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오늘은 우리가 제사를 지낼 때 준비를 하는 지방, 이 지방의 의의와 쓰는 법, 우리가 많이 쓰는 부모님지방을 비롯하여, 조부모, 형, 형수, 동생 그리고 남편이나 아내, 또 있어서는 안될 자식의 지방쓰는 법까지 모두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여러분 부모님이 돌아가신날이나 추석, 설 같은 명절이 돌아오면 고민되는 일들이 많죠. 물론 제사 음식준비도 힘드시지만 제사를 지내는 절차나 지방쓰는 법을 몰라 고민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이 이런 지방을 잘 못쓰죠. 그래서 컴퓨터로 프린트도 해 사용한답니다. 물론 지방을 직접 쓸줄아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그 지방의 의미까지 알고 ..

기제사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 방법은?

기제사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 방법은? 우리가 제사를 지낼 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을 하게 되죠. 초헌, 아헌, 종헌등을 할 때 격식에 맞춰 술을 올리는 이러한 헌작을 하는 방법이 한가지가 아니고 가례와 다르게 하는곳이 많다고 하는데 오늘은 이 헌작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제사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 방법은? 우리가 제사지낼 때 신에게 복을 구하려고 격식에 맞춰 술을 올리는 일을 헌작(獻爵)이라고 하죠. 이방법에 대해서는 삼헌의 유래를 알아본 뒤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제사지낼 때 초헌, 아헌, 종헌등 세차례 3헌을 하게되는데요. 文獻通考(문헌통고)에 따르면 고대에는 宗廟(종묘)제사에 九獻(구헌)을 하였는데요, 황제와 황후가 각 네 번씩 헌작하고, 신하가 한 번 헌작을 하였..

냉수 먹고 된똥 싸라"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냉수 먹고 된똥 싸라"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여러분 이런말 들어보셨나요. 바로 “냉수 먹고 된똥 싸라"는 말인데요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께서 수행원들한데 늘 당부한 내용이었다고 하는데 그 내용과 경위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냉수 먹고 된똥 싸라"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여러분 이승만 대통령이라면 생각나는 것이 많이 있죠? 물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을 거쳐 대한민국의 1.2.3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신 분이시죠 물론 이승만(李承晚)초대대통령은 일제 강점기와 6,.25를 겪으면서 대한민국을 위해 공헌한 바도 많지만 마지막에는 자유당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해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저질렀으며 이에 대해 대통령인 이승만의 도의적 책임이 있고 실제로 하야..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오늘은 우리가 직접 경험하거나 직접 보아온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결혼식장에서 신랑신부가 어느쪽에 서야 할까요? 하객들이 보았을 때 왼쪽이 신랑, 아니면 신부, 그것도 아니면 아무렇게나 서도 될까요? 그 설명을 드리기 전에 먼저 사진을 몇장 한번 볼까요 이 두사진은 하객이 보았을 때 신랑이 왼쪽에 서 있죠 또다른 사진을 한번 볼까요? 이 사진은 신랑이 오른쪽에 서 있죠 지금도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결혼식 사진이 이렇게 제각각이랍니다 예식장에 따라 서는 방법이 다르지만 앞에서 본 그림처럼 신랑이 왼쪽에 서는 경우가 훨씬 더 많더라구요. 지금부터 여기에 대해 옛부터 전해오는 풍습과 가례에는 ..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여섯 번째 시간으로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경주이씨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통계조사 결과 거의 100만명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또, 현존하는 성씨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인류의 뿌리 성씨입니다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죠. 참고로 국내에는 2가지의 진주 강씨가 존재하는데 서로 한자가 다르다고 합니다, 성강자를 쓰는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고구려 도원수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구요. 편안한 강자를 쓰는 진주 강씨(晉州..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지금까지 이 채널에서 제사관련 시간이나 상차리는 법, 지방쓰는법 등 몇차례 올린적이 있으나 오늘은 기제사지내는 차례, 순서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他人之祭曰梨曰枾란 말 들어보셨죠. 이 말은 남의 제사에 감놓아라 대추놓아라 간섭하는게 아니라고 합니다. 저도 그래서 남의 제사이치를 간섭하는게 아니고 제사는 가가예문으로 문중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리고요 단지 제가 소개하는 내용은 가례등에 나오는 표준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전해오던 제사방식대로 지내시고 이건 참고만 하시고요. 저보고 이러니 저러니 말도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우리가 제사를 지내..

