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6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여섯 번째 시간으로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경주이씨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통계조사 결과 거의 100만명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또, 현존하는 성씨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인류의 뿌리 성씨입니다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죠. 참고로 국내에는 2가지의 진주 강씨가 존재하는데 서로 한자가 다르다고 합니다, 성강자를 쓰는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고구려 도원수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구요. 편안한 강자를 쓰는 진주 강씨(晉州..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지금까지 이 채널에서 제사관련 시간이나 상차리는 법, 지방쓰는법 등 몇차례 올린적이 있으나 오늘은 기제사지내는 차례, 순서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他人之祭曰梨曰枾란 말 들어보셨죠. 이 말은 남의 제사에 감놓아라 대추놓아라 간섭하는게 아니라고 합니다. 저도 그래서 남의 제사이치를 간섭하는게 아니고 제사는 가가예문으로 문중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리고요 단지 제가 소개하는 내용은 가례등에 나오는 표준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전해오던 제사방식대로 지내시고 이건 참고만 하시고요. 저보고 이러니 저러니 말도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우리가 제사를 지내..

조상으로부터 몇세, 몇대등의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조상으로부터 몇세나 몇대, 세조와 대조, 세손과 대손!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우리가 문중행사나 어르신을 만날 때, 또는 지인을 만날 때 족보를 이야기를 할때가 더러 있죠.. 그때보면 몇세, 몇 대등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등의 말을 하는데요 과연 이 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올바르게 사용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상으로부터 몇세나 몇대, 세조와 대조, 세손과 대손!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우리가 집안에 대해 이야기할때보면 경주이씨 몇 대손입니다. 시조로부터 몇세나 몇 대입니다 이렇게 말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대와 대손, 세와 세손등을 햇갈려 잘못대답하는 경우가 더러있답니다 그럼 먼저 세(世)와 대(代), 世祖와 代祖, 世孫과 代孫등의 의미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먼..

제사도 이제는 장남이나, 장손, 아들만이 주재하는게 아니다!

제사도 이제는 장남이나, 장손, 아들만이 주재하는게 아니다! 오늘은 우리가 지내는 제사, 반드시 아들이 지내야 하는지에 대해 최근 대법원 판결과 연관지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제사는 누가 지내야 하나요? 이 물음에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들이 제사를 지내고 아들중에서도 장남. 장손이 주관하여 제사를 지낸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제사에 법정분쟁이 있을 때에도 대법원은 조상숭배를 통한 부계혈족 중심의 가계계승에 그뿌리를 두고, 가족과 호주상속등 복합적인 여러 가지 원인들을 볼 때 고인의 장남, 장손이 지내는 것을 인정하여 왔답니다 물론 제사에 있어서는 가족들이 의논하여 정하는 것이 가장 합당하며, 여기에 까지 법률적 의무를 규정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미풍양속에도 맞지 않다는 생각이 들..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이 채널에서 우리의 전통예절에 대해 많이 올린적이 있는데요. 채널 구독자중에 몇분이 돌아가시고 다가오는 생신제에 대해 설명을 해 달라고 하여 오늘은 이 생신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독자중에 한분의 내용을 소개하자면 아버님께서 작년에 돌아가셨는데 곧 생신이 다가옵니다 주변 어르신들의 말씀에 의하면 돌아가신 분의 생신도 첫 생신은 꼭 챙겨드려야 한다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해서요? 이렇게 문의를 해 주셨습니다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우리가 궁금해 할 때 처음에 묻는곳이 어디일까요. 바로 만물박사라고 할수 있는 네이버에 물어보죠. 네이버는 과연 뭐라고 대답할까요 네이버는 생신제는 고인의 생신날에 지내는 제사로서 부모님에 한해서 ..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제가 좀 젊었을때의 일입니다. 친구와 술한잔을 하면서 그 친구가 “선친 8순날이 다가오는데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고민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무리 바쁘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아버님이 돌아가셨는데 연락도 안하냐니까 그친구가 나를 보면서 무슨소리냐 얼마안있으면 8순인데 돌아가시기는 왜 돌아가셔~ 하는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문식의 호칭인 선친이란 말을 아버지를 지칭하는 말인줄 알고 잘못 사용한 결과로 빚어진 해프닝이었습니다. 잘 모르면 그냥 요즘 많이 사용하는 아버지라면 될텐데 굳이 한문식 호칭을 사용하다 보니 이런 착오가 발생한 모양입니다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그렇다면 호칭과 지칭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먼저 알아보고 시작할까..

