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오늘은 우리가 직접 경험하거나 직접 보아온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결혼식장에서 신랑신부가 어느쪽에 서야 할까요?
하객들이 보았을 때 왼쪽이 신랑, 아니면 신부, 그것도 아니면 아무렇게나 서도 될까요?
그 설명을 드리기 전에 먼저 사진을 몇장 한번 볼까요
이 두사진은 하객이 보았을 때 신랑이 왼쪽에 서 있죠
또다른 사진을 한번 볼까요? 이 사진은 신랑이 오른쪽에 서 있죠
지금도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결혼식 사진이 이렇게 제각각이랍니다
예식장에 따라 서는 방법이 다르지만 앞에서 본 그림처럼
신랑이 왼쪽에 서는 경우가 훨씬 더 많더라구요.
지금부터 여기에 대해 옛부터 전해오는 풍습과 가례에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의 남녀결혼은 ‘인륜지대사’라고들 하잖아요.
사람이 살면서 하는 일 중 가장 큰일이고 중요한 일이라는 의미인데요
요즘은 비혼이다 뭐다 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결혼에 대한 가치관도 변해왔지만,
그래도 결혼을 하는 당사자에게는 인생에 있어서 ‘결혼’이
가장 큰 행사임에는 틀림이 없는것입니다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부터 예물, 신혼집을 찾는 일까지.
크고 작은 일들을 하나씩 처리해 왔다면 이제 예식장에 입장하기만 하면 되겠죠?
그런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문득 들 수 있어요. ‘내가 어느 쪽에 서야 하지?’,
‘신랑이 오른쪽이던가, 신부가 오른쪽이던가...?’
여러분은 어떻게 하나요. 아마도 대부분이 어느쪽을 신경쓰지 않고
예식장에서 정해주는대로 자리를 차지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전통예법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요
여러분 남좌여우라는 말 들어보셨죠.
그래서 우리나라의 전통혼례와 서양식 결혼에서는
'남좌/여우'라는 개념이 적용된답니다
전통혼례에서는 음양의 개념으로 해 방위를 정하는데요.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주례단’이죠. 그래서 주례자를 기준으로
‘양’인 신랑이 동쪽(좌측)에 서고, ‘음’인 신부가 서쪽인 우측에 서게 돼요.
하객 입장에서 보면, 신랑은 오른쪽에 신부는 왼쪽에 위치하는 것이랍니다
물론 전통예법에서는 혼례 외의 상황에서도 ‘남좌여우’가 적용되는데요.
가령 부부가 나란히 잠을 잘 때, 나란히 서 있을 때, 제사를 지낼 때,
회갑연이나 세배를 드릴 때도 남자가 좌측, 여자는 우측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이때 좌우위치를 정하는 것은 누구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결혼식장(혼례식장)에서 가장 어른은 주례이며, 주례의 자리가 가장 상석(북쪽)이 됩니다.
남자는 양의 기운으로 해가 뜨는 동쪽, 즉 주례의 왼쪽
( 주례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왼쪽 / 하객 자리에서 볼 때는 오른쪽 )이
신랑 자리가 되고, 여자는 음의 기운으로 해가 지는 서쪽, 즉 주례의 오른쪽
( 주례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오른쪽 / 하객 자리에서 볼 때 왼쪽 )이 신부의 자리가 됩니다.
이와 같은 방향의 자리는 입장 및 퇴장 할 때, 그리고 사진 촬영을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장 상석(그러니까 북쪽)을 기준으로 좌우를 정한다고 합니다.
제사나, 회갑, 세배등은 상대를 기준으로 남좌여우를 정하는 것이죠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그렇다면, 서양식 결혼식에서는 어떨까요?
대개 서양식 결혼식에서도 주례자의 시선으로 보면,
신랑이 왼쪽에 신부가 오른쪽에 자리를 한답니다. 전통혼례와 같은 모습이죠.
다시 말하자면, 하객 시선으로는 신랑 측이 오른쪽, 신부 측이 왼쪽으로 반대인거죠.
