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이것만 잘 드셔도 100% 치매예방 된다고. 과연 무엇이길래?

이것만 잘 드셔도 100% 치매예방 된다고. 과연 무엇이길래? ​안녕하세요. 우리주변에 있는 식품들을 통한 건강비결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치매예방에 최고라는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현대인들에게 나이가 들수록 찾아오는 가장 큰 불청객이 바로 치매라고 합니다 우리가 치매라고 통칭하는 노인성 치매와 초로기 치매라고 불리는 알츠하이머 질환은 1910년 경부터 세분화되고 연구가 되기 시작했다고 할수 있답니다 그러나 치매는 아직까지 명확한 치료법과 완치를 위한 확실한 치료약이 개발이 되지 않아 예방만이 최우선이라고 합니다 이것만 잘 드셔도 100% 치매예방 된다고. 과연 무엇이길래? 모든병이 다 그렇겠지만 치매도 역시 음식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말할수 있겠죠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치매의 발병의..

경주이씨에서 분적하였다는 전주이씨의 유래,시조,분파,주요인물은?

경주이씨에서 분적하였다는 전주이씨의 유래,시조,분파,주요인물은? 우리나라에는 여러종류 성씨가 있고 이를 본관별로 구분해도 다양한 본관성씨가 있다고 하죠 그래서 김해김씨와 밀양박씨에 대해 먼저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우리나라 본관성씨중 우리나라에서 세번째로 많다는 본관성씨인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등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 전주이씨는 원례 전주(全州)에서 대대로 살아왔다고 하죠. 시조(始祖)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말기 사공(司空) 벼슬을 지낸 이한(李翰)이며 호는 견성(甄城)이고, 중시조는 태조 이성계라고 하는건 다 아시죠. 재미있는 성씨 이야기라는 출처에 의하면 이한의 조상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설과 신라의 토착 성씨인 경주 이씨에서 분..

호가호위(狐假虎威), 의미와 민주당 최고의원의 엉터리 해석은 과연 어떻게 했나?

호가호위(狐假虎威), 의미와 민주당 최고의원의 엉터리 해석은 과연 어떻게 했나? 우리가 사용하는 사자성어중에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말로 권력자를 뒷배경으로 두고 앞에서 전횡하는 소인배나 간신을 지칭할 때 쓰는 말로 호가호위(狐假虎威)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오늘은 이 호가호위의 의미를 알아보고요. 청와대 대변인을 지냈고 중국어과를 나왔다는 사람도 햇갈리는 이말이 무엇과 혼돈되는지도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狐假虎威(호가호위) : 여우호, 거짓가, 범호, 위엄위 사전적 의미로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호기(豪氣)를 부린다.는 것인데요 다시 말하면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린다는 의미랍니다 먼저 호가호위라는 말이 유래된 경위를 알아보고 그 다음 민주당 최고의원인 고민정의원이 어떻게 ..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속설, 민속놀이와 전통음식, 대보름에 먹지말아야 할 음식은?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속설, 민속놀이와 전통음식, 대보름에 먹지말아야 할 음식은? 여러분 내일이 무슨날인지 아세요. 바로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 바로 정월 대보름이랍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속설, 민속놀이와 전통음식, 그리고 정월대보름날 먹지말아야 하는 음식까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3년 새해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은데 설날도 지나고 벌써 한 달이 지나가버렸습니다. 그리고 내일이면 설날 다음으로 찾아오는 우리의 명절인 정월대보름인데요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은 농사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날이었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는 명절 중 하나였다고 하여 시골지역에서는 설날에 버금가는 큰 명절로 여겼는데요 특히 오곡밥을 해먹거나 또, 지불놀이, 달집태우기를 하거나 달을 보며 소원을 ..

2월 4일, 입춘의 의미와 입춘축의 종류 및 쓰는 법

2월 4일, 입춘의 의미와 입춘축의 종류 및 쓰는 법! 오는 2월 4일은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이죠. 그렇게도 춥던 겨울도 세월앞에는 더 이상 버티질 못하고 입춘(立春)이라는 절기앞에는 맥을 못 추는가 보네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입춘의 뜻과 입춘축 쓰는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2월 4일, 입춘의 의미와 입춘축의 종류 및 쓰는 법! 이번주말 2월 4일이 입춘이죠? 아직 겨울이 한창인거 같은데 벌써 입춘(立春) 이라니요!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고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된다고 하죠 입춘 뜻은 말 그대로 봄에 들어선다는 뜻 입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되는데요. 2월 4일, 입춘의 의미와 입춘축의 종류 및 쓰는 법! 입춘..

상가(장례식장)에서 꼭 지켜야 하는 예절과 하면 안되는 행동?