아버님 성함이 홍자 길자 동자라면 안되죠? 무엇이 잘못일까?

아버님 성함이 홍자 길자 동자라면 안되죠? 무엇이 잘못일까? 오늘은 우리가 보통 이름을 말할 때 이름뒤에 붙이는 자(字)자의 올바른 의미와 올바르게 사용하는 경우에 대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오늘은 어버이날이네요.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찾아뵈옵고 용돈이라도 드리고 맛있는 것이라도 싸 드려야지 돌아가신후에 후회해도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부모님이 항상 우리곁을 사시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 아버님 성함이 홍자 길자 동자라면 안되죠? 무엇이 잘못일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혹시 어른신들께서 자식벌 되는사람에게 이렇게 물어볼때가 많죠 아버님 존함이 어떻게 되시나? 그러면 예, 홍 길자 동자 쓰십니다. 이렇게 하는 걸로 알고 있잖아요... 그런데 가끔 업무로 전화하다 보면 상대방의 이름을 물어봤을 때 자..

'23.6.28부터 달라지는 내 나이는? 만나이 계산 법?

'23.6.28부터 달라지는 내 나이는? 만나이 계산 법? 오는 6월 28일부터 '만(滿) 나이 통일법'이 시행된다고 합니다. 이에 따른 나이 계산법과 달라지는 점 등을 알아보고요. 청소년관련 법령이나, 보험사가 적용하는 나이는 다르다고 하는데 그 내용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6.28부터 달라지는 내 나이는? 만나이 계산 법? 며칠전에 초등학교 1학년인 손주가 이런 말을 하더라구요. 할아버지! 제가 지금 8살인데 조금있으면 6살로 줄어든다는데 왜 그래요! 이렇게 말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나도 이 내용은 6월중에 시행하는 것으로 뉴스를 통해 알고 있었던 내용이죠. 그래서 집에서 세는 나이와 만나이를 구분하여 설명을 해 줬는데, 정확한 시행일자와 정확한 내용을 알고 싶어 다시한번 알아보게 ..

일반생활 상식 2023.05.05

제사시간을 바꿔서 초저녁에 지내도 되나요?

제사시간을 바꿔서 초저녁에 지내도 되나요? 얼마전 저한테 메일이 하나왔는데요. 수십년동안 부모님의 제사를 잘 지내는 며느리가 갑자기 제사지내는데 고민이 생겨 질문을 하게 된 것 같은데 내용은 이렇습니다 저는 40년 가까이 제사를 12시, 자정에 지내왔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회사에 다니던 자식이 요즘은 세월이 변해서 제사도 초저녁에 지낸다고 우리도 그렇게 하자고 하여 할수없이 자식들의 말을 따라 그렇게 지내고 있습니다 남편도 마음에 내키지는 않았지만 자식 이기는 장사가 없다고 하여 할수없이 자식들의 의견을 따라 초저녁에 지내고 있습니다. 다음날 회사 출근을 해야하기 때문에 12시에 제사를 지내면 출근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에서 였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제사시간을 옮겨서 초저녁에 제사를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러..

돈안지유돈 불안지유불(豚眼只有豚 佛眼只有佛),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 눈에는 부처만 보인다

돈안지유돈 불안지유불(豚眼只有豚 佛眼只有佛),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 눈에는 부처만 보인다 옛날 어르신들이 평소 행동이나 말을 못되게 하는 사람을 보고 개눈에는 똥만 보인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죠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구전이야기가 어디서 전해오는지 알아보고요. 요즘 왜 그런말이 유행을 하고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이 채널은 정치이야기는 하는 곳이 아닙니다. 그러나 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미상하원 연설에서 수십차례 기립박수를 받는곳을 보니 대한민국 정치인과 너무나 달라 연관되는 문구 한구절 소개하고자 하니 정치적인 이야기를 조금 하더라도 양해 부탁합니다 여러분 우리나라 국회같으면 어느당이 대통령이던 야당이 미국처럼 하겠습니까. 미국은 왜 선진국인지 이제 알겠죠? 우리나라 같으면 어쨋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