어찌 되었든 가장 근엄하기로 정평이 난 영국의 왕실 결혼식을 보아도
신랑은 동쪽, 신부는 서쪽에 자리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동양이든 서양이든 남녀의 위치는 동일하게 ‘남좌여우’랍니다.
그러나 지금 결혼식 모습은 어떨까?
요즘 결혼식을 가본 적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 기억을 더듬어 보세요.
신랑, 신부가 어느 쪽에 섰는지 말이에요.
기억이 잘 나지도 않겠지만 잘 생각해보면 전통혼례처럼 위치한 분도 있지만
아마 하객이 봤을 때, 신랑이 왼쪽 신부가 오른쪽에 서서 한 분이 많을거에요
전통예법에서 보자면 잘못된 위치이지만, 이렇게 주례자 기준으로
신랑이 우측에 신부가 좌측에 자리 잡은 것은 최근이 아니고
예전에도 이렇게 서는 경우도 많이 있었데요
이 신문을 한번 보세요. 1988년도 경향신문에서 나왔던 기사를 살펴보면,
‘남좌여우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전통 혼인과 정반대의 위치에
신랑과 신부를 세우고 있다고 말하고 있어요.
88년도면 지금으로부터 35년 전 일인데요.
지금까지 이렇게 남좌여우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을 볼 때
이미 관행적으로는 전통혼례와 반대되는 위치로도 많이 올리고 있어
결혼식 예식 문화가 원칙없이 예식장에 따라 굳혀진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뭐가 옳은 방식일까?
최근에는 주례 없는 결혼식이 대부분이잖아요.
이런 결혼식에서는 음양의 기준(주례자)이 없기 때문에 남녀가 서는
위치에 대한 원칙이 주례자 중심으로란 말 자체가 별 의미가 없고
오히려 하객중심으로 남좌여우라는 의미를 생각했을수도 있죠.
또, 요즘엔 하객석의 위치도 자리가 좀 빈 곳이 있으면,
그쪽에 가서 서 있는 추세랄까요? ‘여긴 신랑 측’, ‘여긴 신부 측’ 하고
딱 구분하는 게 없어져서 좀 더 자유로워진 것 같아요.
따라서 결혼식에서 남녀의 위치에 대해서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전통혼례가 아니고서야 관습이나 까다로운 격식을 따질 필요는 없으니까요.
결혼식 주인공인 신랑과 신부를 향한 축복이 가득하다면
신랑, 신부가 어느 쪽에 서건 뭐가 중요하겠어요?
결혼은 신랑, 신부 두 분을 위한 것이니 ‘꼭 이래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버리고,
손을 잡거나 팔짱을 낄 때 더 편한 쪽이 있었다면, 결혼식에서도 그렇게 하세요.
그럼 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테니깐요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그렇다면 가례에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요
●家禮二冊昏禮篇九板後壻婦交拜條婦從者布壻席於東方壻從者布婦席於西方又
同冊十板前就坐飮食畢壻出條壻揖婦就坐壻東婦西
이 의미는 家禮 二冊 昏禮篇 九板後 壻婦交拜條(서부교배조)에
新婦(신부)의 從者(종자)는 新郞(신랑)의 자리를 東(동)쪽으로 펴고
新郞(신랑)의 從者(종자)는 新婦(신부)의 자리를 西(서)쪽으로 편다.
