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구(食口)과 가족(家族)이란?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
오늘은 우리인간이 이루는 최소한의 구성원단위,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모든 구성원을 일컫는 말로
가족이란 말과 식구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이말의 어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전에 어느 스웨덴 사진작가가 한국에서 청국장을 냄비에 끓여,
밥상 한가운데에 놓고 식구끼리 같이 떠먹던 모습을 바라보고는
한국은 위생관리가 안된 민족이라 했다지만 요즘에 와서는 정말 그시절이 그리워집니다
식구(食口)란 조상으로부터 물려 받은 우리민족의 유산이자
전통이고 개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오늘날 진정 옛날과 같은 가족애를 느끼며 살아가는 식구란 게 있기는 할까요?
가슴을 따뜻하게 적시는 우리의 단어 식구가 그립고, 그 시절이 그리워집니다.
그런데 가족은 뭘까요? 가족은 영어로 패밀리(family) 입니다.
노예를 포함해서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모든 구성원을 의미하는
라틴어 파밀리아(familia)에서 왔다고 합니다
즉, 익숙한 사이라는 의미 입니다. 중국은 일가(一家),
일본은 가족(家族)이란 용어를 주로 사용 합니다.
즉, 한 지붕 밑에 모여 사는 무리라는 의미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식구(食口)라는 말을 주로 사용해 왔습니다.
한문으로 밥食 입口니까 같이 밥 먹는 입 이란 뜻이 되겠죠
그러므로 한국인에게는 가족이란 한솥 밥을 먹는 식사 공동체라는 뜻 입니다.
그래서 남에게 자기 아내나 자식을 소개할 때도 우리 식구란 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볼 때, 한 집에 살아도 한 상(床)에서 밥을 먹지 않거나,
식사를 할 기회가 없다면 엄밀히 말해서, 핏줄이기는 해도 식구랄 수는 없습니다.
식구(食口)과 가족(家族)이란?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
최근 한국 가정의 위기가 심각해 지고 있는 것은,
가족 간에 식사를 같이 하지 않는 풍조가 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몇 년 전 뉴스에 나오는걸 봤는데요,
고된 이민 생활 속에서도 6남매를 모두 미국 예일대와 하버드대에 보내,
미국 최고 엘리트로 키운 분이 있었는데요
그분의, 자녀 교육의 비결을 묻는 질문에 무슨 일이 있어도
아침식사는 가족이 함께 했다며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요즈음, 우리 생활을 들여다 보면, 실제로 식구가 얼굴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밥상머리 뿐인데요
과연 오늘 날,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온 식구가 한 밥상에서 같이 식사하는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요?
심각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버지의 출근시간, 자식의 등교시간이 다르다보니,
각자 일어나자 마자 허둥지둥, 밥을 먹는둥 마는둥 또는 우유 한잔 서서 마시고 나가기 일쑤고요,
저녁 귀가시간도 각자 달라 저녁식사를 한 식탁에서 하기는 커녕,
언제 귀가 했는지 서로 모르고 각자 방에서 잠자기 바쁩니다.
심지어 요즘 신세대나 다이어트 하는 분들은 아침을 안먹거나
저녁을 안먹는 사람들도 엄청 많아지는 추세라고 하잖아요
이러한 일상의 연속이니 밥상머리 교육은 고사하고,
어떤 때는 며칠간 얼굴 못볼 때도 허다 합니다.
제가 어릴때인 1970년대만 해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늦게 귀가하는 식구를 위해,
어머님께서 아랫목이나 장롱의 이불 속에 밥을 묻어 두곤 했잖아요
식구가 먹는 밥의 온도는 곧 사랑의 온도였다고 볼수 있는거죠.
자식이 아무리 늦게 들어와도 어머니는 뜨끈한 국과 따뜻한 밥을 챙겨 주셨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전기밥솥이 그 자리에 대신 놓여있고,
라면 등 몸에 좋지않은 인스턴트 제품이 집집마다 있습니다.
