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6

기제사에 지방과 사진중 무엇이 예법에 맞을까요?

기제사에 지방과 사진중 무엇이 예법에 맞을까요? 이 채널 시청자 중에 기제사때 영정사진을 써도 되는지에 대해 물어오신분이 있어서 오늘은 그 질문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기제사에 지방과 사진중 무엇이 예법에 맞을까요? 요즘도 나이가 드신분들은 한문공부를 하였기 때문에 지방을 쓰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젊은 세대들은 한문과 접하지 않아 사실 지방쓰기도 쉽지는 않죠 그래서 영정사진을 놓고 제사를 지내는 사람도 많답니다. 그런데 이 영정사진을 보관하였다가 제사지낼때마다 꺼내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죠 하기야 조상을 모시는 것도 후손으로서 하나의 도리이니까 그 정도는 감수해야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제사에 지방과 사진중 무엇이 예법에 맞을까요? 그런데 과연 지방을 쓰는게 맞는지 영정사진을 쓰는게 맞는지 궁금..

100세 인생 대비 건강하게 늙어가는 방법은 어떤것?

100세 인생 대비 건강하게 늙어가는 방법은 어떤것? 요즘은 과학기술, 의료기술, 경제의 발전으로 기대수명이 '백세시대'를 맞이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백세인생 시대를 맞이하여 늙어도 품위있게 늙어가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재력이 많다는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도 결국에는 피할 수 없는 것이 노화인 것은 다 아시죠? 그렇지만 이왕 늙어야 한다면 품위 있게 늙는 방법이 있으면 정말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이고 저 노인네는 갈수록 더하네..이런말 보다는 "저 어르신은 뵐 때마다 항상 우아하신 것 같아." 이런 말을 듣는게 더 좋지 않으신가요? 그래서 지금부터 품위 있게 늙는 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100세 인생 대비 건강하게 늙어가는 방법은 어떤것? 1. 꾸준한..

집안의 제사를 장남이 꼭 지내야 할까요?

집안의 제사를 장남이 꼭 지내야 할까요? 오늘은 우리가 명절이나 돌아가신날 지내는 제사, 이 제사를 형제간에 돌아가면서 지내지 않고 대부분이 장남이 지내고 있는데요. 꼭 장남이 지내야하는지에 대해 한번 같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집안의 제사를 장남이 꼭 지내야 할까요? 이제 얼마있지 않으면 청명한식이 다가오죠. 이때는 조상산소 손을 봐도 된다는 날이죠 물론 올해는 또 윤달이어서 이중으로 좋은 날이 될 것 같아요 곧이어 또, 제사도 다가옵니다. 기제사나 명절이 되면 제사이야기로 모두가 시끌벅쩍하지만 지내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모두가 돌아가고 정말 조용하지만 지내는 사람은 엄청 신경이 쓰이죠 그럼 이 제사란 무엇일까요. 물론 다 아시겠지만 이 '제(祭)' 자는 제사제자로 피가 뚝뚝 떨어지는 소나 양, 돼지..

우리나라 성씨별 유래와 분파, 특징, 주요인물(4) 경주김씨편

우리나라 성씨별 유래와 분파, 특징, 주요인물(4) 경주김씨편!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으로 우리나라 인구중 180만명을 차지하고 있어 네 번째로 많다는 경주김씨(慶州金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성씨별 유래와 분파, 특징, 주요인물(4) 경주김씨편! 우리나라 김씨의 양대 산맥은 ▲김해김씨와 ▲경주김씨라는 건 다 알고 계시죠.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김씨는 이 두 김씨 중 어느 한쪽에 뿌리를 두고 있답니다 그러나 두 김씨는 성은 같지만 뿌리가 전혀 다르다는건 아세요. 김해김씨는 가락국의 김수로왕이 시조인 반면 경주김씨는 신라의 왕성인 김알지가 시조라고 합니다. 경주김씨는 신라 왕실의 3성인 박, 석, 김 가운데 하나인 것입니다. 경주김씨의 시조..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오늘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경험하게되는 인생 3사 3걸 3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요즘은 100세 인생이라고 말을 많이 합니다. 우리가 100세 인생을 사는 동안 중요한 점과 살아가면서 느끼는 점, 100세 인생이 가까워 지면서 필요한 점, 다시말해서 3사와 3걸, 3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인생 3사 3걸 3기! ●먼저 3사입니다 3사 라는 것은 첫째가 인사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인 인사는 내가 먼저할 때 기쁨은 배로 증가됩니다. 그래서 어린애들때부터 어른들은 늘 인사를 잘하라고 교육하고 인사하는 법을 가르친답니다 둘째는 감사입니다. 감사를 모르는 사람은 불평과 불만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우리는 요즘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하죠. 요즘에 와서는 삼식이가 되기싫어 또, 아침식사가 귀찮거나 출근 때문에 두끼만 먹는 사람도 많은데요 오늘은 이러한 세끼중에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점심(點心/lunch)식사의 유래와 의의 및 2식에서 3식으로 바뀐이유? 우리 인류가 농경사회때에는 주로 몸으로 일을 하던 시절이었죠 그땐 아침에 일을 하기 위해서 해가뜨면 아침을 먹기 시작했고, 일을 하다 보고, 해가 중천에 뜨니 배가 고프니 또 점심을 먹기 시작했고, 그리고 또 해지기 전까지 일을 하고 어두워 지니 마치고 저녁을 먹기 시작했다는 근거있는 유래가 있답니다. 이건 인류가 생존하기위해 자연스레 ..

