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입춘의 유래와 풍습, 입춘축을 붙이는 시간은?

안녕하세요! 어제가 설날이었죠. 먼저 이 유튜브를 시청하시는 모든 구독자님과 시청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이틀후 2월 4일이면 24절기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이네요. 그래서 오늘은 입춘의 유래와 풍습, 시절음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대문에 이런 문구 많이 보셨죠 바로 2월4일이 입춘으로 대문에 이런 입춘축을 많이 붙이는 절기랍니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고 하죠.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이죠 올해가 호랑이띠라고 하죠 우리가 말하는 띠는 만세력으로 입춘일부터 시작되기에 2월4일부터 실제로 임인년(壬寅年) 검은호랑이의 한해가..

인사하는 법/서서, 앉아서, 길가다가 등 다양한 인사법

안녕하세요! 1월도 벌써 며칠 남지 않고 구정이 다가오네요 오늘은 우리나라 예도중 인사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상대편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는 기초적인 예절로 절하는 방법이 있죠 그러나 현대사회를 살아가다보면 절을 할수 없는 장소이거나 여건이 못되는 경우가 엄청 많죠? 이럴때는 과연 어떻게 인사를 해야 할까요 그래서 오늘은 이동할때나 앉아있을 때 계단등에서 인사하는 방법과 이렇게 인사할 때 주의할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절하는 방법이나 손의 자세는 남녀가 각각 다르다는 아시죠 인사하는 법! 정말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하다고 하죠 자고로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하였지만, 지금은 서양식 악수(握手)로 대신하며 우리의 인사법을 잊어 버렸지만, 아무리 세월이 변해도 인사는 사람의 일이요 사람..

24절기의 유래와 풍습

안녕하세요! 지난 20일 대한이 지남에 따라 올해 24절기는 모두다 지나고 입춘이 새로운 절기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죠 그래서 오늘은 24절기의 유래와 풍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24절기는 입춘, 경칩, 하지, 동지 등 우리에게 익숙한 절기들이 있는 반면, 같은 24절기에 포함되어 있지만 우리에게 생소한 절기들도 있답니다. 24절기는 절기와 중기가 다달이 들어 있으면서 계절의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요 비록 우리나라의 기후와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는 면도 있지만, 농경사회에서는 나름대로 농사의 기준이 되는 대단히 중요한 날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24절기에 맞추어 농사가 행해졌구요. 24절기 가운데는 동지처럼 큰 세시 명절도 있고 입춘이나 곡우처럼 절일(명절)의 의미를 지니는 날도 있다네요. ​그래서..

명심보감 효행편 첫구절..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鞠我하시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명심보감 효행편에 나오는 첫구절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이 구절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詩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鞠我하시니 哀哀父母여 生我劬勞셨도다. 欲報深恩할진데 昊天罔極이로다. (시왈 부혜생아하시고 모혜국아하시니 애애부모여 생아구로셨도다 욕보심은할진데 호천망극이로다) 이 구절은 명심보감 효행편(孝行篇)에 나오는 첫 구절인데요 한번 해석해보면 시전(詩傳)에 말하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애달프고 슬프도다 어버이시어,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고 애쓰시고 수고하셨도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할진대 넓은 하늘과 같이 끝이 없도다"라고 하셨다는 의미로. 내 몸을 낳아 숭고한 사랑과 노고로 온 힘을 다해 길러 주시며 사람됨을 가르쳐주신 부모님..

오징어게임, MBC, 대통령후보들이 말하는 깐부의 의의

안녕하세요.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예전에 유행했던 말이 잊혀질만하면 새로이 유행하는 말들이 많이 있는데요. 그 대표적인 것이 요즘 유행하는 ‘깐부’라는 말이라고 할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요즘 오징어 게임에서 나오고 대통령후보까지 말하는 깐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요즘 깐부라는 말이 자주 나오죠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 중인 우리나라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나오는 할아버지인 오영수씨가 깐부라는 말을 언급하여 새롭게 유행이 되고 있는데 이는 ‘깐부’라는 단어가 주는 친근감 때문이기도 하구요. 대통령후보가 토론과정에서 깐부라는 말이 나온것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죠 요즘 50대이상 되시는 분들이 어릴 때 많이 하며 놀던 구슬치기, 딱지치기, 말타기 등의 놀이를 하면서 같은 편 친구를 ‘깜보’라고 부르던 ..

