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6

조상의 신위(지방)를 밥상위에 올리고 제사를 지내면 안된다!

조상의 신위(지방)를 밥상위에 올리고 제사를 지내면 안된다! 지금까지 이 채널에서 제사에 관해 여러번 올린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제사를 준비할 때 신위를 밥상 위에 올려지냄으로써 조상님이 밥상위에 올라가는 격이 되는 웃지못할 경우를 한번 짚어보고자 합니다 조상의 신위(지방)를 밥상위에 올리고 제사를 지내면 안된다! 우리가 보통 제사라고 하면 돌아가신날 지내는 기제사와 추석과 설날에 지내는 차례등 1년에 몇 번씩은 제사와 접하게 되죠. 모두가 조상을 추모하는 기특한 마음과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제수를 정성들여 마련하여 지내게되는데요. 복장도 평소와는 다르게 예복까지 갖추거나 양복을 입고 엄숙하게 기제사나 차례를 지내게 되는데요 이때 결코 지나칠수 없는 것이 바로 이것인데요. 사진을 한번 잘 봐주세요 이 두..

홍콩간다, 홍콩보내줄게~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홍콩간다, 홍콩보내줄게~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우리가 친구들끼리나 남녀끼리 이야기를 하다보면 홍콩간다 홍콩보내줄게 이런말을 많이 하게 되고 또한 드러는 들어보기도 하죠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홍콩이란말의 의미와 시작, 그 어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홍콩간다, 홍콩보내줄게~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여러분 도대체 우리에게 홍콩은 무엇일까요? 홍콩하면 뭐가 떠오르세요? 젊으신분들은 중국아랫쪽의 섬 홍콩을 연상할테죠. 그런데 반하여 나이드신분들은 아마 "홍콩간다"는 표현을 떠올리시는 분들도 적지 않을텐데요. 언제부터인가 우리가 쓰고 있는 속된말로 자리를 잡고 있답니다. 그렇다면 이 "홍콩간다" “홍콩 보내줄게”라는 말은, 언제부터 또 어떻게 쓰이게 된 걸까요? 크게 두가지 설이 있다고 하는데 한번 알아볼까요..

법률상 용어인 기각과 각하의 같은 점과 차이점은?

법률상 용어인 기각과 각하의 같은 점과 차이점은? 여러분 최근 신문에 가장 많이 나오는 뉴스가 무엇이었나요 잠깐 볼까요. 바로 이런 내용입니다 대부분이 헌재, 이상민 장관 탄핵 기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법률상 기각. 기각의 뜻과 이와 비슷하지만 다른 각하와는 어떤점이 같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요, 또 자주 등장하는 인용과 소의 이익, 가결과 부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 뉴스나 인터넷 기사를 보다가 자주 마주하는 단어 중에 하나가 기각과 각하라는 단어입니다. 법률용어 이다보니 아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다소 어렵게 느껴지고 웬지 거리감이 느껴질수가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이 궁금해 하실 기각과 각하, 이 두가지의 차이점과, 인용, 그외 소의 이익, 가결과 부결이란 법률용어에..

일반생활 상식 2023.07.27

새신랑의 발바닥을 매달아 두들겨 패는 동상례의 유래와 요즘은 어떤 행태?

새신랑의 발바닥을 매달아 두들겨 패는 동상례의 유래와 요즘은 어떤 행태? 오늘은 지금은 사라져가는 풍속이지만 지금도 시골에서는 일부 전해지는 것인데요 혼례날을 전후하여 신부측의 동네사람들과 친척 중의 동년배들이 몰려와 새신랑을 거꾸로 매달아 놓고 북어나 방망이로 신랑의 발바닥을 때리는 풍속과 이러한 것이 변태적 탈바꿈이 되어가는 눈살치푸리게 하는 풍속의 유래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신랑의 발바닥을 매달아 두들겨 패는 동상례의 유래와 요즘은 어떤 행태? 여러분 혹시 동상(東床)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동상(東床)은 자기 사위가 아니고 남의집 새사위를 일컫는 말이라고 합니다 『진서(晉書)』에 의하면, 서성(書聖)으로 불리는 중국 최고의 서예가 왕희지가 장인 될 사람에게 불려가서 평가를 받았는데, 이..

윤달이나 음력그믐이 30일 제사나 생일일 경우 그믐날이 29일이라면 생일이나 제사는?