그래서 각자가 필요할 때면, 밤중에라도 각자 알아서 처리하게 끔,
너무도 친절하게 배려 되어 있습니다.
요즈음 밤늦게 들어와 아내에게 밥상 차리라고 했다간
이 시간까지 밥도 못먹고 어딜 돌아 다녔느냐고 핀잔 듣기 십상이고,
부엌에 라면 있으니 끓여 먹으라고 합니다.
느닷없이 소낙비 오는 날, 버스 정류장에는 우산을 받쳐 들고
언제 올 줄도 모르는 식구를 기다리는 그 많은 모습들을 요사이는 볼수가 있는가요.?
그러나 요즈음 주부들의 태만이 나름대로 직장과 할 일을 갖고 있으니,
충분히 이해 할수가 있다 해도 현실은 너무 매마른 것 같습니다.
자식이 뭐 좀 해달라는데, 해주지 못했을 때는 고개 숙인 부모를 향해
자식은 도대체, 해 준게 뭐 있느냐고 따지고 들 때도 있습니다.
식구(食口)과 가족(家族)이란?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
옛날에는 아내와 자식이 가장의 위압적인 언사 때문에 상처 받는다고 하지만,
요즈음 가족들이 던지는 무심한 투정 한 마디에 그집의 가장은 속마음에 피멍이 들 때가 있습니다,
아버지는 모든걸 단지 자기 소치인냥 말하지 않고 지낼 뿐입니다.
누가 말했던가요.
오늘날 아버지는 울고 싶어도 울 곳이 없는 사람이 바로 아버지라고 했습니다.
대부분의 아버지는 직업 형편상 귀가하는 시간이 대체로 늦습니다.
그래서 식구들이 가장을 기다리다가 먼저 잠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쩌다, 아이들이 깨어 있거나 일찍 귀가하더라도 컴퓨터나 휴대전화에 정신이 팔려
제방에서 건성으로 인사만 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니 밥상머리 교육이나 대화는 기대하기 힘들고 나아가 얼굴은 자주 못 보더라도
서로 각자의 시간과 생활은 간섭이나 침범을 하지 안했으면 하는 바램이
찬바람 불듯, 집안 분위기를 냉각 시킵니다.
평소 눈길 한 번 준 일 없던 애완견만이 한 밤중에 쓸쓸히 반갑게 맞아주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으니 뭐라고 말할 수 없는 쓸쓸함이 밀려옵니다.
식구(食口)과 가족(家族)이란?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
시대와 사회가 아무리 변해도,
자식이 결혼으로 분가하기 까지는 가급적 식구들과 지지고 볶는 생활을 갖는 것이
진정한 식구이며 진정한 삶의 행복이 아니겠습니까?
식구란 정겨운 단어가 그립고 어릴때 빙둘러 앉아 함께했던 밥상이 정말 그립습니다.
어머니 밥상이 그립습니다. 참고 견디기 어려울때 형제만한 보약이 없을까요
식구(食口)과 가족(家族)이란?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
오늘은 식구라는 개념의 의미와 밥상머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물론 예전처럼 자식이 많지않고 자식도 많아야 2명정도이고
내자식만 귀하게 생각하는 부모세대도 문제가 많습니다.
내자식이 소중한만큼 사회공통체를 위한 생각도 우선해야 사회가 바로섭니다
나부터, 오늘부터라도 우리가족은, 우리식구는 식사를 같이하면서
밥상머리교육에 신경씁시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일반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의 절정인 하지(夏至)의 유래와 풍습, 시절음식은? (32) | 2024.06.20 |
---|---|
평소 술버릇을 통해 느낄수 있는 그 사람의 성격은? (27) | 2024.06.10 |
어버이날! 카네이션 색깔별 의미와 부모님께 드리면 안되는 색깔은? (69) | 2024.05.04 |
재물이 들어오는 10가지 꿈! 이꿈을 꾸면 바로 어디로? (45) | 2024.04.28 |
여야 영수회담의 의미와 유래? 역대 대통령은 몇번이나 했나? (39)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