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여섯 번째 시간으로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경주이씨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통계조사 결과 거의 100만명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또, 현존하는 성씨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인류의 뿌리 성씨입니다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죠.
참고로 국내에는 2가지의 진주 강씨가 존재하는데 서로 한자가 다르다고 합니다,
성강자를 쓰는 진주강씨(晉州姜氏)는 고구려 도원수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구요.
편안한 강자를 쓰는 진주 강씨(晉州 康氏)는 강여즙(康汝楫)을 시조로 하는
성씨로 한글은 같지만 한자는 다르다고 합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오늘 소개드릴 강씨는 바로 성강자를 쓰는 진주강씨인데요.
진주강씨는 거의 다 성강(姜)자를 쓰는 강씨이구요. 강이식의 후손인
강진이 진양후에 봉해져서 관향을 진주로 삼은 데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성씨는 신라계 성씨나 고려계 성씨가 대부분인 한국의 다수인구 성씨 중에서는
晉州姜氏는 거의 유일한 고구려계 성씨라고 합니다
진주 강씨(晉州姜氏)는 고구려 영양왕 시기에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를 역임한
강이식(姜以式) 장군을 시조로 하고, 태중대부 판내의령 (太中大夫判內議令)을
역임한 강진(姜縉)을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죠.
제나라 멸망 이후, 자손이 흩어지게 되어 본래 씨(氏)인 여씨(呂氏)를
다시 씨로 삼거나 화를 피해, 국명을 씨로 삼아 제씨(齊氏)를 씨로 삼거나
성(姓)을 씨(氏)로 삼아 강씨(姜氏)로 다시 창성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진주시를 관향으로, 시조는 강이식(姜以式), 중시조는 강계용(姜啓庸),
강위용(姜渭庸), 강원용(姜遠庸), 강민첨(姜民瞻), 강궁진(姜弓珍)등이구요
대표적인 집성촌으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관악구와 경기도 이천시,
경상남도 남해군, 진주시, 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시,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북도 순창군, 남원시, 김제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대전광역시 서구, 충청남도 아산시, 논산시등이구요
북한지역의 평안북도 정주시와 함경남도 북청군, 덕천군, 황해도황주군, 봉산군,
연백군, 벽성군, 안악군등이 대표적인 집성촌이라 할수 있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그러나 진주 강씨(晉州姜氏)의 시조는 강이식은 정사로 인정받지 못하는
조선상고사에서만 언급되는 인물로 실존 여부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하구요.
강이식의 선조는 중국의 강태공의 자손인 천수강씨(天水姜氏)의 지파인
광동강씨(廣東姜氏)의 일족으로 중국 광동강씨 족보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재 진주시 상봉동에 위치한 봉산사에 강이식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강씨가 진주에 세거한 것은 고구려 멸망 이후 당 황제가 인재를 발탁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에서 강진(姜縉)이 장원급제한 후 태중대부 판내의령 (太中大夫判內議令)을
역임하다가 진양후(晋陽候)에 봉해진 이후인데요.
이 때부터 진주강씨의 본관을 진주(晉州)로 하게 되었습니다.
강씨 족보에 따르면, 강이식 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는 그들의 조상이 바로 강태공이에요.
강태공은 중국 주나라 건국에 절대적인 공을 세운 인물로,
그 공으로 지금의 산동성 지역의 봉토를 받아 나라이름을 제(齊)로 하여 제나라를 건국하였죠.
진주강씨 문중은 중국의 강태공 후손들과 더불어 매년 9월 12일
중국 산동성 치박시 임치구 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는데
이 제사를 축제화 하여 '제나라 문화축제'라고 합니다
이 축제는 거대한 강태공상 앞에 모여서 각종 제나라
의상, 음악, 제나라 전통가무 공연, 강태공에 대한 제사 등이 진행되며,
이 곳에는 강씨는 물론 강씨에서 갈라진 성씨인 중국의 고(高), 노(盧), 여(呂),
정(丁), 구(丘), 최(崔)씨 등이 매년 단골로 참석한데요
참고로 강태공에서 갈라진 중국성씨가 무려 102개나 된다고 합니다
또한, 강태공 뿐만 아니라 강태공에서 더 거슬러 올라갈 경우
그 최고 정점에 중국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까지 나온답니다.
