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성현 말씀, 구전어 59

돈안지유돈 불안지유불(豚眼只有豚 佛眼只有佛),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 눈에는 부처만 보인다

돈안지유돈 불안지유불(豚眼只有豚 佛眼只有佛),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 눈에는 부처만 보인다 옛날 어르신들이 평소 행동이나 말을 못되게 하는 사람을 보고 개눈에는 똥만 보인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죠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구전이야기가 어디서 전해오는지 알아보고요. 요즘 왜 그런말이 유행을 하고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이 채널은 정치이야기는 하는 곳이 아닙니다. 그러나 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미상하원 연설에서 수십차례 기립박수를 받는곳을 보니 대한민국 정치인과 너무나 달라 연관되는 문구 한구절 소개하고자 하니 정치적인 이야기를 조금 하더라도 양해 부탁합니다 여러분 우리나라 국회같으면 어느당이 대통령이던 야당이 미국처럼 하겠습니까. 미국은 왜 선진국인지 이제 알겠죠? 우리나라 같으면 어쨋을까요?..

남자는 태어나서 3번을 운다는데 언제? 그럼 여자는 몇번?

남자는 태어나서 3번을 운다는데 언제? 그럼 여자는 몇번? 여러분 남자는 태어나서 3번 운다는 말을 옛날 어르신들이 많이 말씀하시죠 그 세 번이 언제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남자는 태어나서 3번운다! 그렇다면 여자는 몇 번을 울까요? 그 답은 마지막에 말씀드리도록 하고요. 먼저 남자가 태어나서 운다고 하는 3번은 언제 언제를 말하는지 먼저 알아보고요 부모님이 자식을 보면 속상해 한다는 경우 3번과, 여자가 태어나서 3번 칼을 가는 경우,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식조차 뜸하던 친구에게 연락이 오는 3가지 경우도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남자와 여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물론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남자는 강인함과 참을성, 그리고 용맹이 있다고 하죠. 그래서 울어야 할 일이 있어도 참아야 하는게 남자다..

여자아이는 여식이라고 하는데 남자 아이는 남식이라고 하면 되는지?

여자아이는 여식이라고 하는데 남자 아이는 남식이라고 하면 되는지?다 오늘은 지난번에 말씀드린대로 여자아이는 여식이라고 하는데 남자 아이는 남식이라고 하면 되는지? 아니면 남식이라 하면 안되는지와 그 이유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자식이라고 할때는 자기가 낳은 아들과 딸을 가리키는 말이고, 남녀공용어라고 합니다. 아들도 자식이고, 딸도 자식인거죠. 딸자식이든 아들자식이든 다 내 자식이다라는 말만 보아도 남녀공용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자아이는 여식이라고 하는데 남자 아이는 남식이라고 하면 되는지? 그런데 우리의 말중에 여식(女息)이란 말이 있잖아요. 그렇다면 남식이란 말도 있어야 하잖아요. 그런데 남식이란 말은 없죠? 그렇다면 자식에서 ‘자’자를 아들로 보는 견해라고 할까요? 하지만 ‘자식..

