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5

일상(직장)생활에서의 사람간에 부르는 올바른 호칭!

일상(직장)생활에서의 사람간에 부르는 올바른 호칭!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직장이나 일상생활에서 호칭을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또, 몇 대조 몇세손할 때 대와 손의 계산법에 있어 고민이 될 때가 엄청 많죠 그래서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상(직장)생활에서의 사람간에 부르는 올바른 호칭! ◈ 남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그이', '그 사람'이라는 호칭이 무난하며, 가까이 옆에 있을 때는 '이이', '이 사람', 떨어져 있을 때는 '저이', '저 사람'으로 바꾸어 부른다. 남 앞에서 남편을 소개하거나 지칭할 경우에는 '제 남편', '우리남편' 등으로 '남편'을 써야 옳다. ◈ 남 앞에서 아내를 부를 때 '집사람', '안사람'이 적절한 호칭이다. 윗분 앞에서는 '..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우리가 부모님이 돌아가실때는 그 자식들이 모두 상주라고 하죠 그러나 돌아가신 자식 모두를 상주라 하지않고 상주와 상제를 구분하는 것은 아셔야 겠죠 그래서 오늘은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모가 돌아가시고 거상중에 있는 상제와 상주의 구분과 역할! 상제와 상주! 지역에 따라서 구별을 하지 않는 가문과 지역도 있지만 상제와 상주는 비슷한 말이지만 약간 다르다고 할수 있죠. 먼저 상제(喪制)인데요 상제라는 말이 사전에 나오는대로 정의하자면 부모 또는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서 거상 중에 있는 사람, 즉 거상중에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답니다 그럼 상주(喪主)는 어떻게 나올까요 상주란 주(主)가 되는 상제(喪制)로서 대개 장자..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 편)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편) ​ ~했는데 ~브렀제 ~하제 ~잉 ~랑께 ~당께 ~으까 ~냐 등 말 끝맺음에 위의 말을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요 ㅎㅎ 지역별 사투리 모음(전라도편) 1. 가까이 와 - 뽀짝 붙어브랑께 2. 가꼬 - 가지고 3. 가꼬다, 갈꾸다 - 가꾸다 4. 가나그 - 계집애 5. 가녑하다 - 간섭하다 6. 가는귀묵다 - 가는귀먹다 7. 가리 - 가루 8. 가리메 - 가리마 9. 가상구 - 가시 10. 가생이 - 가장자리 11. 가스나, 가시나 - 여자아이, 나이 어린 12. 가슬 - 가을 13. 가시개 - 가위 14. 가심 - 가슴 15. 가심팍 - 가슴통, 둘레의 크기 16. 가직한 - 가까운 17. 각다분하다 - 정리가 잘 된 18. 각단지다 - 잘 정리가 된 19. 간나구 - 간사스러..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오늘은 누구나 죽음에 이르렀을 때 죽음을 표현하는 용어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이나 열반,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죽음을 표현하는 타계, 별세, 운명, 작고, 서거, 영면, 입적, 소천이란 명칭의 의미와 부고와 부음의 차이, 그리고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를 전달하는 방법! 우리가 주변에서 돌아가신분에 대해 죽음을 표현할 때 그사람의 신분, 종교 등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는 것을 많이 느끼셨죠. 특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높혀서 ..

묘제(墓祭)순서와 시기, 의의와 유래는?

묘제(墓祭)순서와 시기, 의의와 유래는? 이제 내일이면 추석이구요. 다음달이면 본격적으로 묘제(墓祭)시기가 다가오죠 그래서 오늘은 지금은 많이 사라져 가지만 아직도 전통을 이어져 오고 있는 묘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제사는 다 아시죠, 묘제는 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로서 기제를 모시지 않는 5대조 이상(친진,親盡)의 조상에게 1년에 한번 지내는 세일사(歲一祀) 묘제와 기제를 모시는 4대친(친미진,親未盡,고조-부모)에게 계절에 따라 지내는 묘제로 구분할 수 있죠. 에 의하면 세일사 묘제는 10월 1일에 지내고, 4대친 묘제는 3월 상순에 지내고 1일 전에 재계한다고 하지만 요즘은 4대친 묘제는 잘 지내지 않는다고 하죠. ​5대조이상 세일사묘제는 기제의 대상이 지난 봉사손(장손)의 5대조를 바로 세..