조상으로부터 몇세, 몇대등의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조상으로부터 몇세나 몇대, 세조와 대조, 세손과 대손!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우리가 문중행사나 어르신을 만날 때, 또는 지인을 만날 때 족보를 이야기를 할때가 더러 있죠.. 그때보면 몇세, 몇 대등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등의 말을 하는데요 과연 이 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올바르게 사용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상으로부터 몇세나 몇대, 세조와 대조, 세손과 대손!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우리가 집안에 대해 이야기할때보면 경주이씨 몇 대손입니다. 시조로부터 몇세나 몇 대입니다 이렇게 말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대와 대손, 세와 세손등을 햇갈려 잘못대답하는 경우가 더러있답니다 그럼 먼저 세(世)와 대(代), 世祖와 代祖, 世孫과 代孫등의 의미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먼..

제사도 이제는 장남이나, 장손, 아들만이 주재하는게 아니다!

제사도 이제는 장남이나, 장손, 아들만이 주재하는게 아니다! 오늘은 우리가 지내는 제사, 반드시 아들이 지내야 하는지에 대해 최근 대법원 판결과 연관지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제사는 누가 지내야 하나요? 이 물음에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들이 제사를 지내고 아들중에서도 장남. 장손이 주관하여 제사를 지낸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제사에 법정분쟁이 있을 때에도 대법원은 조상숭배를 통한 부계혈족 중심의 가계계승에 그뿌리를 두고, 가족과 호주상속등 복합적인 여러 가지 원인들을 볼 때 고인의 장남, 장손이 지내는 것을 인정하여 왔답니다 물론 제사에 있어서는 가족들이 의논하여 정하는 것이 가장 합당하며, 여기에 까지 법률적 의무를 규정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미풍양속에도 맞지 않다는 생각이 들..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이 채널에서 우리의 전통예절에 대해 많이 올린적이 있는데요. 채널 구독자중에 몇분이 돌아가시고 다가오는 생신제에 대해 설명을 해 달라고 하여 오늘은 이 생신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독자중에 한분의 내용을 소개하자면 아버님께서 작년에 돌아가셨는데 곧 생신이 다가옵니다 주변 어르신들의 말씀에 의하면 돌아가신 분의 생신도 첫 생신은 꼭 챙겨드려야 한다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해서요? 이렇게 문의를 해 주셨습니다 돌아가신후 꼭 챙겨야 한다는 첫번째 생일, 생신제? 우리가 궁금해 할 때 처음에 묻는곳이 어디일까요. 바로 만물박사라고 할수 있는 네이버에 물어보죠. 네이버는 과연 뭐라고 대답할까요 네이버는 생신제는 고인의 생신날에 지내는 제사로서 부모님에 한해서 ..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제가 좀 젊었을때의 일입니다. 친구와 술한잔을 하면서 그 친구가 “선친 8순날이 다가오는데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고민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무리 바쁘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아버님이 돌아가셨는데 연락도 안하냐니까 그친구가 나를 보면서 무슨소리냐 얼마안있으면 8순인데 돌아가시기는 왜 돌아가셔~ 하는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문식의 호칭인 선친이란 말을 아버지를 지칭하는 말인줄 알고 잘못 사용한 결과로 빚어진 해프닝이었습니다. 잘 모르면 그냥 요즘 많이 사용하는 아버지라면 될텐데 굳이 한문식 호칭을 사용하다 보니 이런 착오가 발생한 모양입니다 부모와 아들딸등 가족간의 햇갈리는 호칭 정리 그렇다면 호칭과 지칭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먼저 알아보고 시작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