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예절 및 상식 162

상견례 예절... 시간, 장소, 메뉴 정하는법, 대화주제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남녀한쌍이 결혼을 하기위해 양가 가족들이 처음 얼굴을 보고 대화를 나누는 상견례 예절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견례는 결혼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양가 부모님들께서 정식으로 마주하게 되는 첫 번째 공식적인 자리인데, 가풍이나 형편에 따라 민감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견례를 진행할때에는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답니다. 특히 결혼 당사자들이 양가의 주선으로 만난 것이 아니라면 서로의 집안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여러가지 돌발상황들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양가의 입장 차이가 생기게 되면 결혼을 진행하는 것이 몹시 힘들어지거나 최악의 경우 결혼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경우도 종종 생기고 있을만큼 중요하답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실속을 중요시 하기 때문에 결혼을 준비..

제사지내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지내는 순서 등

제사지내는 법 및 제사의 순서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사의 의의와 제사지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물론 다 아시겠지만 제사란 무엇이냐에 대해서 알아보면 제사란 조상의 신을 모셔와서 음식이나 술을 대접하는 예식으로서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고 영혼을 불러오고 인사를 하고 맛있는 음식을 드시게 하는데요 ​ 제사라고 하면 설날, 추석, 기제사 이렇게 3번을 지내는걸로 알고있죠 우리가 보통 제사라고 하면 일년에 한번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를 말하고 추석에는 일종의 추수감사제, 설날에는 세배를 올린다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이 제사를 옛날에 문중끼리 모여살고 대가족이 같이 살아 많을 때는 홀기를 읽으면서 지냈다고도 하는데 요즘은 간소화되고 홀기가 전부 한문으로 되어 있어 젊은 분들이 알아듣지 못해 극소수 제..

삼재(三災) 및 삼재풀이, 2022년 삼재띠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연세많은 어르신들로부터 자주 들어오는 삼재(三災) 및 삼재풀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사람에게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 즉 三災(삼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할께요. 3재의 3가지 종류를 보면 ① 도병재(刀兵災):연장이나 무기로 입는 재난, ② 역려재(疫癘災):전염병에 걸리는 재난, ③ 기근재(飢饉災):굶주리는 재난이 있답니다. 또 대삼재(大三災)라 하여 ① 불의 재난(火災), ② 바람의 재난(風災), ③ 물의 재난(水災)을 말하기도 한다네요. 삼재는 간지기년법에 의해 파악되기 때문에 태어난 해의 간지가 그 기준이 되는데요 일단 삼재가 들면, 3년 동안 머무르게 되죠 삼재의 그 첫해는 ‘들삼재’, 둘째 해는 ‘묵삼재(또는 눌삼재. 눌림삼재)’, 셋째 해는 ‘날삼재..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 그 유래와 방법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 그 유래와 방법은 오늘은 우리민족의 전통 민속놀이인 윷놀이에 대해서 소개할까 합니다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속놀이로 예전에는 명절에 마을별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거나 대회를 하곤 했는데요. 특히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기면서 노는 놀이로서.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합니다. 윷놀이 유래에 대한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아직 그 정설은 없는데요 부여의 관직명인 저가(猪加)·구가(狗加)·우가(牛加)·마가(馬加)·대사(大使)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는 가설이 현재까지는 유력하게 전해지고 있는데 한번 알아볼까요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에 대해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자료는 중국의 『북사(北史)..

여자가 절하는 방법/작은절, 보통절, 큰절 등

얼마전에 이 블로그에서 절의 의의와 음양사상, 절의 횟수, 그리고 남자가 하는 절의 종류와 절하는 요령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여자가 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을 해야 하는 기회가 엄청 많죠.. 몇달있으면 우리민족의 대명절인 설날이라 어르신들 뵙고 세배도 해야하고 차례도 지내야 하는데 이때 절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절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예절이라고 했죠 여자가 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기전에 먼저 절의 종류를 한번 여자가 하는 절의 종류도 남자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요 여자는 작은절, 보통절, 큰절, 매우큰절로 ..