상가(장례식장)에서 꼭 지켜야 하는 예절과 하면 안되는 행동? 살아가면서 누구나 지인이나 친구, 직장동료, 선후배등의 상가를 방문할 기회가 많은데요 오늘은 이러한 장례식장 방문시 순서나 꼭 지켜야 하는 말과 행동등 장례식장예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가(장례식장)에서 꼭 지켜야 하는 예절과 하면 안되는 행동? 최근에 들어 코로나 영향도 있지만 살아가다 보면 일반적으로 경사보다는 흉사로 인해 찾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은에요 장례식장은 예절이 중요시되는 곳이고 집집마다 지역마다 장례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하나 하고 머뭇거리는데 몇 가지만 알고 가시면 그래도 좀 편하잖아요 그리고 또, 일반적으로 큰 줄기는 종교나 집안을 막론하고 비슷하니 제가 방송하는 것을 참고 하면 나름대로 상가집에서 크게 ..

효도는 백행의 근본, 효도를 위한 10가지 가르침(효도10훈)!

효도는 백행의 근본, 효도를 위한 10가지 가르침(효도10훈)! 세월의 흐름에 따라 모든게 다 변한다고 하지만 그래도 변치않는게 바로 효도라고 할수있죠 그래서 오늘은 효도를 하는 10가지 기본 가르침이라 할수 있는 효도 10훈(孝道十訓)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효도는 백행의 근본, 효도를 위한 10가지 가르침(효도10훈)! 누구나 부모없는 자식이 없다고 하죠? 그러나 요즘에 와서는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를 무시하고 부모님에게 효를 행하지 않는 세대들을 보면 참 한심스럽기도 하죠 물론 바쁘다 보니 시간이 없어서 효를 못하는 사람도 있고 방법을 몰라서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효라는 것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랍니다. 효도는 백행의 근본, 효도를 위한 10가지 가르침(효도10훈)! 1. 건강하라. 옛말에 "신체..

제사나 차례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제사나 차례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이제 내일이면 우리민족의 최대명절인 설날이어서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설날 제사(차례)를 지내고 새배를 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제사나 차례상에 절대 올리지 말아야 한다는 음식은 어떤 것이 있고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사나 차례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제사는 지방마다 그 지방의 풍습과 관례가 조금씩 다르며, 집안마다 가풍이 있고 예법이 따로 있어 서로가 약간씩 다르잖아요. 물론 오늘날에는 종교와 개인의 주관적 성질에 의해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형식을 아예 상관하지 않는 방향으로도 지내는 사람이 많이 증가하고 있죠 제사상에 피자를 놓고 지내니, 치킨을 놓고 지내니 여러말들이 많지만 실제로 아직 그렇게 지내지는 않죠 나름..

설날 지내는 제사와 기제사와의 차이점! 무축단작(無祝單酌)!

설날 지내는 제사와 기제사와의 차이점! 무축단작(無祝單酌)! 이제 이번주말이면 설 연휴로 인해 고향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겠죠 날씨도 춥고 눈도 내린지역이 많아 어느해보다 힘든 명절이 될것으로 예상되네요 그렇지만 민족의 대명절인 만큼 설날 차례와 어르신들을 뵙기 위해 어쩔수 없이 이동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설날지내는 제사(차례)가 일반 기제사와 다른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설날 지내는 제사와 기제사와의 차이점! 무축단작(無祝單酌)! 우리가 지내는 제사중에 돌아가신날 지내는 기제사가 있고 설날과 추석에 지내는 제사가 있는데요. 차례나 제사를 지내는 방법이 비슷하지만 분명히 차이점도 존재하는 만큼 오늘은 기제사와 명절에 지내는 차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례는 설날이나 추석등 명절에 지내는 제사입니..

2022.12.31 지자체별 인구수 및 인구순위, 1년동안 증감현황?

2022.12.31 지자체별 인구수 및 인구순위, 1년동안 증감현황? 요즘 가장 문제가 되는게 바로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에 있다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내가 살고 있는 도시. 시군구별 인구수와 지자체별 인구순위, 지난해비해 증감인원, 그리고 인구조사에서 나타난 특징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2.12.31 지자체별 인구수 및 인구순위, 1년동안 증감현황? 지난해말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상 인구수는 51,439,038명으로 전년도에 비해서는 20만명정도 감소하였답니다. 대부분의 지역이 감소하였지만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인 경기, 인천, 세종에서 조금 증가하였고요. 충남과 제주에서도 미세하게 증가하였네요 2022.12.31 지자체별 인구수 및 인구순위, 1년동안 증감현황? 100만명이상이 수원, 고양, 용..

일반생활 상식 2023.01.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