서는 집에 노인이 있으면 윤달에 수의를 짓고 널(관)을 짜서

그 속에 수의를 넣어두기도 하며 미리 수의를 준비해 놓은 집에서는

윤달이 오면 꺼내어 손질한 다음 다시 보관해둔답니다.

이처럼 윤달에는 부정이나 액이 없다고 믿어 통속적으로 결혼하기에 좋고,

관(棺)을 준비하거나 수의(壽衣)를 만드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또, 집짓기나 이사, 개업, 조상의 묘 이장이나 집안에 큰 나무를 베거나 없앨 때,

혹시 수술이나 시술 할일이 있으신 분들도 이때 많이들 합니다.

예전에는 변소를 고친다든가 그 밖에 집수리를 함부로 하지 않았으며

장독대도 함부로 옮기지 않았다고도 하는데요.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광주(廣州) 봉은사(奉恩寺)에서는

매양 윤달을 만나면 서울 장안의 여인들이 다투어 와서 불공을 드리며,

돈을 탑(榻) 위에 놓는데요.

그런 행사는 그 윤달이 다 가도록 끊이지 않는데요.

이렇게 하면 극락세계로 간다고 하여

사방의 노파들이 분주히 달려와 다투어 모인다고 합니다.

또, 정월이나 2월에 윤달이 들면 장을 담그고 팥죽을 쑤어 먹기도 하는데요.

먼저 성주, 조왕, 지신 등 가택신(家宅神)이 있는 곳에 차린 뒤,

대문에 팥죽을 뿌리고 나서 가족들과 나누어 먹으며 이웃에 나누어주기도 한답니다.

 

그렇다면 음력2월이 생일이신분들과 제사가 있는분들은 두 번을 해야 할까요

생일은 2번다 생일을 챙기시면 좋다고 하구요

제사는 윤달2월달이 아닌 본 제사 날짜 2월달에 지내는 거랍니다.

2번 지내시는게 아니구요

만약 본 제사 날짜를 놓쳤다고하더라도 윤2월달에 지내시는거 아니랍니다.

그런데 보통 우리가 말하는 윤달은 윤일과 윤년과는 전혀 다른데요

윤년(閏年)은 음력으로 1년이 약 365.2422일인 까닭에

5시간 48분 45.2초가 남으면서 뒤로 밀려 4년이 지난 후

24시간이 쌓이게 되어 하루가 더 생기는 날을 윤일(閏日)이라 합니다.

윤일은 2월이 29이며, 윤일(閏日)이 있는 해는 366일이 되고

이를 윤년(閏年)이라고 하죠.

예로부터 윤년(閏年)은 하늘과 땅의 신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시간으로

그때는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 수 있다 하여

이장하기 좋은날로 알려져 있다고도 하지만 윤달과는 다름을 아셔야겠죠.

윤년과 윤일은 양력으로 보지만 윤달은 음력으로 봐야합니다.

음력은 달을 기준으로 하는 날짜 계산법인데,

음력은 달이 지구를 열두 번 도는 데 354일이 걸린다고 봅니다.

1 태양년의 기준인 365.5일과 비교해서 한 주기마다 11일 빨라지게 되죠.

2년 5개월 ~ 2년 10개월 사이만 지나면 33일이 모자라게 되죠.

이렇게 양력과 음력차를 줄이기 위한 한 달이 바로 윤달 입니다.

19년에 7번 가량 윤달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만, 윤일이 2월 29일로 정해진 데 반해

윤달은 그때그때 달라 윤3월, 윤4월 식으로 부르게되죠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그렇다면 윤달은 어떻게 정하지?

윤달의 설정은 무중치윤법을 정한다고 합니다. 좀 어렵지만 한번 이해해볼까요.

음력은 24기를 1년 12음력월과 대응시키기 위해

12개의 절기와 12개의 중기로 분류합니다.

24절기 사이는 보통 15일정도 간격이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한 달에 1개의 절기와 1개의 중기가 들어가고,

음력의 어떤 달은 그 달에 든 중기를 기준으로 월이 결정되기도 합니다.

(예: 우수가 있는 달은 1월)

그런데 가끔 중기가 없는 달이 있는데 이를 윤달로 삼고,

전 월이 이름을 따 부르게 됩니다. 그래서 윤달은 같은 달이 2월입니다.

​이러한 복잡한 역법을 모두 해석할 수 없으니,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역법을 계산하여 발표하시는걸 보시면 되겠죠.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오늘은 올해 2월이 윤달이 있음에 따라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다는 풍습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무리 미신이라고 하지만 좋은게 좋은것이겠죠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