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5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이 태어나면 누구나 한번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죠? 단 일찍 죽음을 맞이하고 늦게 맞이하고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하지만 누구나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그 내용을 한번 알아볼까요 사람이 죽음을 앞두고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들은? 사람들은 모두가 독특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방법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의 육체는 삶의 마지막 날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준비한다고 하죠 누구나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나타나는 증후와 증상으로 당연히 의학적으로는 혈압감소. 산소포화도 감소. 맥박수 증가가 발생하구요. 그 외 우리가 볼 수 있는 증상으로 1. 식욕음료나 음식에 대한 소비 감소 식욕감소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보통 먹..

안중근, 정주영이 말한 一勤天下無難事(일근천하무난사)

안중근, 정주영이 말한 一勤天下無難事(일근천하무난사)! 오늘은 명언중에 남송대 유학자 주희가 부지런할 것을 강조하며 남긴 말이자 안중근의사가 옥중에서 사형전에 쓴 글이자 현대그룹 고 정주영회장이 평소좋아했다는 문구이자 명언으로 알려진 일근천하무난사(一勤天下無難事)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안중근, 정주영이 말한 一勤天下無難事(일근천하무난사)! 특별히 어려운 한문은 없죠. 이말의 의미는 부지런하면 평생을 삶의 집에서 살고, 게으름은 죽음의 집에서 살게 된다는 의미죠. ​즉, 부지런한 사람의 마음은 죽음도 모를 것이고, 게으른 사람의 마음은 이미 죽음에 이른거나 마찬가지라는 의미가 있는 글이랍니다 이글은 남송대 유학자 주희가 부지런할 것을 강조하며 남긴 말인데요 안중근의사가 옥중에서 사형전 이..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을하는 기회가 엄청 많다고 하죠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절을 한번하고 돌아가신분들한데는 절을 두 번하고요 부처님한데는 절을 세 번한다는 과연 부처님께 세 번 절을 하는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절을 해야 하는 경우는 엄청 많죠.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라서 어르신을 찾아뵐때도 절을 하고 설날에는 세배를 하고 상을 당할때는 문상을 가고 불교신도는 절에가서 기도를 하는등 절을 하는 기회는 엄청 많다고 합니다 살아있는 사람에게 1번, 죽은 사람에게 두번, 부처님께 3번 절을 하는 이유? 오늘은 이미 앞에서 말씀드린대로 우리가 절을 하는 방법중에 불교의 인사법, 즉 부처님께 절은 왜 3번을 하는지에 ..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상식이지만 남자는 바지를 많이 입고 여자들이 치마를 많이 입는데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시청자 여러분 남자가 바지를 입는 이유는 다 아시죠? 여자들이 치마를 입는 이유는 특별히 2가지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 첫째가 우리가 평소 알고있는 바로 그 이유 이구요.. 또 다른 이유는 지구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기 쉽게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오늘은 먼저 우리가 평소알고 있는 이유, 물론 잘 알고 있지만 한번 되돌아보는 의미에서 정리해보고요. 지구의 에너지를 받아들이기 쉽게 하기위한다는 내용은 다음시간에 한번 같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남자는 바지를 입고 여자는 치마를 많이 입는 이유는? 고대 인류의 신체(身體)는 어떠했..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이제 한달정도 더 있으면 추석이 다가오죠. 추석이되면 또 차례를 지내게 되는데요 매번 하게 되는거지만 매번 차릴때마다 헷갈리는 게 바로 제사상이나 차례상 차리는 법 아닌가 싶어요. 차례상을 차릴때 쓰는 과일이랑 생선 이런건 장을 보러가면 기억대로 구입을 하지만 차례상에 음식을 놓을때 과일이 어디였더라 생선은 어디에 두나고민이 되죠 매번 햇갈리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vs차례상 차이! 물론 가가예문이라고 하지만 예부터 전해오는 원칙에 대한 사자성어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여러분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이렇게 차례상을 차리는 것은 무슨 근거에서 비롯된 것인가 하면요 가장 많이 드는 근거가 바로 『주자가례(朱子家禮)』와 『격몽요결(擊蒙要訣..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우리가 보통 상가집을 방문할때는 검은색 옷을 입죠. 넥타이도 검은색을 착용하구요 장례식에서 검은색 옷을 입는 것은 당연한 예의로 알고 엄숙한 분위기인만큼 예복을 갖춰 입는 것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왜 검은색 옷을입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왜 장례식장에서 검은색 옷을 입고 언제부터 검은색 옷을 입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에서 검은옷을 입는 이유와 검은색의 의미는? 먼저 검은색 옷은 어떤 의미인지부터 알아볼까요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을 통해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죠. 음양오행에 따라서 유교에서는 붉은색은 양(陽), 검은색은 음(陰) 을 뜻하는데요. 그래서 검정색은 나쁜 의미의 색이죠. 우..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불길한 예감이 들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그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장 불길하고 두려워한다는 13일의 금요일! 과연 미신일까? 요즘 주식이 많이 떨어졌다고 하죠. 우크라이나 사태와 환율, 물가상승등으로 인해 주식은 물론이고 경기가 전반적으로 바닥의 시궁창으로 자꾸만 떨어지고 있다고 아우성입니다 전에는 13일의 금요일에만 주식하지 말란 말이 있었지만 요즘은 워낙 하락하여 아예 주식을 하지말란 말까지 있죠. 그러나 기회는 뭔가 어려울 때 나온다고 하니 기회를 틈타서 언젠간 쨍하고 해뜰날이 또 오길 바라야 겠고 그렇게 해야겠죠 13일의 금요일! 사람들은 왜 13일의 금요일을 두려워할까요? 사실 영화의 ..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요즘 부모자식간에도 직장관계로 사는곳이 다른사람이 많죠. 따라서 1년에 한번씩 지내는 지제사도 종손인 경우에는 그 횟수가 정말 엄청 많죠 4대봉사를 한다면 그 많이 늘어나구요 그래서 오늘은 기제사의 합설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부모,조부모등 조상님의 제사를 한꺼번에 지내는 합설~ 요즘 세월이 많이 변하고 간편하게 바뀌고 있죠? 예전에는 10년이면 세대차이가 난다고 했으나 요즘은 1년이면 세대차이가 난다고 할정도로 급속도로 변하고 있죠 그러나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이 바로 전통제례문화, 그중에도 조상님을 위한 제사가 그렇다고 할수 있겠죠 최근 세상도 바뀌었는데 돌아가신 부모님 조부모님 제사를 합쳐서 1년에 한번만 지내면 어떤가 묻는 사람들을 ..