49재의 의미와 상차림, 복장에 대하여

49재의 의미와 상차림, 복장에 대하여 오늘은 사람이 돌아가시고 장례일이 끝나면 하는 의식중 49재(四十九齋)의 의미와 상차림 복장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이 살고 죽는것은 하늘의 운명이며 이것은 아무도 거스릴수 없는 과정으로서 오는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말이 딱 맞는것 같습니다. 비록 오래사셨거나 지병으로 인해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도 그렇고 갑작스럽고 황망하게 상을 당하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모르게 장례를 치르게 되고 장례일정이 끝나면 탈성, 49재등 여러가지 의식들이 또 기다리고 있죠. 요즈음은 장례지도사분들이 상을 당하면 찾아오셔서 친절하게 절차나 준비해야 할것들을 일러주시지만 기본적인 것을 알고 있으면 조금은 덜 당황스럽고 여유가 있을것 같습니다. 그럼 도대체 49재의..

국군의 날 숨겨진 비밀은? 38선 최초로 돌파한 날....

안녕하세요! 10월이면 기념일이 엄청 많다고하죠 10월 1일이 국군의 날 10월 3일이 개천절,9일이 한글날인데요 3일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고요 9일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하여 지정되었는데요 ≪훈민정음≫ 원본의 말문(末文)에 적힌 ‘정통(正統) 11년 9월 상한(上澣)-세종 28년 9월’을 양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어, 이 날을 한글날로 정하였다고 합니다 국군의 날은 우리나라 국군이 처음으로 창군된 날을 기념하기 위한 날일까요 그건 아니랍니다. 그럼 어떤날일까요? 지금부터 국군의 날에 숨겨진 비밀을 알아볼까 합니다 국군의 날! 우선 사전적인 의미를 보면 한국군의 위용과 전투력을 국내외에 과시하..

연령대별 호칭을 알아두시면 일상생활이 편해요

연령대별 호칭을 알아두시면 일상생활이 편해요 우리가 살아가면서 약관, 불혹의 나이등이란 말을 많이 사용하죠 오늘은 이러한 연령에 대한 호칭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연령대별 호칭을 잘 몰라서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겪는 애로가 참 많다고 하죠 ​ 이 동영상을 보시면 더 자세히.. 저 많은 연령대별로 상세시 설명되어 있습니다 길지 않으므로 끝까지 한번 보세요 동영상만 보시면 잘 알수 있어요 연령대별 호칭! 2~3세 어린아이는 孩提 (해제)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으로 志學 (지학) 남자는 스무살에 冠禮(관례)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는 뜻인 弱冠 (약관) 그래서 요즘 젊은이들이 약관이란 말을 자주 쓰나 봐요 ​ ​ 서른 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는 뜻 而立 (이립) 공자는 40세가 되..

4대봉사! 제사를 4대까지만 지내야 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추석이 지났는데요. 오늘은 우리가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내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옛날 어르신들로부터 제사지낼 때 4대봉사라는 말 들어보셨죠 봉사(奉祀)라는 말은 '제사를 받든다'는 의미이며 4대봉사는 4대에 걸친 조상들의 제사를 받들어 모신다는 뜻이지요.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 즉, 4대봉사일까요? 4대봉사에는 다 이유가 있답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죠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와 파장이 같은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다네요. 1대를 25년으로 하면 4대조는 100년이 되는 셈이죠. 돌아가신 분은 100년 동안은 바로 자기의 가족이나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는 것이랍니다. ..

절하는 방법(큰절, 평절, 반절) 및 횟수, 의의와 음양사상

절하는 방법(큰절, 평절, 반절) 및 횟수, 의의와 음양사상 오늘도 코로나19확진자는 1,900명 정도로 거의 2,000명에 육박하네요 여름은 이렇게 저물어 가건만 코로나19는 종식될 생각을 하지 않네요 오늘은 우리가 명절에 어르신들에 인사하고 차례때도 하는 절에 대한 의의와 음양사상, 그 절의 종류 및 절하는 방법, 절의 횟수등 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을 해야 하는 기회가 엄청 많죠.. 조금있으면 추석이라 어르신들 뵙고 인사도 해야하고 차례도 지내야 하는데 이때 절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절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절의 의의와 음양(陰陽) 사상에 대해 알아볼까요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