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6

12월 7일은 대설(大雪)! 대설의 의의와 풍속과 시절음식은?

안녕하세요. 이제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었죠. 기온은 영하로 많이 내려가고 눈도 내리겠죠 오는 12월 7일. 그날이 바로 24절기 가운데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대설(大雪)인데요 오늘은 대설의 의의와 풍속과 시절음식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대설(大雪). 큰대자 눈설자로 눈이 많이 온다는 날임은 다 알수있겠죠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한 절기로서 이 유래는 원래 재래 역법(曆法)의 발상지이며 기준 지점인 중국 화북지방(華北地方)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절기이기 때문에 사실 우리나라의 절기와 실제 적용은 조금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 그러니 이 날에 꼭 큰 눈이 내린다는 보장은 없고, 실제로 우리나라는 이 절기가 지나는쯤에 눈이 더 많이 내린다고 할수 있겠죠. 하지만 북부의 날씨와는 비..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오늘은 우리가 알고있는 내용과 전혀 유래가 다른 개판오분전, 이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혹시 개판5분전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이 ‘개판 오분전’, 이라는 말은 아수라장, 어찌해볼 수 없는 혼돈 이렇게 알고 계시죠 개판오분전은 관용구로 국어사전에는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상황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해석된답니다.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아무튼 그 유래를 보면 개판의 ‘개’를 키우는 개(犬)로 아시는 분이 많은데, 우리가 아는 dog판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럼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좀더 저세히 알아보면 이 말이 생겨난 지역이 부산이라고 합니다. 지금의 국제..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지난 28일밤 월드컵 가나와의 경기 잘 보셨죠 16강 진출의 분수령이라고 하는 가나와의 경기에서 비가 오는데도 서포터즈들이 열심히 12번째 선수도 응원했습니다만 2:3으로 패해 많이 아쉽네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월드컵의 역사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는데요. 1954년 스위스 월드컵을 시작으로 58년 대회는 축구협회가 까먹고 신청안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66년 잉글랜드대회에는 북한이 너무잘해 질까봐 두려워 신청조차 안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잘 모르거나 기억속에 사라져가는 월드컵의 역사와 해프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지금 카타르에는 월드컵이 한창 열리고 있는데요. 월드컵..

일반생활 상식 2022.11.30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사람이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는 소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죠 부부간에도 마찬가지인데요. 부부간의 대화가 실종된다면 참으로 불행한 삶을 살아간다고 할 수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행복한 부부대화 10계명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여러분 사람간의 이해충돌이나 좋지않은 일이 있을 때 가장 먼저 대화로서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게 가장 좋다고 하죠 직장에서의 대화법도 있고 어른과의 대화법도 있고 친구와의 대화법도 있겠지만 \ 오늘은 먼저 가장 가까운 부부간의 행복한 대화법에 대해 알아봐야죠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1. 짜증섞이거나 부정적..

