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07

남자정력! 소녀경의 9법과 여성의 5징, 10동은?

남자정력! 소녀경의 9법과 여성의 5징, 10동은? 여러분! 정력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죠? 특히 남자분들은 더 그러한데요. 그래서 오늘은 모든 권력을 다 갖고 있는 역대 왕들의 정력비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정력비법이라면 먼저 생각나는 것이 무엇인가요? 바로 소녀경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줄술서로 대표적이라는게 바로 소녀경을 꼽는답니다 방중술은 장생불사를 염원하던 고대 왕들을 위해 궁중에서 4000년 넘게 연구하고 수련되어 온 귀한 학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현재 일부사람들은 방중술을 구시대 덮어 버려야 할 것으로 여겨, 특별하고 이상한 부류로 취급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있어 소녀경을 다시 한번 정리해 봅니다 물론 현대 이론에 상이한 부분도 일부 있지만 성생활에 대한 방대한 부분에서는..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다섯가지 복을 준다는 오복(五福)의 유래와 현대판 오복은?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말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다섯가지 복, 이 오복[五福]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복이 있다고 하는데, 그걸 우리는 오복이라 부르고 있죠. 그럼 오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먼저 네이버에 한번 물어볼까요. 오복 한국전통지식포탈(다섯가지 복을 이르는 용어임). 식색재명수(食色財名壽) 다섯가지이나, 이제마의 격치고에서는 기존의 오복과는 다르게 수(壽), 양심술(養心術), 호학서(好學書), 가산(家産), 행세(行世)의 오복을 말했음. 오복 (한시어사전) 사람이 누리는 5가지 복.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성씨는? 1위부터 300위까지~~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성씨는? 1위부터 300위까지~~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성씨가 많이 있죠? 혹자는 중국에서 왔는니 하고 이러쿵 저러쿵 말이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통계청에서 조사한 우리나라 성씨별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우리나라 성씨는 정확히 몇가지인줄 아세요? 그건 아무도 모르죠, 지금도 귀화하여 새로운 성씨를 만드는 분도 계시니까 자꾸 늘어나는 추세라 할수 있습니다 우선 많은 성씨라고 하면 김씨, 이씨, 박씨등을 꼽을수가 있는데요. 그래서 옛날 어르신들이 뒷산에 올라가 작은 돌맹이를 던지면 이 돌맹이에 맞는 사람이 대부분 김씨이거나 이씨, 박씨라는 우스겟소리도 있답니다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성씨는? 1위부터 300위까지~~ 참고로 이 자료의 출처를 알려드려야 겠죠? 이 자료는 어디 인터넷에..

역대 대통령의 애창곡과 노래 실력은 정말 수준급! 들어보실래요

역대대통령의 노래실력은 어느정도일까요? 들어보시고 판단하세요 여러분 어느나라 누구를 막론하고 노래를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겠죠.. 그래서 예전부터 그사람의 성격을 알려면 좋아하는 노래나 잘 부르는 노래를 보면 알수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오늘은 우리나라 역대대통령과 현직 대통령의 노래를 한번 들어보고자 합니다 youtube.com/watch?v=ik28ldLrWO8&t=932s 역대대통령의 노래실력은 어느정도일까요? 들어보시고 판단하세요 여러분!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떤 노래를 좋아할까요? 여러장르가 존재하지만 몇 년전부터는 트로트가 브라운관을 지배하고 장르의 대세를 이룬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들은 어떤 노래를 잘 불렀을까요? 참 재미있을 것 같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대통령들이 즐겨..

일반생활 상식 2024.02.20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오늘은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아부지, 엄마가 보고싶다는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이야기를 소개할까 합니다 자식손자 다 부질없다. 어느 노파의 한없는 눈물~~ 어느 시골에 사는 노파가 시골 논밭을 팔아 서울까지 대학을 보내고 똑똑하다는 며느리를 얻어 결혼을 시키고 서울에 집까지 마련해 주었다 며느리가 손자를 연년생으로 출산을 하여 육아가 힘드니까, 할배 할매가 큰 손자를 데려다가 초등학교까지 반듯하게 키워 서울로 돌려보냈다 자식이 키울때는 먹고 사는데 바빠서, 아부지, 어머니를 모시기에 바빠 언제 지나갔는지 몰랐지만 나이를 먹으니 그동안 못했던 짜릿한 사랑으로 금이야 옥이야 애지중지 키웠다 명절에 만나면 너무 이뻐서 끌어안고 뽀뽀를 하고 주머니 털어서 ..