윤달이나 음력그믐이 30일 제사나 생일일 경우 그믐날이 29일이라면 생일이나 제사는? 여러분 이 채널에서 제사에 관한 글을 올렸는데 어떤 분이 윤달에 돌아가시면 제사를 어떻게 지내야 하는가라는 제례에 대한 질문을 해 주셨습니다. 또 음력 그믐날인 30일이 제사인 경우 29일까지 밖에 없는 해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물론 생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음력으로 하면 윤달이나 그믐날, 마지막날. 예를 들어 1월 30일날이 기제사나 생일이 있을 경우 다음 30일이 없는 해의 기제사나 생일이 난감하겠죠 다음해 같은 윤달은 거의 없다는 건 아실테구요. 그믐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윤달이 아니더라도 같은달 그믐날이 29일인경우도 있고 30일인 경우도 있답니다. 참고로 음력 1월을 한번보면 2020년은 30..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 및 꼭 지켜야 할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 및 꼭 지켜야 할 장례식장 예절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다 경험을 하는 장례식장 방문시 문상절차와 금기사항등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누군가 돌아가셨다는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알리는 글을 부고(訃告)라고 하죠 이 부고에는 보통 고인이 돌아가신 날짜와 발인, 상주등 유가족들이 적혀 있는데요 예전에는 주로 부고장을 보냈으나 요즘은 세월에 따라 문자나 카톡, 아니면 다른 SNS로 대신하게 됩니다 그런데 부고장을 받으면 친분관계 때문에 빨리갈수록 좋다는 생각도 많이 하는데요 너무빨리 문상을 가는 것은 예의가 아니랍니다. 돌아가실걸 미리 예상한게 아니라서 상주가 정신도 없고, 문상객 받을 준비도 안되어 있기 때문이죠. 물론 가까운 일가친적은 빨리 가봐야되지만 일..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여러분 우리들에게 명절은 주로 봄, 가을, 겨울에 있지만 무더운 여름에는 잘 없죠 그러나 우리선조들은 여름철 명절로 유두절이란 명절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유두절의 의미와 유두절 행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름 명절인 유두절의 의미와 행사, 시절음식은? 유두절(流頭節)이란 말의 유래부터 한번 알아볼까요? 흐를 유(流)에 머리 두(頭)를 써서 '동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 동류두목욕! 이 뜻을 풀이하자면 '동쪽에서 흘러오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 뜻으로 해석되는데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여 좋지 못한 일을 제거한다고 믿었다고 하는데요. ​동류수에 머리를 감는 이유는..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우리가 보통 제사를 지낼 때 남자들만 제사에 참례하는 것으로 알고 있죠 그러나 실제로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고 예기나 주자가례에도 부부가 함께 올린다고 하는데 과연 여자는 제사에 참여하는지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도 제사에 참여하라는데 왜~ 오늘날 우리들이 보통 지내는 일반 가정의 제사에서는 여성들은 거의 참례를 하지 않고 있죠. 대부분의 가정에서 여성이 제사에 참례하지 않은 것은 무엇보다도 조선시대의 엄격한 내외법 즉 남녀유별 사상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제수(祭羞)에 대한 문화적 지식은 성별에 따라 다른데, 제사음식을 만들고 괴는 과정은 여성이 담당하는반면에 남성은 제사상을 진설하고 의례를 지낸답니다. 예기나 주자가례는 여자..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일곱번째 시간으로 경주최씨(慶州崔氏)-945,005명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경주최씨(慶州崔氏)는 진주강씨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통계조사 결과 945,005명으로 거의 100만명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경주최씨(慶州崔氏)는 우리나라 성씨(姓氏) 가운데서도 가장 오랜 역사(歷史)를 지닌 씨족(氏族)의 하나로서 역사상 수 많은 인재(人才)들을 배출한 전통(傳統)있는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오랜 역사의 흐름과 체험(體驗) 속에서 많은 특성(特性)을 남겼구요 역사상 선현(先..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우리가 사람이 돌아가시면 가족들이 제사를 지내게 되죠. 물론 제사를 지내면 친척은 물론 동네 사람들도 다 알게 되구요 그러나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까마귀조차 모르게 조용히 지내는 제사가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이러한 까마귀도 모르는 제사, 일부지역에서는 가메기 모른 식게라고도 한다는데 이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까마귀조차 모르는 제사는 어떤 제사를 말하는 걸까? 여러분 제사에 대해서는 다 아시죠. 물론 지내는 사람도 있고 안지내는 사람도 있지만요 그런데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지내는 제사가 있다는건 들어보셨나요. 이를 ‘까마귀도 모르는 제사’ 라고 하는데요 일부지역에서는 까마귀 모른 식게, 가메기 모른 식게라고 한답니다. 물론 종교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