또 同冊(동책) 十板前(십판전) 就坐飮食畢壻出條(취좌음식필서출조)에
新郞(신랑)은 新婦(신부)에게 揖(읍)을 하고 나아가 앉는데
新郞(신랑)은 東(동)쪽이고 新婦(신부)는 西(서)쪽이다
●司馬氏居家雜儀吾家同居宗族衆多冬至朔望聚於堂上
(此假設南面之堂若宅舍異制臨時從宜)丈夫處左西上婦人處右東上
(左右謂家長之左右)皆北向共爲一列各以長幼爲序
(婦以夫之長幼爲序不以身之長幼爲序)
또 이말은 [司馬溫公(사마온공) 居家雜儀(거가잡의)에서 하신 말씀에
나의 집은 같이 사는 家族(가족)이 대단히 많아 冬至(동지)와 朔望(삭망)에
堂(당)으로 모이는데 남자들의 자리는 左側(좌측)에서
西(서)쪽을 上席(상석)으로 삼아 있고
婦女子(부녀자)들의 자리는 右側(우측)에서 東(동)쪽을 上席(상석)으로 삼아
(左右(좌우)라 함은 家長(가장)의 左右(좌우)를 이름)모두 北向(북향)하여
다 같이 長幼(장유)의 次序(차서)대로 각각 一列(일열)씩 짓는다
또, 右尊左卑(우존좌비)라 하니 男右女左(남우여좌) 설좌법은
上席(상석)여부의 설좌법이고 壻東婦西(서동부서) 설좌법은
陰陽(음양)조화에 의한 설좌법이라 할 수 있으며
紅東靑西(홍동청서) 역시 陰陽法(음양법)에 의한다고 합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男女(남녀)의 서는 자리도 上席與否(상석여부)와
음양조화 사상에서 발로됨이니 우리의 전통혼례의 예법을
외래의 혼례예법에 그대로 적용하려 함도 무리가 있지 않을까도 생각되므로
전통예법에 견주어 왈가왈부함이 적절할까도 의심됩니다.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그렇다면 전통혼례에는 남좌여우라는 자리가 배열되는 근거가 있느냐고 하겠죠?
물론 근거 서류가 있답니다.
1994년 6월 16일 보건사회부장관 이름으로 발송된 공문 ‘올바른 예의문화
홍보를 통한 건전가정의례 실천’이 바로 그것인데요
이 공문은 혼례를 할 때 신랑·신부의 위치가 뒤바뀌는 등
잘못된 예의 문화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혼인예식에서
신랑은 동쪽, 신부는 서쪽에 선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전통혼인 및 신식혼인의 경우 주례가 있는 곳이 상석(북쪽)이므로
주례가 하객(남쪽)을 향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동쪽)이 신랑,
오른쪽(서쪽)은 신부의 위치가 된다’라고 밝히고 있는 것.
그러면서 이 공문은 다음과 같은 그림을 첨부하고 있답니다.
이 그림을 보신다면 분명히 주례를 중심으로 좌측이 신랑이 되어있죠?
그렇다면 이렇게 분명하게 안내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신랑과 신부의 위치가 지금껏 고쳐지지 않는 것일까요?
예식장 업체의 무관심과 잘못된 관행을 그냥 믿는 우리의 습관 때문이 아닐까요?
결혼식장에서의 신랑 신부 위치, 어느쪽에 누가 서야하는지?
우리가 흔히 쓰는 결혼이란 말도 우리나라 어느 법조항에서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통혼례가 아니 예식장 결혼은 예법에서도 찾을 수조차 없는 말이니깐요.
따라서 앞으로는 혼인이란 정확한 말을 써야 하지 않을까요.
내 자녀를 혼인시킬 때 바른 예법에 맞추어서 예식을 치르게 할 것인가,
아니면 예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적당히 치를 것인가.
혼주가 바로 잡아서 고쳐 달라고 하면 예식장은 혼주의 말을 따를 것이죠
실제로 그렇게 바로 잡아서 혼인예식을 치르는 경우가 가끔 있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그래서 맨 처음 사진에서 보았듯이 신랑신부의 위치가 제각각 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전통을 하루아침에 개선하는 것도 쉽진 않겠죠
이제부터라도 바른 혼인예식이 되도록 개선해야 하는것도 고려해 보면 좋지만
그건 여러분께서 판단해 보시길 바랄뿐이랍니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전통예절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쓰는 법(부모,조부모,남편,부인,형,형수,동생,자식 등)! (1) | 2023.06.11 |
---|---|
기제사때 신에게 술을 올리는 헌작 방법은? (2) | 2023.06.08 |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 (2) | 2023.05.26 |
지역이나 문중에 따라 다르다는 제사의 표준 순서는? (1) | 2023.05.23 |
조상으로부터 몇세, 몇대등의 대와 세, 세조와 대조, 세손이나 대손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은? (3)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