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25

꽃과 사람의 품격(品格)!

꽃과 사람의 품격(品格)! 우리가 살아가면서 사람에게 '품격(品格)'이 있듯이 꽃에도 '화격(花格)'이 있다고 합니다.눈속에서 꽃이 핀다하여 매화가 1품이요.서리를 맞고 꽃이 핀다 하여 국화가 2품이요. 진흙 속에서 꽃이 핀다하여 연꽃이 3품입니다. 북향으로 떠난 님을 위해 오롯이 북쪽을 향해서만 꽃이 핀다하여 목련이 4품이요. 가시가 돋아나 스스로 꽃을 지킨다 하여 장미가 5품입니다. 사람에게도 품격의 등급이 있는데 나 자신은 어디에 해당 되는지 한번 살펴보세요.꽃과 사람의 품격(品格)! 다음은 스승과 제자의 대화 입니다. "스승님! 같은 이름의 물건 이라도 그 품질에 상하가 있듯이, 사람의 품격(品格)에도 상하가 있지 않겠습니까“그러하지.”“하오면, 어떠한 사람의 품격을 '하(下)'라 할 수 있겠습니..

항아리 속에 감춰진 사랑의 조미료는 무엇일까?

항아리 속에 감춰진 사랑의 조미료는 무엇일까?"여보, 항아리 속을 절대 봐선 안 돼요. 만일 당신이 항아리 속을 열어본다면 다시는 맛있는 요리를 먹을 수 없게 될 거예요." 아내는 늘 선반에 놓인 작은 항아리에 대해 남편에게 주의를 주곤 하였습니다. 항아리에는 친정엄마께 물려받은 비밀 조미료가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언젠가 남편도 아내가 그것을 뿌리는 것을 보았는데, 가루가 너무 고와서인지 너무 조금만 사용하기 때문인지 눈에 잘 띄지 않았습니다.  항아리 속에 감춰진 사랑의 조미료는 무엇일까?그런데 삼십 년 넘게 참아온 궁금증이 아내가 집을 비운 어느날, 걷잡을 수 없이 부풀어 올랐습니다. 남편은 아내의 다짐을 떠올렸지만 온통 항아리 속이 궁금했습니다. 삼십 년이 흘렀는데 아내도 이해해 주겠지, 남편은 ..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여러분!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종류의 성씨가 있고 이를 본관별로 구분하면 더 많은 본관성씨가 있다고 하죠그래서 오늘부터는 우리나라 본관성씨중 한가지씩, 그 본관성씨의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등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오늘은 그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다는 본관성씨인 김해김씨(金海金氏)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먼저 김해김씨(金海金氏)는 가장 최근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많은 본관성씨로 4,456,700명이나 된데요. 그러니까 한 10명정도 모이면 1명정도는 김해김씨인 셈이 되는 거죠  물론 전체 김씨 성중에서도 가장 많은 41.7%를 차지하고 있다네요그러..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우리 옛말에 言顧行行顧言(언고행 행고언)이란 말이 있습니다말과 행동에 괴리가 있다면 최소한 둘 중 하나는 잘못된 것이고 말과 행동의 일치 여부는 인격의 가장 중요한 척도입니다.  "군자는 말이 행동보다 앞서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라는 공자의 말씀도 있습니다.  말은 높게하고 행동은 낮은것이 인격의 가장 아랫단계입니다. 현명한 자는 행동이 높더라도 말은 낮게 합니다.   행동이 말에 미치지 못할까 두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할 때 나의 말이 나의 행동과 부합 하는가를 늘 살펴야 하고, 행동할 때 나의 행동이 내가 한 말과 부합하는가를 늘 살펴야 합니다.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行顧言)  특히 나의 말이 ..

영원한 미스테리.. 코카콜라가 150년동안 특허를 내지 않는 이유는?

영원한 미스테리.. 코카콜라가 150년동안 특허를 내지 않는 이유는?여러분! 콜라 좋아하시나요? 여름이면 많이 찾게 되고요. 특히 고기나 텁텁한 음식을 먹었을때는 콜라가 생각나게 되죠그런데 이 100년 넘는 코카콜라가 아직도 특허가 없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궁금하지 않나요그래서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같이 알아보고자 합니다자~ 전 세계에서 코카콜라를 모르는 사람은 아마 별로 없겠죠? 코카콜라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사랑받는 음료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최근 전 세계 36개국에서 한글로 코카콜라를 표기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했는데요이는 수백년 역사상 처음으로 특정 국가의 언어를 제품에 적용한 사례라고 할수 있습니다그만큼 K팝의 인기와 한류의 영향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

일반생활 상식 2025.03.10

제사를 양력으로 지내면 안될까요?