대동강물도 풀린다는 우수(雨水)의 유래와 의미, 세시풍속은?

대동강물도 풀린다는 우수(雨水)의 유래와 의미, 세시풍속은? 요즘 때이른 봄날씨가 계속되고 있죠? 물론 꽃샘추위가 아직도 남아 있긴 하지만 그래도 봄은 우리들의 문지방앞까지 와 있음을 느낄수 있네요 왜 그럴까요? 바로 꽁꽁얼었던 대동강물이 풀린다는 우수가 며칠 남지 않았기 때문이네요 그래서 오늘은 24절기중 두 번째인 우수의 의미와 유래, 세시풍속, 우수와 관련된 속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오는 19일이 바로 초목이 눈을 뜨고 새싹을 틔울 준비를 한다는 우수입니다 우수는 추위가 거의 물러갔음을 의미하는 절기이죠 대동강물도 풀린다는 우수(雨水)의 유래와 의미, 세시풍속은? 그럼 먼저 I. 우수의 의미와 개요에 대해 알아볼까요 먼저 우수(雨水)에 대해 네이버에서 한번 검색해 볼까요 우수는 봄에 들..

이유없이 체중이 10%이상 빠진다면 이것을 의심해야~

이유없이 체중이 10%이상 빠진다면 이것을 의심해야~ 요즘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요즘 다이어트를 하는분 많죠? 그러나 이유 없이 체중의 10%정도가 빠진다면 큰 걱정입니다. 바로 암일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유없이 체중이 빠지는 것과 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유없이 체중이 10%이상 빠진다면 이것을 의심해야~ 여러분! 요즘 강변이나 산책로, 운동장등에 보면 모두가 건강을 유지하고 살을 빼기 위해서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볼수 있는데요 그러나 다이어트나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 이유 없이 체중이 빠진다면 중대한 병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체중이 주는 원인으로는 당뇨병, 갑상선 항진증과 같은 대사 질환도 있지만, 암(癌)도 중요한 요인중 한가지라고 합니다 이유없이 체중이 10%이상 빠..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오늘은 옛 성현들 말씀중에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알아야면장하지란 말에 대해서 그 유래와 의미를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옛날 세종대왕께서 처음 한글을 창제하실때는 우리나라 한글은 누구나 그 뜻을 똑 같이 이해하고 또, 누구가 보더라도 똑 같은 의미로 해석하고 그리고 누가 한글을 쓰더라도 똑 같이 쓰라고 한글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가운데 그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적지 않습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이 즐겨쓰는 말은 그렇다 치고 그 많은 말들 가운데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우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에 대한것부터 살펴보고자 합니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 이말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더 일찍 상하므로 절대 안되는 것!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더 일찍 상하므로 절대 안되는 것! 여러분! 누구나 마트나 시장에서 장을 보고 난 후, 어떤건 냉장고에 넣어야 하고 어떤건 넣지 말아야할지 정확히 잘 몰라 햇갈릴때가 더러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냉장고에 넣으면 싱싱하겠지 하고 넣곤 하는데요. 하지만 모든 식품들이 냉장고에서 보관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냉장보관하면 더 빨리 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그래서 도대체 어떤 음식을 냉장고에 넣으면 안되는지 알아보고 앞으로는 그런 실수가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먼저 《냉장고에 보관하면 안되는 식품》입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장을 본 음식은 무조건 냉장고에, 요리하다 남은 식재료도 냉장고에 넣게 됩니다. 무심코 하는 이 방법이 사실은 음식을 더 빠르게 상하게 하는 지..

오늘은 설날! 설날과 까치와의 관계는 어떤 사이인가?

오늘은 설날! 설날과 까치와의 관계는 어떤 사이인가? 안녕하세요. 우리민족의 최대명절인 설날 아침입니다 오늘은 아침 일찍 일어나 모두가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어르신들게 새배를 하는 날이죠 그리고 오늘이면 생각나는 동요가 있죠. 바로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라는 것인데요. 그래서 설날을 맞이하여 이 동요의 유래, 설날과 까치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설날! 설날과 까치와의 관계는 어떤 사이인가?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그 기원은 모르지만, 설 명절만 되면 바로 이 노래가 많이 들려왔죠! 우리나라 설 명절을 대표하는 동요 바로 '설날' 인데요. 이 노래는 1924년 일제 강점기시절 작곡, 작사가겸 아동문화 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