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제사, 전통혼례, 각종행사등에 있어 상석의 기본이 되는 원칙! 좌상우화, 남좌여우, 남동여서, 서동부서...

제사, 전통혼례, 각종행사등에 있어 상석의 기본이 되는 원칙! 여러분! 행사나 제사같은 의식을 치를 때 산 자는 좌를 높이고, 죽은 자는 우를 높인다는 말을 많이 들어오셨죠.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분들을 많은데요 돌아가신 조상님 제사나 살아있는 분들 행사 참석자의 지위나 남녀의 좌석 배치를 놓고 어느 쪽이 상석이고 아래인지, 좌우 중 어느 쪽이 위이고 밑인지, 또 그것이 바라보는 사람 쪽인지 아니면 당자사인 내가 보는 쪽인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져 혼란스럽고 헷갈리게 마련이죠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혼란스러운 자리배열에 대해 산 자는 좌를 높이고, 죽은 자는 우를 높인다, 남좌여우(男左女右), 좌상우하(左上右下)라는 말을 기준으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사, 전통혼례, 각종행사등에..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이제 며칠 있지않으면 동지(冬至)가 다가오는데요. 동짓날 하면 생각나는게 무엇일까요 바로 동짓팥죽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을 먹는 이유, 그리고 불교에서 팥죽의 유래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2월 22일은 동지, 팥죽의 유래와 동짓팥죽 먹는 이유? 여러분 이달 22일이면 밤이 가장 길다고하는 동짓날이죠 동짓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동짓팥죽을 찾게 되는데요 동지의 유래와 풍속등에 대해서는 이미 이 채널에서 알아본적이 있는데요 동지에 대해 좀더 자세히 보실려면 우측상단 자막을 클릭하시면 되구요 오늘은 먼저 동짓팥죽을 먹는 이유, 민간에서 전해지는 팥죽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유래를 알려면 무엇이든지 옛날로 좀 거슬러 올..

제사중간에 밥위에 숟가락을 꽂는 이유와 그 방향은?

제사중간에 밥위에 숟가락을 꽂는 이유와 그 방향은? 우리가 매년 기제사를 지내거나 명절에 차례를 지낼 때 가가예문이라고 해서 지금까지 해온대로 그냥 무의식적으로 지내는 것이라 별로 신경을 안쓰는데요. 그중에 제사 중간에 밥 위에 숟가락을 꽂는 이유와 꽂는 방향, 그리고 숟가락에 밥을 세 번 떠서 숭늉그릇에 밥풀을 푸는 이유, 음복을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사중간에 밥위에 숟가락을 꽂는 이유와 그 방향은? 우리가 제사를 지내는 사람은 최소 1년에 3번 이상은 지내게 되죠. 돌아가신날 지내는 기제사를 비롯하여 추석과 설날에 지내는 차례에 이르기 까지 지금은 음식도 간소화하고 절차도 간소화 한다고하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는 예전부터 어르신들이 지내는 방식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사중간에 밥위에..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우리가 전해오는 이야기나 성현들로부터도 우리의 가슴을 저미게 하는 모성애나 자식들의 처절한 효도를 엿볼수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 우화중에 연어와 가물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예로부터 전해오는 구전이야기에는 우화가 많다고 합니다 우화는 인간 이외의 동물 또는 식물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주는 설화를 말하는데요 그 우화중에 오늘은 모성애 가득한 연어와 효심 가득한 가물치 우화의 진실을 하나하나 파헤쳐 볼까요 모성애와 효자로 유명한 우와! 연어와 가물치의 유래!! 첫 번째 물고기로서 바로 깊은 바다에서 사는 연어(salmon)인데요. 연어는 연어과의 바닷물고기로 몸의 길이는 70~90cm이고 방추형이..

상주가 지팡이을 짚는 것과 부친상, 모친상 지팡이가 다른이유?

상주가 지팡이을 짚는 것과 부친상, 모친상 지팡이가 다른이유? 오늘은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왜 상주는 아프지도 않은데 지팡이를 짚을까하는 물음에 대한것과 부상(父喪)에는 대나무지팡이인 죽장을, 모상(母喪)에는 오동나무 지팡이를 짚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주가 지팡이을 짚는 것과 부친상, 모친상 지팡이가 다른이유? 먼저 제사나 장례식장에서 지금까지 전해온 예절이나 전통 이런걸 믿지 않으신 분들이나 부정하시는 분들을 이 방송을 보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죽는 것이 자연의 섭리라고 하죠. 하지만 우리선조들은 부모가 돌아가시면 잘 모시지 못해 돌아가신 것으로 여겨 죄인이라 여겼잖아요 그래서 상주는 시신을 싸 관에 넣고 상복으로 갈아입은 후 죄인처럼 머리에는 굴건을 하고 허리에는 동아줄로 매고 지..