제사를 양력으로 지내면 안될까요?여러분! 제가 블로그에 제사에 대해서도 여러번 올린적이 있는데요. 댓글을 다신분중에 양력으로 기제사를 모시면 안 되는지 물어보신분이 있어 그에 대해 같이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제사는 언제 지내나요? 언제 지내느냐는 물음보다는 제사는 양력을 기준으로 하느냐 음력을 기준으로 하느냐고 묻는게 더 낟겠죠 아마 그기에 대한 대답으로는 음력이라고 대답하는 분이 대부분일 겁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기제사도 그렇지만 설날이나 추석 차례도 음력을 기준으로 하니까 더욱 그렇습니다 제사에 관한 예절은 한국의례연구원에서 발간된 의 내용을 전재한 것이 많죠 그동안 우리 선조들은 오랫동안 음력을 기준으로 제사를 지내왔으나, 현대사람들은 양력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양력 제사에 대해..

우리주변에서 사람잡는 것들이 바로 이런것이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지만주의하지 않으면 사람을 잡는 것들이 있다고 하는데 한번 알아볼까요 1.[오해]가 사람을 잡는다......반드시 진실을 확인하라.2.[설마]가 사람 잡는다.........미리 대비해야 한다.3.[극찬]이 사람 잡는다.........칭찬은 신중히 하고, 내가 칭찬을 받을 때에는 교만하지 말라.4. [뇌물]이 사람잡는다.........선물은 받되, 뇌물은 받지말고, 치우치지 말라. 5.[정]이 사람을 잡는다.........따뜻한 정과 함께 냉철한 이성을 가져라.6.[호의]가 사람을 잡는다......호의에 담겨진 의미를 파악하고, 반드시 은혜로 받으라.7.[차차]가 사람 잡는다.........오늘 할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라.8.[나중에]가 사람을 잡는다...지금 결단하라..

3.1운동후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전투의 영웅 김좌진~

3.1운동후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전투의 영웅 김좌진~여러분 김좌진 장군이라면 어질적 역사시간에 대 배웠죠그렇지만 오늘은 김좌진 장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가계와 유년시절 김좌진(金佐鎭, 1889~1930)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명여(明汝), 호는 백야(白冶)라고 한다그는 1889년 음력 11월 24일 충청남도 홍주군 고남면 갈산리(현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김형규(金衡圭)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문충공 김상용(金尙容)이 그의 11대조이며 안동김씨 수북공파(水北公派)의 시조인 김광현(金光炫)이 그의 10대조가 되구요그의 가문은 일명 ‘갈산김씨(葛山金氏)’라고도 한다. ​그의 가문이 홍성에 정착한 것은 10대조 김광현이 홍주목사를 ..

사람사는 진리!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사람사는 진리!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우리는 습관적으로 눕기를 즐겨한다.피곤하다고 눕고 아프다고 눕고 졸립다고 눕는다.그러나 필요 이상으로 누우면 몸은 점점 더 약해지고 의지력도 약해진다.이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열심히 걸어야 한다.처음 걸을 때는 당연히 힘이 들고 부작용이 따른다.그러나 용기를 내어 걷게 되면 점점 더 힘이 솟아난다.그래서 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사람사는 진리!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인류는 수 만년 동안 산과 들을 걸으며 살아왔다.그런데 전기가 발견되고 자동차가 나오고 도시가 커지면서 걷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었다.그러면서 체력이 떨어지고 각종 성인병이 생겨나면서 소위 문명병이란 말이 나오게 되었다. 사람사는 진리!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지금은 어떤가?주위에 나이 들어가면서 고혈..

사돈간 예절, 사돈가족 호칭, 사돈간 선물은 어떻게?

사돈간 예절, 사돈가족 호칭, 사돈간 선물은 어떻게?우리가 손님을 대할 때 가장 어렵고 신경을 쓰야 하는데가 누구와의 관계인지 아세요? 바로 사돈관계라고는 많이 말하고 있습니다.흔히들 말하길 사돈은 가깝지만 멀게 느껴진다고도 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먼저 이 사돈의 정의와 유래, 사돈가족에 대한 호칭, 사돈간 예절, 설날같은 명절 선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사돈간 예절, 사돈가족 호칭, 사돈간 선물은 어떻게?여러분 사돈이 어떤 사이인지는 다 아시죠. 먼저 사돈의 정의부터 한번 알아볼까요1. 사돈(査頓)혼인한 두 집안의 부모들 사이 또는 그 집안의 같은 항렬이 되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이르는 말. 이렇게 정의하고 있죠 그러니까 친정아버지가 시아버지에게, 친정어머니가 시어머니에게 쓰는 표현이라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