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상견례 예절... 시간, 장소, 메뉴 정하는법, 대화주제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남녀한쌍이 결혼을 하기위해 양가 가족들이 처음 얼굴을 보고 대화를 나누는 상견례 예절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견례는 결혼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양가 부모님들께서 정식으로 마주하게 되는 첫 번째 공식적인 자리인데, 가풍이나 형편에 따라 민감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견례를 진행할때에는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답니다. 특히 결혼 당사자들이 양가의 주선으로 만난 것이 아니라면 서로의 집안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여러가지 돌발상황들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양가의 입장 차이가 생기게 되면 결혼을 진행하는 것이 몹시 힘들어지거나 최악의 경우 결혼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경우도 종종 생기고 있을만큼 중요하답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실속을 중요시 하기 때문에 결혼을 준비..

君君臣臣父父子子(군군신신부부자자)

君君臣臣父父子子(군군신신부부자자) 안녕하세요! 이제 얼마있지 않으면 대통령 선거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성현중에 최고라고 하는 공자님의 말씀중에 정치에 관한 말씀 한구절 중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君君臣臣父父子子(군군신신부부자자) 임금군, 신하신, 아비부, 아들자 어려운 글자는 하나도 없죠 이는 ‘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답고, 아비가 아비답고, 자식이 자식다워야 한다’는 의미라고 하죠 이말의 유래를 한번 살펴볼까요 기원전 517년 노나라의 내란을 피하기 위해 공자가 35세 때 제(齊)나라에 갔을 때, 공자가 제나라의 군주인 경공(景公)과 나눈 대화에서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는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라고 간단하게 대답했다고 한답니다. 이말의 ..

제사지내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지내는 순서 등

제사지내는 법 및 제사의 순서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사의 의의와 제사지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물론 다 아시겠지만 제사란 무엇이냐에 대해서 알아보면 제사란 조상의 신을 모셔와서 음식이나 술을 대접하는 예식으로서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고 영혼을 불러오고 인사를 하고 맛있는 음식을 드시게 하는데요 ​ 제사라고 하면 설날, 추석, 기제사 이렇게 3번을 지내는걸로 알고있죠 우리가 보통 제사라고 하면 일년에 한번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를 말하고 추석에는 일종의 추수감사제, 설날에는 세배를 올린다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이 제사를 옛날에 문중끼리 모여살고 대가족이 같이 살아 많을 때는 홀기를 읽으면서 지냈다고도 하는데 요즘은 간소화되고 홀기가 전부 한문으로 되어 있어 젊은 분들이 알아듣지 못해 극소수 제..

무한불성(無汗不成)-땀을 흘리지 않고는 어떤 일이든 이룰 수 없다

무한불성(無汗不成)! 오늘은 예로부서 전해오는 사자성어중의 하나 무한불성(無汗不成)에 대해 알아볼까요 간단한 게그하나 해보고 시작할께요 이미 아시는 분 많은데요.. 옛날 노래에도 있는 홍도 울지마라를 3글자로 하면 뭘까요? 홍도뚝... 그럼 두글자는 홍~~도. 이정도는 다 아시죠 그럼 한글짜는 뚝... 한글자도 없이는 쉿 이러죠 오늘 알아볼 것은 무한불성(無汗不成)입니다 먼저 無: 없을무 汗:땀한,땀현이라고도 하죠 아닐 불, 成: 이룰 성 뜻 풀이를 해보면 땀이 없으면 이룰수 없다. 즉, 땀을 흘리지 않고는 어떤 일이든 이룰 수 없다는 뜻인데요 그럼 먼저 이말이 어떻게 생겼는데 유래부터 한번 살펴볼까요 옛날에 어떤나라 왕이 나라의 전국에 있는 모든 현자들을 모아놓고 지시를 내렸어요 뭐냐~~ 백성들이 살아..

口蜜腹劍(구밀복검)/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

口蜜腹劍(구밀복검)/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있다는 의미의 구밀복검 [口蜜腹劍]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구밀복검 [口蜜腹劍] 입구, 꿀밀, 배복, 칼검 우리가 많이 쓰는 용어인데도 입구자를 빼고 한문은 좀 어렵죠 이말의 사전적 의미로는 /는 말로, 겉으로는 꿀맛 같이 절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는 것을 비유한 말이라고 한답니다 그럼 이말의 유래에 대해 한번 살펴볼까요 구밀복검 [口蜜腹劍] 이말은 《십팔사략(十八史略 )》에 있는 고사의 이야기이다. 당(唐)나라 현종(玄宗)은 45년 치세의 초기에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이래의 정치의 난맥(亂脈)을 바로잡고 안정된 사회를 이룩한 정치를 잘한 인물로..

