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1

사망후 3일장을 하는 이유와 3일간의 절차는?

사망후 3일장을 하는 이유와 3일간의 절차는? 오늘은 우리가 누구나 다 경험할수 있지만 막상 닥치고 나면 경황이 없는 장례, 그 장례를 3일장으로 하는 이유와 3일간의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망후 3일장을 하는 이유와 3일간의 절차는? 우리나라에서는 왜 대부분이 장례를 3일장으로 할까요 먼저 우리나라는 '3'이라는 숫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향이 있기도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고인이 다시 살아날 수도 있을지 모른다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합니다. 두번째이유는 친척들이나 지인들이 연락을 받고 오는 시간을 배려하기 위함이구요 3일장이라고는 하지만 돌아가신 시간이 오후나 저녁때라면 3일째는 발인이니까 실제로 완전한 시간은 하루정도 밖에 안된다고 볼수 있죠 세번째는 장례에 필요한 준비때문이라고 합니..

감나무의 일곱가지 장점과 다섯가지 덕성을 알아보는 칠절오상(七絶五常)~~

감나무의 일곱가지 장점과 다섯가지 덕성을 알아보는 칠절오상(七絶五常)~~ 오늘은 감나무의 일곱가지 장점과 다섯가지 덕성을 알아보는 칠절오상(七絶五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감나무의 일곱가지 장점과 다섯가지 덕성을 알아보는 칠절오상(七絶五常)~~ 칠절오상(七絶五常).. 혹시 이런말 들어보셨나요 [일곱 칠(一/1) 끊을 절(糸/6) 다섯 오(二/2) 떳떳할 상(巾/8)] 옛 어르신들이 감나무를 보고 감나무의 일곱 가지 장점과 다섯 가지 덕성을 말한 것인데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손을 댄 것이 전혀 티가 나지 않을 때 감쪽같다는 표현을 쓰는데요. 이 말의 어원이 맛있는 곶감의 쪽을 뺏기지 않으려고 빨리 흔적도 없이 먹어 치운다거나, 감나무에 고욤을 접붙였을 때 나중에 표시가 나지 않은 데서 나왔다거나 하옇튼..

제사상 과일숫자와 불탑의 층수가 홀수인 이유!

제사상 과일숫자와 불탑의 층수가 홀수인 이유! 오늘은 우리가 조상님들을 위해 제사를 지낼 때 음식이나 과일숫자를 홀수로 올리는지 짝수로 올리는지와 그리고 우리나라 유명사찰등의 탑이 홀수층인지 짝수층인지 알아보고 그 사유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사상 과일숫자와 불탑의 층수가 홀수인 이유! 우리가 제사를 지낼때는 어르신들이 사과나 배, 곳감등 과일이나 전, 고기등 숫자가 많지 않은 것은 홀수로 진설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죠. 물론 숫자가 아주많은 대추나 밤등은 그 숫자를 헤아릴수는 없어 그냥 한웅큼 놓으면 된답니다. 그러나 굳이 숫자를 헤아린다면 가능하면 홀수가 좋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음양오행설에 따르면 우주의 모든 현상은 음과 양의 소멸과 성장으로 설명되는데, 양..

까마귀의 숨겨진 비밀은? 불길한 징조, 건망증의 상징, 정력제

까마귀의 숨겨진 비밀은? 불길한 징조, 건망증의 상징, 정력제! 오늘은 불길한 징조, 건망증의 상징? 정력제라고 알려져 있는 까마귀, 까마귀에 대한 이런내용이 과연 진실인지에 대해서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까마귀의 숨겨진 비밀은? 불길한 징조, 건망증의 상징, 정력제! 여러분은 ‘까마귀’하면 어떤 것이 생각나시나요? 우리나라에서는 아침부터 까마귀 울음소리를 듣거나 까마귀가 나는 것을 보게 되면 그 날 하루 운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미신이 있다고 하죠. 또 뭘 잊어버리면 까마귀고기를 먹었다고 놀리고 있죠 이렇게 보면 정말 까마귀는 억울해하겠죠? 그러나 까마귀를 정력제라고 하여 좋은점도 있죠 또, 알고보면 까마귀는 아주 영리한 조류라고 하더라구요 까마귀는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

사람이 한평생 다섯번 탄생한다는데 그 다섯번의 비밀은?

사람이 한평생 다섯번 탄생한다는데 그 다섯번의 비밀은? 우리가 평생동안 다섯 번을 태어난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이러한 5번이 과연 어떤 탄생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이 한평생 다섯번 탄생한다는데 그 다섯번의 비밀은?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건 의 명대사로 삶의 기로에 서있는 상황에 대해서 표현한 말이죠. '삶(birth)와 죽음(death) 사이에는 선택(choice)가 있다.'라는 말도 있는데요. 이 말은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라고 할수 있죠.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계속 선택의 순간을 마주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순간들이 삶과 죽음 사이에 있다는 뜻입니다. 한국 철학의 양대 산맥인 故 안병욱 (安秉煜) 철학교수의 글이 새삼 생각나는 하루네요. 철학적(哲學的)으로 보면 ..