2022년 태풍의 종류와 발생원인, 발생지역, 대처방법은?

2022년 태풍의 종류와 발생원인, 발생지역, 대처방법은? 지금 역대급 강우량과 바람을 동반한 태풍11호 힌남노가 올라오고 있어 한반도가 초긴장 상태에 들어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2022년 태풍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 이름과 유래, 태풍의 발생원인, 태풍발생지역, 태풍이 왔을 때 대처방법에 대해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2년 태풍의 종류와 발생원인, 발생지역, 대처방법은? 얼마전 서울경기강원충청등 중부지방에는 그야말로 물폭탄이 떨어져 난리를 격은바 있는데요 그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역대 최대급 태풍인 힌남노가 강도를 점점 더해간다고 하니 정말 걱정이 안될 수가 없죠 그래서 지금부터 2022년 태풍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 이름과 유래, 태풍의 발생원인, 태풍발생지역, 태풍이 왔을 때 대처..

일반생활 상식 2022.09.05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오늘이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이네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하면서도 햇갈리는 호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우리가족과 친척간에 대해 알아보고요. 다음시간에는 직장이나 사회생활에서의 호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간의 올바른 호칭법은? 자신, 부모, 사위, 며느리, 사돈 등. 呼稱(호칭)은 특정한 사람을 불러 일컫는 말이죠. 상대를 불러 일깨울 때, 상대에게 자신을 가리켜 말할 때, 대화중에 특정한 사람을 일컬을 때 호칭이 쓰이는데요 서로간의 관계에 따라 서로를 부르는 호칭도 다르고 아울러 제삼자를 일컫는 호칭도 달라지므로 호칭은 가리키려는 사람을 정확하게 표시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상대에 대한 존중을 잃지..

싸움을 하다가 불리할때는 줄행랑을 치라는 三十六計의 의미는?

싸움을 하다가 불리할때는 줄행랑을 치라는 三十六計의 의미는? 우리가 예전에 어르신들이 싸움을 하다가 불리할때는 36계 줄행랑을 치라는 말을 들어보셨죠 이러한 三十六計! 36계의 의미가 무엇인지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병법 36계라 하면 병법에 관한 36가지 계책을 가리키는데요. 중국의 병법서이죠 계책의 예시가 되는 36가지 일화가 모두 한자성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총 6가지의 상황 분류에 각각 6가지의 계책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총 36계라고 하죠 저자는 흔히 남조 송(宋)의 명장인 단도제(檀道濟)로 알려져 있어 이를 흔히 단공삼십육계(檀公三十六計)라고 부르기도 한다네요. 정사인 남제서(南齊書)에 단공(檀公: 단도제)의 서른여섯 가지 계책 가운데 달아나는 것이 제일이다라는 ..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내일이 8월 18일이죠. 여러분 혹시 76.8.18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세요 지금은 기억속으로 사라져가지만 바로 8.18 판문점 도끼 살인이 일어난 날이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당시 만행 사건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8.18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전말과 진실은? 여러분 요즘 남북관계가 극도로 좋지않죠. 핵실험은 김정은이 명령만 내리면 언제든지 실험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었고 남북관계는 타협을 모르고 적대적으로 변모하고 있죠 문재인 정부 5년동안 북한을 그렇게도 영웅시하고 대접해줬건만 돌아온건 소대가리란 말뿐인지 정말 안타깝기도 합니다. 그럼 이 8.18사건의 전말을 한번 알아볼까요 먼저 당시 대한늬우스를 잠깐 한번 보고 시작할까요 잘 보셨나요. 이처..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5少 13多! 이런말 말이 들어보셨죠. 그만큼 우리들 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SNS나 구전이야기로도 많이 전해지는거겠죠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는 건 당연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알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행복하게 살기위한 5가지 적게해야 할 사항과 13가지 많이 해야 할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나씩 알아보고자 합니다 행복하게 살기위한 5少 13多! 그 내용들은 무엇인가? 먼저 ​[5少] 01. 소식(少食) 과식하지마라 인데요. 십장생의 동물들은 위의 80%에만 음식을 채웠다고 하죠 지금도 건강채널이나 전문의가 하는 말을 보면 소식하면 건강하고 오래산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건강에 무리가 생길정도로 적게 먹어란 말을 아니죠. 02. 소언(少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