제사상에는 왜 밥을 오른쪽에 놓는지, 제삿날을 돌아가시기 하루전으로 잘못 알고 있는 이유는?

제사상에는 왜 밥을 오른쪽에 놓는지, 제삿날을 돌아가시기 하루전으로 잘못 알고 있는 이유는? 우리가 지내는 제사를 비롯하여 동양의 예에 대한 일반적 평가는 '복잡하고 형식적'이라고 합니다. 특히 상례나 제례의 복잡함과 형식성은 엄격하게 상(喪)을 치러 본 사람이나 제대로 격식을 차려서 제사를 지내 본 사람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예중에서 제사상에서는 왜 밥을 오른쪽에 놓는지, 왜 제사를 돌아가시기 하루전에 제삿날이라는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지 그 이유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살아가면서 동양만큼 예학이 발달하고, '예'에 대한 논쟁이 많은 지역은 그리 많지 않다고 합니다. 물론 여기에는 우리나라가 동방예의지국이란 말도 한몫을 담당하게 되죠 아마도 처갓집 제사에서 사위가 '감 놔..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 오늘은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선생이 남긴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아니하다라는 의미의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이불루 화이불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이불루 화이불치 儉:검소할 검, 而:말이을 이, 不:아닐불, 陋루:더러울루 華:빛날 화, 而:말이을 이, 不:아닐불, 侈:사치할 치 어제 저녁 KBS 9시 뉴스가 끝나고도 이 문구가 나왔죠 영어로 blue ocean 말할 때 쓰는 blue가 아니고 한문이고요. 검자도 금요일할 때 금자가 아니고 검소할 때 쓰는 검자 이더라구요 이 고사성어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랜 역사서 에 전해지는 여덟 자로, 저자 김부식 선생이 백제의 새 궐..

기제사나 차례상에는 소주를 올리면 안될까요?

기제사나 차례상에는 소주를 올리면 안될까요? 우리가 조상님께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 보통은 정종을 많이 쓰는데요. 그렇다면 모든 음주 국민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 있는 소주는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올리면 안될까요. 소주를 올리지 말라면 왜 그런지 이유를 알아보고요. 차례나 제사상에 쓰는 전통주의 의의와 유래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추석이나 설날을 맞아 차례주(茶禮酒)는 뭘 쓸까? 또는 이번 기제사에는 술을 무순술을 쓸까이런 고민을 한번쯤 하는 사람은 그래도 우리의 전통예절을 알고 조상을 모시는 멋을 아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기제사나 차례상에는 소주를 올리면 안될까요? 일제 시대를 거치면서 차례상이나 제사상에는 일본 청주인 정종이 많이 오르게 됐죠. 망자(亡者)가 생전에 즐겼던 술을 쓰는 경우도 종종 ..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세계신화에까지 공통분모가 되는 숫자3에 숨겨진 비밀? 우리가 지구상에 태어남과 동시에 모든 것이 숫자와 연관된 삶을 살아가고 있죠 오늘은 이러한 숫자중에 3이라는 숫자가 왜 우리들의 가장많은 관심을 받고 세계 신화의 공통분모가 되었는지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 대부분이 바로 삼(3)이라 대답 할 것이죠. 그건 3이 좋아서라기 보다는 어려서부터 3이란 숫자를 하도 많이 듣고 보고 쓰다 보니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머릿속에는 숫자 3이 아마도 가장 입력이 잘 되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단군신화에서도 환인,환웅,단군을 3신으로 모셨고 훈민정음도 천,지,인의 세가지 기본으로 만들었고 식사도 하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