호칭중에 스님만 님자를 붙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쓰는 호칭중에 스님만 님자를 붙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많이 듣는 호칭중에 성철 스님, 법륜 스님, 법정 스님 이렇게 부르는건 다 알고 있죠 그러나 종교만 다를 뿐 훌륭하다 손꼽히는 김수환 추기경, 김대건 신부, 이해인 수녀, 000목사, 같은 이들도 님자 붙여야지 왜 안 붙일까요? ​ 이처럼 우리나라에선 승려를 가리켜 흔히들 이라 부르는걸 당연시 여기는 것으로 웬만큼 알고들 계시겠지만 이 말의 어원을 한번 살펴봐야겠죠 호칭중에 스님만 님자를 붙이는 이유! 스님! 이말의 어원은 출가한 불교 수행자 을 뜻하는 한자 승(僧)에다 지칭 대상을 높여부를 때 쓰는 공통적 어미 을 붙인 것으로 알고 있을겁니다 즉 승려를 높여부르는 말인데 오늘날엔 불교에 어지간히 ..

소한(小寒)의 유래, 풍속, 시절음

안녕하세요! 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아온지도 벌써 3일째이네요 먼저 2022년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저희 블로그를 보시는 모든가정마다 행복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빌겠습니다. 요즘 날씨가 많이 춥네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춥다는 소한의 의미 유래, 관련된 속담, 시절음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한(小寒)의 유래!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갔다가 얼어죽는다 이런말을 어르신들이 하는걸 들어보셨죠 이말은 절기상 대한이 가장 춥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소한이 더 춥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죠 1월 5일 내일모레는 소한!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패딩을 피부처럼 입고 다니시는 분들 많으시죠? 아마 내일모레가 소한이라 더욱 추운 것 같습니다. 이런 날씨에는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요. ..

꿩대신 닭이란 속담의 의미와 유래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옛날 속담중에 꿩 대신 닭이란 속담의 유래와 의미를 알아보고 떡국과 전통혼례와 관련된 이야기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꿩대신 닭! 이 말은 우리가 찾거나 입에 맞는 음식을 찾다가 그것이 없을 때 쓰는 말이죠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은 아주 흔한 속담으로 사전적 의미를 보더라도 ‘꿩’이 필요한데 ‘꿩’이 없어서 그것을 ‘닭’으로 대신한다는 의미랍니다. 그러니 ‘꿩’이 주인공이고, 그것을 대신하는 ‘닭’은 조연에 불과하다고 할수 있겠죠 ‘닭’으로서는 대단히 섭섭한 일이나 ‘꿩’보다 나은 점이 없으니 어쩔 수는 없는거랍니다. 꿩대신 닭! 요즘말로 말하면 일종의 대체재 또는 보완재라고 할수 있을까요? 이러한 대체재는 이외에도 밥 대신 빵, 볼펜 대신 연필, 에어컨 대신 선풍기, 자동차 대..

희대의 사깃꾼 김선달이 김생원의 혼외자를 친자로 판명한 기발한 근거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동강 물을 팔아먹은 희대의 사기극을 벌인 인물 봉이 김선달이 김생원의 고민거리를 해결하고 거하게 술한상 대접받고 노자돈까지 넉넉하게 챙긴 일화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여러분 김선달하면 생각나는 것이 무엇이 있나요? 희대의 사깃꾼, 봉이, 대동강 물 팔아먹은 사건, 김생원, 바람난 과부등 아무튼 재미있는 사람이죠 조선 말기 평양부에 살았다는 희대의 사기꾼 김삿갓처럼 비슷한 케이스의 다수가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봉이 김선달이라는 사람으로 정립된 듯 하다. 본명은 실제로 전하지 않지만 소설에서는 김인홍으로 나온답니다. 사기꾼 기질이 강한 중년에 비해 젊었을 적에는 무술에 능한 청년이었기에 무과에 급제해 선달 호칭[1]을 받았다 해서 김선달이라 하는데요. 그런데 판본에 따라서는 이것도..

오미사악(五美四惡)이란! 정치인이 지녀야 할 5가지 미덕과 4가지 악

안녕하세요. 옛 성현들의 말씀과 지혜를 알아보는 청곡의 니캉내캉입니다 이제 대통령선거가 100일도 채 남지 않았죠 그래서 오늘은 정치인이 꼭 알아야 할 다섯가지 미덕과 네가지 악 오미사악(五美四惡)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오미사악(五美四惡) 五 : 다섯 오 美 : 아름다울 미 四 : 넉 사 惡 : 나쁠 악 이말의 의미를 요약하면 다섯 가지 미덕과 네 가지 악이란 뜻으로 존오미병사악(尊五美屏四惡, 다섯 가지 미덕을 높이고 네 가지 악을 물리치다)의 줄임말이라고 할수 있죠 오미사악(五美四惡)! 이말은 《논어(論語)》 〈요왈(堯曰)〉편에 나오는 말인데요 지금부터 한번 살펴 볼까요. 정치에 관심이 많은 자장이 스승이신 공자님께 여주길 어떻게 하면 국사를 잘 돌보고 정치를 잘할수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께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