12월 7일은 대설(大雪)! 대설의 의의와 풍속과 시절음식은?

안녕하세요. 이제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었죠. 기온은 영하로 많이 내려가고 눈도 내리겠죠 오는 12월 7일. 그날이 바로 24절기 가운데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대설(大雪)인데요 오늘은 대설의 의의와 풍속과 시절음식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대설(大雪). 큰대자 눈설자로 눈이 많이 온다는 날임은 다 알수있겠죠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한 절기로서 이 유래는 원래 재래 역법(曆法)의 발상지이며 기준 지점인 중국 화북지방(華北地方)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절기이기 때문에 사실 우리나라의 절기와 실제 적용은 조금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 그러니 이 날에 꼭 큰 눈이 내린다는 보장은 없고, 실제로 우리나라는 이 절기가 지나는쯤에 눈이 더 많이 내린다고 할수 있겠죠. 하지만 북부의 날씨와는 비..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오늘은 우리가 알고있는 내용과 전혀 유래가 다른 개판오분전, 이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혹시 개판5분전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이 ‘개판 오분전’, 이라는 말은 아수라장, 어찌해볼 수 없는 혼돈 이렇게 알고 계시죠 개판오분전은 관용구로 국어사전에는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상황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해석된답니다. 개판5분전의 개는 犬이 아니고 다른 의미가? 아무튼 그 유래를 보면 개판의 ‘개’를 키우는 개(犬)로 아시는 분이 많은데, 우리가 아는 dog판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럼 개판오분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좀더 저세히 알아보면 이 말이 생겨난 지역이 부산이라고 합니다. 지금의 국제..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지난 28일밤 월드컵 가나와의 경기 잘 보셨죠 16강 진출의 분수령이라고 하는 가나와의 경기에서 비가 오는데도 서포터즈들이 열심히 12번째 선수도 응원했습니다만 2:3으로 패해 많이 아쉽네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월드컵의 역사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는데요. 1954년 스위스 월드컵을 시작으로 58년 대회는 축구협회가 까먹고 신청안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66년 잉글랜드대회에는 북한이 너무잘해 질까봐 두려워 신청조차 안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잘 모르거나 기억속에 사라져가는 월드컵의 역사와 해프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북한이 무서워 출전을 포기한 적도 있는 월드컵 역사와 해프닝! 지금 카타르에는 월드컵이 한창 열리고 있는데요. 월드컵..

일반생활 상식 2022.11.30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사람이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는 소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죠 부부간에도 마찬가지인데요. 부부간의 대화가 실종된다면 참으로 불행한 삶을 살아간다고 할 수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행복한 부부대화 10계명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여러분 사람간의 이해충돌이나 좋지않은 일이 있을 때 가장 먼저 대화로서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게 가장 좋다고 하죠 직장에서의 대화법도 있고 어른과의 대화법도 있고 친구와의 대화법도 있겠지만 \ 오늘은 먼저 가장 가까운 부부간의 행복한 대화법에 대해 알아봐야죠 부부간의 알찬삶을 위한 부부대화 10가지 방법은? 1. 짜증섞이거나 부정적..

일반생활 상식 2022.11.28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우리가 드라마를 보거나 일상생활중에 호칭을 들으면서 궁금해 할때가 많이 있죠 그래서 오늘은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등 햇갈리기 쉬운 호칭 구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예전에는 3대가 같이 사는등 여러가족이 한곳에 모여 살았지만 요즘들어서는 핵가족 시대에 살고 있어 매제 또는 매부, 제부 또는 형부등의 호칭은 집에서 불릴 이유가 잘 없죠 햇갈리기 쉬운 호칭, 매제와 매부, 형부와 제부의 차이~ 그러나 집안의 결혼식이나 명절, 제사, 묘제 같은 곳에 가면 여러친척이 한곳에 모이므로 다양한 호칭을 알아둘 필요가 있죠 ​ 특히 남자형제만 있는 경우 생전 부를 일이 없고 겨우 친척 누이들이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