염제신농씨는 중국 고대 삼황(三皇) 중 한명이며, 지금으로부터 5200년전
중국 섬서성 기산현을 흐르는 강인 강수(姜水)에서 자라서
지명인 姜을 성씨로 삼았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염제신농씨의 성은 강(姜)이고 이름은 석년(石年)이라 했다고 합니다
주요 분파를 보면 강이식을 동일 시조로 하여
강계용(姜啓庸)을 중시조로 하는 박사공파(博士公派)가 있고,
강위용(姜渭庸)을 중시조로 하는 소감공파(少監公派),
강원용(姜遠庸)을 중시조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
강민첨(姜民瞻)을 중시조로 하는 은열공파(殷烈公派),
강감찬(姜邯贊)의 아버지 강궁진(姜弓珍)을 중시조로 하는 인헌공파(仁憲公派)가 있습니다.
박사공파는 어사공파(御使公派)라고도 하며,
시중공파는 관서대장군파(關西大將軍派)라고도 합니다.
인헌공파는 강감찬의 출생지가 금천(衿川)이라고 하여
금천(서울 금천구)강씨라고도 합니다.
고구려 강이식 장군은 597년(고구려 영양왕 8년) 수 문종이 침략을 하려고
무례한 국서(國書)를 고구려에 보내오자,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듬해 병마원수(兵馬元帥)로서 정병 5만 명을 이끌고 참전하였다고 합니다.
이듬해에는 대병력을 이끌고 요서(遼西)에서 수나라 요서총관 위충(韋沖)과 교전한 뒤,
임유관(臨谕關)으로 거짓 후퇴하였다가 다시 수군을 이끌고 바다로 나가
수나라 수군총관 주나후(周羅喉)의 30만 수군을 크게 격파하고 개선하였다고 합니다
주요인물로는 강창희/제19대 국회의장, 강영훈/제21대 국무총리,
강감찬 장군/고려의 문하시중, 강재섭/5선 국회의원,
강현욱/전라북도지사 와 강기정/광주광역시장, 강호동/MC, 강수진/발레리나,
강동희/농구선수, 강원래/가수, 가문을 먹칠한 사람으로 강호순/연쇄살인범도 있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다음은 진주강씨 유적지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아까 말씀드린대로 진주시 상봉동에 강이식 장군을 모신 사당인 봉산사가 있구요
다음 강민첨 장군의 탄생지 은렬사는 경남문화재자료 14호로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남동에 위치합니다.
은렬사에는 은렬공 강민첨의 유허지(탄생지), 유허비, 은열사, 강민첨 장군의 모사화 등이 있습니다.
은렬공 묘소는 충청남도 문화재 제 319호로 예산군 대술면에 위치하며,
묘소와 홍살문, 신도비, 사적비, 예산재, 경앙문 등이 있는데,
이곳에서 음력 3월 11일에는 춘향제를, 음력 10월 5일에는 시향을 올리죠.
다음 낙성대인데요. 낙성대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산48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고려의 명장 강감찬 창군의 출생지로, 출생 시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낙성대라는 이름이 생겼다네요.
사당인 안국사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인 낙성대유지가 있습니다.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오늘은 우리나라의 수많은 본관성씨중 우리나라에서 여섯번째인
진주강씨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는 또 일곱번째로 많다는 경주최씨(慶州崔氏)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전통예절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제사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 방법은? (2) | 2023.06.08 |
---|---|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3) | 2023.05.28 |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1) | 2023.05.23 |
조상으로부터 몇세, 몇대등의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3) | 2023.05.20 |
제사도 이제는 장남이나, 장손, 아들만이 주재하는게 아니다! (3)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