일반생활 상식 2022.11.28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우리가 드라마를 보거나 일상생활중에 호칭을 들으면서 궁금해 할때가 많이 있죠 그래서 오늘은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등 햇갈리기 쉬운 호칭 구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예전에는 3대가 같이 사는등 여러가족이 한곳에 모여 살았지만 요즘들어서는 핵가족 시대에 살고 있어 매제 또는 매부, 제부 또는 형부등의 호칭은 집에서 불릴 이유가 잘 없죠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그러나 집안의 결혼식이나 명절, 제사, 묘제 같은 곳에 가면 여러친척이 한곳에 모이므로 다양한 호칭을 알아둘 필요가 있죠 ​ 특히 남자형제만 있는 경우 생전 부를 일이 없고 겨우 친척 누이들이나 ..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어르신들이 아무런 의지도 없이 되는대로 행동하는 모양이나 뒷짐지고 아무생각없이 있는 사람보고 어영부영하다고 말을 하죠. 그래서 오늘은 이 어영부영의 유래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의지도 없고 아무생각이 없는 어영부영과 어영청의 유래~ 우리나라 말은 참 재미있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그 정확한 뜻을 모르는 체 그냥 어디서 듣거나 또는 느낌으로 이야기 할 때도 많다고 하죠. 여러분 어영부영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그렇다면 도대체 어영부영이란 말을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아들! 시험이 내일 인데, 공부 안하니?" "지금까지 공부하다가 잠시 머리식히는 거라구" "그렇게 어영부영 시간보내다가 지난 번 처럼 또 시험 망칠려 그..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오늘은 우리가 한번씩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쓰는 한문 사자성어이든 한글이든 뛰어쓰기가 정말 중요한 경우가 많은데요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말을 뛰어쓰기를 잘못하면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말이 되잖아요 오늘 제가 말씀드린 내용도 바로 어떻게 뛰어서 쓰고 읽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이상하게 또는 버릇없이 말한다고 할수 있는 한문성어 한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스개소리로 들어오는 한문사자성어 내자지덕(內子之德)에 대해~ 옛날에 결혼도 못하고 모든게 잘 풀리지않는 노총각이 드디어 아리따운 여성을 만나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요 두사람 결혼식에서 주례선생님의 주례사중에 이런말이 있..

가족의 범위는 어디까지? 촌수 따지는 법~~

가족의 범위는 어디까지? 촌수 따지는 법~~ 우리가 살아가는 중에 나를 포함해서 가장 가까운 공동체가 바로 가족이라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흔히들 가족이라고 하는 공동체의 범위가 어디까지 인지 성균관에서 말하는 범위를 알아보고요. 촌수 따지는 법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족의 범위는 어디까지? 촌수 따지는 법~~ 여러분 가족이란 무엇일까요? 가족을 사전적 범위에서 알아보면 가족이란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라고 정의하고 있죠 그러면 가족의 범위는 도대체 어디까지 일까요? 가정은 조상으로부터 나에게로 이어졌고, 나로부터 자손에게로 물려지는 영원한 것이라 할수 있죠 가정은 나라와 사회라는 방대한 조직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

다이어트 식품이자 제사상 속 “상어고기”인 돔베기의 비밀!

다이어트 식품이자 제사상 속 “상어고기”인 돔베기의 비밀! 우리가 조상님의 제사를 모실 때 여러 가지 음식들을 진설하지만 그중에서도 오늘은 다이어트 식품이자 제사상 속 “상어고기”인 돔베기를 한번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어트 식품이자 제사상 속 “상어고기”인 돔베기의 비밀! 여러분은 혹시 “돔베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바로 경상도 지역의 제사상에 꼭 오르는 필수식품이라고 할수 있을정도로 경상도에서는 많이들 알고 있죠. 상어고기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썰고 염장해서 숙성한 것으로 간고등어랑 비슷한 원리로 만든 음식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제사의 경우 찜, 탕요리를 하거나, 넓은 절편만으로 꼬치산적을 굽는 경우가 많구요. 어떤 집은 동태전처럼 계란 발라서 굽기도 한다네요. 그리고 그냥 날것이나 제사 때 사용..

제사상에 전을 올리지마라. 성균관의 차례상 간소화 방안

제사상에 전을 올리지마라. 성균관의 차례상 간소화 방안! 오늘은 지금까지 우리가 제사를 지내오던 방식이 잘못되고 있다고 지난 9월 5일 성균관에서 발표한 것으로 우리의 전통문화인 차례상 간소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사상에 전을 올리지마라. 성균관의 차례상 간소화 방안! 명절이 다가오면 차례상 준비로 스트레스를 겪는 집안이 적지 않다고 하죠 여자는 여자대로 음식을 사서 조리하고 준비해야 돼서, 남자는 거들어 주지 않는다며 구박을 받는 등 가족 불화로까지 이어져 심지어 이혼까지 하는 가정이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빗대어 명절 증후군이라고 말하잖아요. 산 사람이 죽은 사람 때문에 고통을 받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책이 나왔다고 하는데요 제사상에 전을 올리지마라. 성균관의 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