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씨, 본관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sandda 2025. 3. 16. 12:43
반응형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여러분!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종류의 성씨가 있고

이를 본관별로 구분하면 더 많은 본관성씨가 있다고 하죠

그래서 오늘부터는 우리나라 본관성씨중 한가지씩,

그 본관성씨의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등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다는 본관성씨인

김해김씨(金海金氏)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먼저 김해김씨(金海金氏)는 가장 최근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많은 본관성씨로 4,456,700명이나 된데요.

그러니까 한 10명정도 모이면 1명정도는 김해김씨인 셈이 되는 거죠

 

물론 전체 김씨 성중에서도 가장 많은 41.7%를 차지하고 있다네요

그러면 지금부터는 김해김씨 시조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김해김씨는 경상남도 김해(金海)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가락국의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고,

흥무대왕 김유신(金庾信)을 중시조로 하는건 다 아시죠.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의 아홉 명의 촌장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자주색 밧줄에 붉은 보자기에 쌓인 금합이 구지봉에 강림하고,

여섯개 황금 알 중에 제일 먼저 나온 아이를 수로(首露)라 하였죠

반응형

훗날 이 수로가 금관가야의 왕이 되니 김해김씨의 시조가 된건데요.

이후 후손들은 가락국이 세워진 김해를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답니다

 

그러나 금관가야는 5세기 광개토태왕의 남정 이후 급속히 쇠퇴하게 되는데요.

532(법흥왕 19) 신라에 투항하여 진골 귀족이 된

가락국의 마지막 왕으로, 김유신의 증조부가 되는 구형왕(仇衡王),

신라에 투항함으로써 상등의 작위를 받고, 금관국을 식읍으로 받았구요

 

, 그의 세 아들 중 차남 김무력(金武力)이 신라에서 장군이 되어,

관산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우고 최고의 관등인 각간(角干)을 지냈고요,

신라의 한강유역을 차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합니다.

 

그의 아들 김서현(金舒玄)은 백제와 여러번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대양주도독(大梁州都督)을 지냈고,

고구려 낭비성을 함락시키고 각간(角干)으로 제수 받았으며,

김서현의 딸 문희(文姬)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혼인하여

문명왕후(文明王后)가 되었답니다.

김서현의 아들 김유신(金庾信)은 무열왕과 함께

삼국통일의 대업(大業)을 달성한 명장(名將)으로

무열왕의 딸 지소부인(智炤夫人)과 혼인했으며,

태대각간(太大角干)에 이르러, 사후에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었습니다.

 

이렇게 김해김씨는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번성해 왔는데요.

 

이런 신 김씨의 위세가 쇠퇴한 계기는,

780년 혜공왕이 피살당하는 것으로 무열왕계 왕통이 단절되고

선덕왕의 내물왕계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부터인데요

다른 진골 귀족들로부터도 다시금 경원 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으로 추락했다네요

 

진성여왕 때에 신라가 혼탁하여 김상좌(金商佐)가 왕건에게 위탁해,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三重大匡) 개국원훈(開國元勳)에 오르기도 했답니다.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김해김씨는 신라와 고려시대를 통하여 많은

문무명신(文武名臣)을 배출한 삼한갑족(三韓甲族)에 속하며,

고려시대에만도 정승급 15명을 비롯하여, 명신·공신 10여 명과 장군 8,

제학(提學) 11명 등 숱한 인물을 배출하여 위세를 떨쳤죠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대게 조선 개국에 반대하는 고려 충신들이 많았고요.

무오사화(戊午士禍)를 비롯한 정치적 사건들에 휘말려 쇠락을 면치 못했다고 합니다.

 

김희철(金希哲)의 딸이 선조(宣祖)의 후궁 공빈 김씨(恭嬪 金氏)가 되면서

김희철은 국구(國舅)로서 해령부원군(海寧府院君)에 봉해졌고,

아들 광해군(光海君)이 왕으로 즉위한 후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되었으나,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다시 후궁으로 강등되었다네요.

이처럼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부진을 면치 못하여,

역대 정승에서도 숙종조의 김우항(金宇抗) 한 사람뿐이었다는데요.

조선시대 유일한, 그리고 최후의 정승이었답니다.