전쟁으로 남자가 부족한 여자의 슬픔과 애환을 담은 얼씨구 절씨구

전쟁으로 남자가 부족한 여자의 슬픔과 애환을 담은 얼씨구 절씨구! 우리나라의 많은 민요에 보면 얼씨구 절씨구라는 말이 많이 나오죠 오늘은 이렇게 창부타령등을 비롯한 많은 곳의 가사에 나오는 이 구절의 사연과 그 내력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전쟁으로 남자가 부족한 여자의 슬픔과 애환을 담은 얼씨구 절씨구! 세월은 많이 변했지만 요즘 세대에 이르러서도 우리나라 각설이 타령을 들으면 "얼씨구 절씨구" 란 말이 많이 나오지요 각설이 타령뿐만 아니라 창부타령을 비롯하여 여러민요 가사에도 쓰이고 있는데요 왜 "얼씨구 절씨구"라는 말을 가사로 사용했을까요? 이 말이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고 있으며 또 이 말에는 무슨 사연이 있을까요? 오늘은 그 내력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각설이 타령은 많이 아시죠? 이건 ..

제삿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제삿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우리가 조상을 모시는 제사를 지내고 있죠, 물론 지내지 않는 사람도 있구요 오늘은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관점에서 제사상에 올릴수 없는 음식들과 그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삿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과 그 이유는? 요즘은 핵가족화와 부모자식만 중시하는 풍조가 강해 제사를 지내지 않는 분들이 많죠 그러나 조상이 없으면 우리가 없다는 마음으로 아직도 지내는 분들이 훨씬더 많답니다 그래서 이 채널에서 조상님의 제사를 지내야하는 이유와 지내지 않아도 되는 이유, 제사지내는 시간, 술잔을 세 번 돌리는 이유를 포함하여 제사상 진설방법과 순서등 여러 가지를 알아본적이 있는데요. 궁금하시면 이 블로그를 찾아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제사는 지방마다 그 지방의 풍습과 관례가..

김씨, 이씨, 박씨등 우리나라 성씨 탄생의 비화는?

김씨, 이씨, 박씨등 우리나라 성씨 탄생의 비화는? 우리가 사람이름을 말할 때 홍길동, 김개똥이라며 성과 이름을 말하게 되는데요 과연 이성이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성씨(姓氏)탄생의 비화(秘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김씨, 이씨, 박씨등 우리나라 성씨 탄생의 비화는? 성씨는 사람의 혈족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 앞에 붙이는 칭호를 의미하구요. 핏줄이 같은 사람들은 같은 성씨를 갖는 것이죠. 역사를 보면 성씨는 원래 어머니의 핏줄을 뜻했던 '姓(성)'이라는 말과 자신의 조상이나 출신 지역을 뜻했던 '氏(씨)'가 합쳐진 말이에요. 우리나라 성씨는 조선조 초기까지만 해도 체 인구의 10% 정도에 불과했다고 하죠, 유랑민이거나 원래의 천민들은 조선 말기까지 성(姓)이 없이 떡쇠, 돌..

청와대(靑瓦臺)의 역사와 관람, 기왓장수등 청와대에 대한 모든 것

청와대(靑瓦臺)의 역사와 관람, 기왓장수등 청와대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요즘 언론에 가장 많이 보도되는 것이 윤석열정부의 출범과 청와대개방 기사라고 할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조선총독부 관저, 해방후 미군정시에는 미군정사령관의 관저로 쓰였다는 청와대(靑瓦臺)의 역사와 관람, 기왓장수등 청와대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와대(靑瓦臺)의 역사와 관람, 기왓장수등 청와대에 대한 모든 것! 지난 5월 10일 대한민국 제20대 윤석열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오랫동안 같혀있던 청와대가 개방되었죠. 역사속으로 뭍혀져가는 청와대의 역사도 상식적으로 조금은 알아야겠죠 언론에서는 74년만에 개방이라고 하지만 조선시대 500년과 대한민국 건국 이후 74년을 합하면 600여 년간 일반 국민에 닫혀있던 청와대..

5월 8일 부처님 오신날, 유래와 세시풍속!

5월 8일 부처님 오신날, 유래와 세시풍속! 안녕하세요! 오늘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5월8일 부처님 오신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5월 8일 부처님 오신날, 유래와 세시풍속! 5월은 가정의 달이라고 하죠. 그만큼 행사도 많은데요 1일이 근로자의 날, 5일이 어린이날, 8일이 부처님오신날이자 어버이날이구요 11일이 입양의 날, 15일이 스승의 날, 21일이 부부의 날, 31일이 바다의 날이네요 5월은 자식이나 부모님, 손주들을 위해 용돈이 많이 나가는 달이기도 하네요 그중에서도 오늘은 부처님 오신날의 유래와 그날 하는 세시풍속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처님 오신날은 석가모니인 고타마 싯타르타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로 초파일(初八日)이라고도 하는데요. 고다마 싯다르타는 부처님, 불타, 석가모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