삼재(三災) 및 삼재풀이, 2022년 삼재띠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연세많은 어르신들로부터 자주 들어오는 삼재(三災) 및 삼재풀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사람에게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 즉 三災(삼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할께요. 3재의 3가지 종류를 보면 ① 도병재(刀兵災):연장이나 무기로 입는 재난, ② 역려재(疫癘災):전염병에 걸리는 재난, ③ 기근재(飢饉災):굶주리는 재난이 있답니다. 또 대삼재(大三災)라 하여 ① 불의 재난(火災), ② 바람의 재난(風災), ③ 물의 재난(水災)을 말하기도 한다네요. 삼재는 간지기년법에 의해 파악되기 때문에 태어난 해의 간지가 그 기준이 되는데요 일단 삼재가 들면, 3년 동안 머무르게 되죠 삼재의 그 첫해는 ‘들삼재’, 둘째 해는 ‘묵삼재(또는 눌삼재. 눌림삼재)’, 셋째 해는 ‘날삼재..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고 어둠속에서 힘을 기른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칼이 칼집에서 때를 기다리듯, 빛을 감추고 어둠속에서 힘을 기른다는 의미의 도광양회(韜光養晦)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도광양회(韜光養晦) 감출도. 빛광. 기를양. 그믐회 사전적 의미를 보면 「자신(自身)의 재능(才能)이나 명성(名聲)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1980년대(年代) 중국(中國)의 대외(對外) 정책(政策)을 일컫는 용어(用語)라고 하죠 결국 이말의 의미는 칼이 칼집에서 때를 기다리듯이 자신의 재능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실력을 쌓으면서 때를 기다린다. 인내 하며 힘을 갈고 닦는다. 자신만의 필살기를 기른다. 효과를 배가시킨다 는 의미가 있죠. 이말의 의원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서 비롯되었는데요 천하통일의 꿈을 품은 유비가 여포에게 쫓겨 조조의 식객으로..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 그 유래와 방법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 그 유래와 방법은 오늘은 우리민족의 전통 민속놀이인 윷놀이에 대해서 소개할까 합니다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속놀이로 예전에는 명절에 마을별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거나 대회를 하곤 했는데요. 특히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기면서 노는 놀이로서.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합니다. 윷놀이 유래에 대한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아직 그 정설은 없는데요 부여의 관직명인 저가(猪加)·구가(狗加)·우가(牛加)·마가(馬加)·대사(大使)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는 가설이 현재까지는 유력하게 전해지고 있는데 한번 알아볼까요 우리나라 전통 윷놀이에 대해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자료는 중국의 『북사(北史)..

나 돌아가련다!’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도연명의 귀거래사~

나 돌아가련다!’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도연명의 귀거래사~ 오늘은 사서삼경과 동양 사상이 깃든 고사성어 중의 하나로 이미 노래로도 많이 알려진 나 돌아가련다!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감을 노래한 한구절을 소개할까 합니다 유학은 오랜 시간 동안 동양의 정신세계를 지배한 철학 사상이라고 하죠. 그중 《사서삼경》은 유학이 중심인 경전이라고 하는데요 사서는 《논어》 · 《맹자》 · 《대학》 · 《중용》을 말하고 삼경은 《시경》 · 《서경》 · 《역경》을 말하죠. 삼경에 《춘추》와 《예기》를 더해 오경이라 부르기도 한답니다. 사서의 체계는 송나라 때 유학자 주희가 세웠는데요. 성리학 체계를 세운 그가 《예기》에서 일부를 따로 떼어 내 《대학》과 《중용》, 두 편을 만들면서 사서가 확립되었다고 하는데요...

여자가 절하는 방법/작은절, 보통절, 큰절 등

얼마전에 이 블로그에서 절의 의의와 음양사상, 절의 횟수, 그리고 남자가 하는 절의 종류와 절하는 요령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여자가 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을 해야 하는 기회가 엄청 많죠.. 몇달있으면 우리민족의 대명절인 설날이라 어르신들 뵙고 세배도 해야하고 차례도 지내야 하는데 이때 절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절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예절이라고 했죠 여자가 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기전에 먼저 절의 종류를 한번 여자가 하는 절의 종류도 남자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요 여자는 작은절, 보통절, 큰절, 매우큰절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