사라져가는 지역별 사투리(경상도편)

사라져가는 지역별 사투리(경상도편)! - 가시개 : 가위 - 각(갑)제 : 뜬금없이 - 개살시럽다 : 남을 못살게 굴다 - 갱빈 : 들판 - 거랑 : 냇가, 도랑 - 걸그치다 : 걸리적거리다 - 걸배이 : 거지 - 고방 : 정미소, 창고 - 고봉 : 수북히 담긴 모양 - 곡개이 : 우스광스러운 사람 - 구루마 : 소가 끄는 수레 - 까끄래기 ; (보리)껍데기 - 까디 : 땔깜, 좀 굵은 나무 까자구 : 가재 - 까치리하다 : 까칠스럽다 - 까칠시럽다 : 까다롭다 - 깨작깨작 : 소심하게 조금씩 조금씩 - 꺼시, 껄께이 : 지렁이 - 꼬랑대기 : 꼬리 - 꼬래비 : 꼴찌 - 꼬롬하다 : 화통하지 못하다 - 꼬불치다 : 모르는 곳에 숨기다 - 꼬시다 : 유혹하다 - 꼬장개이 : 막대기 - 꼬장주, 사리마다 ..

자형과 매형! 무엇이 맞고 그 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자형과 매형! 무엇이 맞고 그 의미는 어떻게 다른지? 우리가 쓰는 호칭중에 자형과 매형이라는 말이 있죠 같이쓸수있고 같은 의미이지만 이들의 호칭은 엄연한 구별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자형과 매형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형과 매형! 우선 이들의 의미부터 한번 알아볼까요 먼저 자형인데요. 한문으로는 이렇게 쓰죠 자형(姊兄) 자자는 윗누이자 이죠 이걸 해석하면 손위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라 할수 있죠. 예전부터 주로 남부지방에서 누나의 남편을 부를때 자형이라고만 했는데요 그러나 지금은 남부지방에서도 중부지방처럼 누나의 남편을 매형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몇 십년 전에는 매형이라는 말은 거의 사용을 안했고 누나의 남편을 부를때 자형이라고 불렀죠 그런데 이 자형이라는 말을 우리나라 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