역지사지(易地思之)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역지사지(易地思之)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그중에서도 오늘은 우리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인 역지사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요즘은 겸손해야 한다고 하죠. 그래서 다른사람과 이야기를 하거나 행동할때에는 최대한 타인을 이해할려고 노력한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조그만 마찰이 있을때도 “왜 저렇게 생각하지 내가 저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대처했을까”라고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다시 말해서 내 스스로가 다른 사람의 입장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라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곤 한답니다 그래서 오늘 함께 알아볼 사자성어는 바로 역지사지(易地思之)인데요 易地思之/易:바꿀역, 地:땅지, 思:생각사, 之:갈지 자로 좀더 상세히 해설을 해보자면 易, 이 문자는 쉽다는 뜻..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오늘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경험하게되는 인생 3사 3걸 3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요즘은 100세 인생이라고 말을 많이 합니다. 우리가 100세 인생을 사는 동안 중요한 점과 살아가면서 느끼는 점, 100세 인생이 가까워 지면서 필요한 점, 다시말해서 3사와 3걸, 3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먼저 3사입니다 3사 라는 것은 첫째가 인사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인 인사는 내가 먼저할 때 기쁨은 배로 증가됩니다. 그래서 어린애들때부터 어른들은 늘 인사를 잘하라고 교육하고 인사하는 법을 가르친답니다 둘째는 감사입니다. 감사를 모르는 사람은 불평과 불만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우리는 요즘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하죠. 요즘에 와서는 삼식이가 되기싫어 또, 아침식사가 귀찮거나 출근 때문에 두끼만 먹는 사람도 많은데요 오늘은 이러한 세끼중에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우리 인류가 농경사회때에는 주로 몸으로 일을 하던 시절이었죠 그땐 아침에 일을 하기 위해서 해가뜨면 아침을 먹기 시작했고, 일을 하다 보고, 해가 중천에 뜨니 배가 고프니 또 점심을 먹기 시작했고, 그리고 또 해지기 전까지 일을 하고 어두워 지니 마치고 저녁을 먹기 시작했다는 근거있는 유래가 있답니다. 이건 인류가 생존하기위해 자연스레 ..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 오늘은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선생이 남긴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라는 의미의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이불루 화이불치 儉:검소할 검, 而:말이을 이, 不:아닐불, 陋루:더러울루 華:빛날 화, 而:말이을 이, 不:아닐불, 侈:사치할 치 어제 저녁 KBS 9시 뉴스가 끝나고도 이 문구가 나왔죠 영어로 blue ocean 말할 때 쓰는 blue가 아니고 한문이고요. 검자도 금요일할 때 금자가 아니고 검소할 때 쓰는 검자 이더라구요 이 고사성어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랜 역사서 에 전해지는 여덟 자로, 저자 김부식 선생이 백제의 새 궐..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우리가 지구상에 태어남과 동시에 모든 것이 숫자와 연관된 삶을 살아가고 있죠 오늘은 이러한 숫자중에 3이라는 숫자가 왜 우리들의 가장많은 관심을 받고 세계 신화의 공통분모가 되었는지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 대부분이 바로 삼(3)이라 대답 할 것이죠. 그건 3이 좋아서라기 보다는 어려서부터 3이란 숫자를 하도 많이 듣고 보고 쓰다 보니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머릿속에는 숫자 3이 아마도 가장 입력이 잘 되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단군신화에서도 환인,환웅,단군을 3신으로 모셨고 훈민정음도 천,지,인의 세가지 기본으로 만들었고 식사도 하루..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2023년 쌍춘년! 결혼하면 대박!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은것! 올해는 음력2월에 윤달이 있는 해이죠. 예로부터 윤달에는 이장을 하거나 묘지를 손보고 집을 고치고 이사를 가고, 수의를 준비하고, 결혼식을 많이 한다고 알려져 있죠 그래서 오늘은 윤달의 의미와 윤달에 하면 좋다는 풍습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올해는 2월에 윤달이 껴있는 해이고, 음력으로 따지면 2023년 1월 14일, 2023년 12월 25일 이렇게 두번의 입춘이 있는 해라서 쌍춘년이라고 불린대요. ​쌍춘년은 2~3년에 한번씩 돌아온다고 합니다 실제로 과거 결혼 통계를 봐도 쌍춘년인 해에 결혼건수가 엄청 많았다고 해요 이제 연도로도 웨딩 성수기가 정해지나봐요.. 그래서! 왜 쌍춘년에 결혼을 많이하냐! 하면 쌍춘년에 결혼하면 봄..

과연 4살차이라면 궁합도 안봐도 되는 걸까?

과연 4살차이라면 궁합도 안봐도 되는 걸까?. 이제 코로나에서도 벗어나고 봄이 다가옴에 따라 결혼식을 많이 올리는 시기라고 할수 있죠 그런데 옛날 어르신들이 남녀가 결혼을 함에 있어 4살 차이는 궁합을 안봐도 좋다라는 말 많이 하시는데요. 오늘은 이 이야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흔히들 하는 말중에 남녀가 4살차이면 궁합도 안본다는 이야기가 있죠, 이건 사실 연상이든 연하이든 관계없이 4살차이면 남녀가 잘 어울린다는 의미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도 대부분이 남자가 나이가 많은 추세이다 보니 그냥 남자가 4살 연상이라야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실제는 남자가 연상이든 여자가 연상이든 관계는 없답니다 과연 4살차이라면 궁합도 안봐도 되는 걸까? 정말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 속설은 민간신앙이나 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