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활 상식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청하인 2022. 12. 31. 14:09
반응형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오늘은 올해를 마무리 하면서 먼저 그동안 저희 유튜브채널을 사랑해주신

시청자여러분께 지난한햇동안 고마웠다는 말씀을 전해드리고요.

새해에는 더욱더 건강하시고 가정마다 행복이 함께 하시길 기원하면서

올해 우리의 관심을 끌었던 2022년 10대 뉴스가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오늘이 2022년 12월 31일이네요.

이제 몇시간뒤면 2022년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데요.

여러분 올해는 정말 다사다난했죠.

코로나19 3년차에 접어든 한해여서 무엇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던 한해였고

대통령선거가 있는 한해였고 월드컵이 있었던 한해였다고 할수 있죠.

 

그래서 지금부터 연합뉴스가 뽑은 2022년 올해의 10대 뉴스에 대해 알아보겠는데요

내가 생각한 10대 뉴스와 어떻게 다른지도 한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1. 20대 대선 윤석열 당선과 청와대 개방

3월 9일에 치뤄진 20대 대선에서 정치경험이 별로 없고

소위 0선의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었죠.

그래서 5월 10일에 취임하면서 청와대를 개방하였죠.

대통령 집무실은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였네요.

 

처음에는 야당의 흘뜯기와 이런저런 이유로 정책의 혼선도 ​오고

나름 애로사항도 많았으나 화물연대 대응등을 통해 법의 공정잣대와

원칙론적인 대응이 통하면서 점차 안정을 찾았고

지지율도 40%대 이상을 상회하고 있답니다

 

2. 이태원 압사 사고

10월 29일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158명이 압사하고

196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일어났잖아요.

 

핼러윈을 앞둔 주말이었죠.

그래서 이태원동 일대에는 10만 명 넘는 인파가 몰렸다고 하네요.

희생자의 90%는 20~30대 젊은이였다고 합니다.

 

이사건은 지금 국정조사가 한창 진행중인데 사건의 본질에 대한 문젯점을 파악하고

대책을 세우기보다는 여야 정치투쟁의 장으로 전락하고 있어 사뭇 걱정이 됩니다

3. K컬처 수상의 해

한국 영화와 드라마, 음악 등이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는 한 해였죠.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이정재와 정호연은 2월 미국배우조합(SAG)상에서

한국 배우 최초로 TV 드라마 부문 남녀주연상을 받았구요.

1월에는 배우 오영수가 골든글로브에서 남우조연상 수상했죠.

 

​5월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에서 박찬욱 감독은 '헤어질 결심'으로 감독상을,

송강호는 영화 '브로커'로 남우주연상 수상.

(한국 영화 2편이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서 동시 수상한 것은 처음)

 

그룹 방탄소년단(BTS)·스트레이키즈와 걸그룹 블랙핑크는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1위를 차지

​피아니스트 임윤찬은 6월 미국 반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로 우승.

첼리스트 최하영과 바이올리니스트 양인모 역시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와

세계적 권위의 핀란드 장 시벨리우스 콩쿠르에서 각각 우승.

4. 카카오 먹통 사태

카카오의 대표 서비스인 카카오톡이 경기 성남시 SK 주식회사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카카오계열 모두가 복구되기까지 127시간동안

작동하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는데요

국민 메신저로 불릴 만큼 국민생활 속에 파고든 앱이어서 불편함이 컸잖아요

그 여파는 오랫동안 이어졌죠.

5. 카타르 월드컵, 12년만에 16강 진출

카타르에서 열린 월드컵 축구 경기에서 16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어냈죠

월드컵에서 16강에 오른 것은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12년 만이라 하고 4강 신화를 썼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포함해서

통산 세 번째라고 하네요.

 

한국의 조별 상대는 첫상대인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 0:0, 다음 꼭 이겨야했던

가나와의 경기에서 3:2로 석패, 그런데 마지막 운명의 경기에서

포르투갈을 2:1로 짜릿하여 역전승하여

16강에 올라가 정말 한편의 드라마을 연출하였죠.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6.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북한은 올해 횟수를 헤아릴수 없을정도로 도발을 일으켰는데요.

역대 최다 미사일 도발이라고 하죠

이 중에서 60회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쏘아올렸네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도 8회나 되었구요

그래서 전세계가 북한의 도발을 우려하는 한 해였는데요

오늘 아침에 또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더라구요

 

최근에는 또 무인정찰기인 드론을 한꺼번에 몇 대나 남한쪽으로 기습 남하하여

서울까지 촬영하고 갔다고 하여 지금 드론에 대해 대비한다고 야단이죠.

7. ​다시 시작된 경제적 위기 3고(高) 현상 이어져

우리나라의 경제는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3고 충격에 직면했는데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부양책의 결과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7월 6.3%까지 올라 23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물가가 급등했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 맞춰 한국은행도

5·7·8·10·11월에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이 중 7월과 10월에는 유례없는 빅스텝(0.50%포인트 인상) 단행.

급격한 금리 인상은 부동산시장 및 금융시장에도 충격을 줬죠.

 

10월 은행권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는 연 5.34%로 10년 만에 최고.

가계 이자 부담 늘며 주택 매맷값과 전셋값은 하반기 들어 급락.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평균 가격은 2022년 9월 기준 1년 전보다 16.6% 하락.

 

​강원도 2천50억 원의 보증채무 미상환 선언으로 촉발한 레고랜드 사태.

흥국생명이 11월 초 외화 신종자본증권을 조기상환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시장 불안은 극에 달했다고 하죠

​8. 일상회복 시작, 국민 절반 코로나 확진

코로나 3년 차인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일상회복이 늘어났는데요.

국민의 절반가량은 코로나에 감염되었네요.

 

각종 방역조치는 해제 또는 완화되었지만

연말까지도 코로나 확진자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감기 수준으로 위협감은 많이 줄었네요.

 

5월 2일부터 50인 이상 집회·공연·스포츠 경기 등을 제외하고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데 이어 9월 26일부터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적으로 풀렸죠.

 

구정전에 마스크 전면해제도 검토하고 있으나

지금 중국이 전체 인구의 60%이상이 확진되었다는 뉴스로 인해 비상이 걸렸죠.

설날전에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겠네요

9.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6월 21일 우주로 날아올랐죠

실용 인공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데 성공했고요.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일곱번째로 위성을 자력으로 우주에 띄운 나라가 되었답니다.

10. 대형 사고 및 재난재해

올해는 대형 사고와 재난재해가 잇따라 발생한 한 해였다고 할수 있죠

1월 11일 / 광주 화정아이파크 신축공사 중 구조물과 외벽 일부 무너져내려

작업자 6명 사망

3~4월 / 울진, 삼척, 강릉, 동해로 이어지는 동해안 산불

(213시간 동안 이어지며 역대 최장기간 산불로 기록)

8월 8일 / 서울, 하루 100~300mm 집중 호우

(일부 지역 시간당 강수량 100mm 넘어 포항에서는 사망자도 많이 발생

80년 만에 최고치 기록)

12월 29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화재발생.. 5명이 숨지는 등

모두 46명의 사상자를 낸 과천시 방음터널 화재는 당시 터널 진입차단 시설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안타까움을 더 해 주네요

2022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10대 뉴스는?

오늘은 연합뉴스가 선정한 2022년 국내 10대뉴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때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내용과 비슷합니까.

국내 10대 뉴스를 살펴보니 좋은 일과 나쁜 일이 거의 반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다가오는 2023년. 흑또끼해에는 좋은 일이 더 많으시길 기원합니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