 

그러나 한말 이후 김해김씨는 으뜸가는 성씨 인구에 걸맞게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죠.

주요인물을 살펴보면, 삼현파의 파조(派祖)인 김관은 고려 때

판도판서(判圖判書)를 지냈고, 5세손인 김극일(克一)은 학자로 명망이 높았구요

 

그의 차자(次子) 김맹(金孟)의 준손(金駿孫기손(金驥孫일손(金馹孫)

세 아들은 모두 문장으로 이름이 나 김씨삼주(金氏三珠)’라 하였다네요.

 

이밖에 이조참판·시문가(詩文家) 김현성(金玄成), 사군파 파조(派祖) 김익경(金益卿),

고려의 좌시중(左侍中) 김보(金普), 조선시대의 무장(武將) 김경서(金景瑞김완(金完),

학자로는 김자정(金自貞김덕승(金德承),

화가로는 김홍도(金弘道양기(金良驥) 부자 등이 있죠.

 

그럼 김해김씨의 김해라는 본관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김해(金海)는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의 지명이죠.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가락국(駕洛國)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는데요.

 

532(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구요.

680(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바꾸어

양주(良州)의 관할로 두었다네요.

 

940(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고

임해현(臨海縣)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구요.

995(성종 14)에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여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죠

여러번의 강등과 승격을 거치다가

1413(태종 13)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을 두었고요.

 

1895(고종 32) 김해군이 되었고,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을 통합하였죠.

 

그리고 분파를 한번 보면 김해김씨는 신라김씨의 알지계(閼智系)와 함께

우리나라 김씨의 양대산맥을 이루어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번성하여 왔죠.

 

특히 김해김씨는 족세(族勢)가 크게 번창해짐에 따라 148여파로 분파(分派) 되었구요.

그 가운데 직계종파(直系宗派)는 고려의 김목경(金牧卿)을 중시조로 하는 경파(京派)

그의 아우 김익경(金益卿)을 중시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김관(金管)을 중시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金克一·金馹孫·金大有)라고 합니다.

 

여기에 경파, 사군파, 삼현파마다 각각 세부적인 인물을 중조로 하여

24개의 공파로 구분되어 있는 등, 그 계보가 정말 복잡하다고 합니다.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그럼 김해김씨 인물로 앞에서 언급하신 분들 이외에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분들 한번 알아볼까요

 

먼저 김자정(金自貞)인데요. 김조(金銚)의 아들로

예조 참의를 거쳐 벼슬이 공조 판서에 이르렀고요.

 

성종 8(1477)에 재가(再嫁) 금지의 논의가 있자 재가를 허락할 것을 주장하였고,

노사신ㆍ강희맹 등과 함께 유명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하였습니다.

김홍도(金弘道): 조선 영조 때 풍속화의 대가. 도화서 화원이 된 후

왕세손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정조의 어진(御眞)을 그렸다.

김대건(金大建):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교회 신부.

세례명은 안드레아. 마카오에서 신학을 배우고 조선에서 선교활동을 하다

1846년 병오박해로 순교.

김원봉(金元鳳): 의열단을 조직하여 일제에 항거하였고,

광복군 부사령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 등을 지낸 독립운동가로

문재인 정부때 뉴스에 많이 나왔죠

김영랑(金永郞): 독립운동가이자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언덕에 바로 누워·독을 차고등을 저술한 시인

김대중(金大中): 대한민국 제 15대 대통령. 한국인 최초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김종필(金鍾泌): 초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정계 입문한 9선 의원.

대한민국 제11·31대 국무총리.

김 일 (金 一): 한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김지하(金芝河): 한국의 시인. 1970년대 '타는 목마름',

'오적(五賊)'으로 유명한 저항 시인

김부겸(金富謙): 16·17·18·2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문재인 정부의 행정안전부 장관과 제47대 국무총리 역임.

그리고 또 김해김씨는 우리나라서 유일하게 대통령을 비롯하여

5부요인인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관위위원장을 다 배출한 성씨라고 합니다

 

인구가 제일많다는 김해김씨의 유래,시조,분파,특징과 주요인물?

오늘은 우리나라의 수많은 본관성씨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다는 김해김씨.

이 김해김씨의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