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활 상식

산행중 교우시 누가 양보를...이것만은 꼭 알아야 하는 산행예절?

청하인 2022. 12. 21. 21:57
반응형

산행중 교우시 누가 양보를...이것만은 꼭 알아야 하는 산행예절?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예절은 다양하게 있구요.

지난번에 장례식장, 상견례, 결혼식장예절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산행예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산행중 교우시 누가 양보를...이것만은 꼭 알아야 하는 산행예절?

요즘은 남녀노소 구분없이 산행을 하는 사람이 많죠. 특히 주말이면 더 많구요

시내 근교산에도 둘렛길을 잘 조성해서 산행은 요즘 하나의 일과처럼 여겨져 있죠

 

산행하면서 지켜야 할 예절

 

1. 산행하는 사람간의 인사

인사를 할 때에는 너무 큰소리로 하지 말고 상대방이

똑똑히 들을 정도의 소리로 인사를 해야 하죠.

산행 중에는 "수고 하십니다"란 인사를 싫어하는 사람이 많구요.

오히려 그것 보단 "힘내세요" "조금만 가면 정상입니다"

"좋은 산행 되세요"라고 인사가 적당하겠죠

그리고 단체로 갈 땐 모든 사람이 인사를 하면 안된다

여러 명이 줄지어서 갈 땐 선두에 선 사람이 인사를 하고

뒷사람은 가볍게 목례정도만 하면 되겠죠.

경험해 보신 분들도 많겠지만.

산행할땐 될수있으면 등산로로 다녀야 하는건 당연하구요.

피치 못할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잘 가고 있는 사람 추월하려고

앞질러 가지 말아야 합니다 나하나 앞질러 가면 뒷사람도 따라오고

그러다 보면 등산로가 파괴 되잖아요. 곡선등산로는 곡선대로 의미가 있답니다.

좁은 길에서는 내려가는 사람이 먼저 양보하고

사다리나 쇠줄이 설치된 곳에서는 선입자가 우선입니다.

2.추월을 해야 할땐 먼저 양해를 구하자.

 

좁은 등산로에서 예고없이 추월을 한다면 베낭 같은 것이 부딪혀

서로 중심이 흐트러질 경우가 많다. 약한 사람은 튕겨 날 경우도 있다.

추월을 할 땐 미리 "먼저 가겠습니다"라고 하고 비켜주면

그때 "고맙습니다"라고 인사를 하고 추월을 하자.

3.올라오는 사람에게 양보를 하자.

산에서 많이 경험을 하였을 것이죠.

내려 오는 사람보단 올라가는 사람이 시간이 촉박하잖아요.

또 페이스 유지도 올라오는 사람이 유지하기가 어렵죠.

단체일 경우에는 소수인 그룹이 양보해야 합니다.

4. 물을 달라하지 않는다.

산에 대한 무지함에 수통을 준비 안하거나.. 무게 조금 줄이려고

수통에 물을 반쯤 채우거나 해서 산행을 하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요.

물이 남아서 큰일 나는 건 본적이 없으므로

수통에 물을 채울 땐 항상 가득 채워야 합니다

또, 자기가 물을 많이 먹는다면 조금 큰 수통을 준비해야 하죠.

그리고 어쩔 수 없이 물을 빌렸을 때 벌꺽벌꺽 마시지 말고요.

한모금 정도는 입안에서 돌려서 입속을 행궈내고 다시 한두 모금 정도 마셔야합니다

한꺼번에 삼키지 말고 입안에서 돌리며 조금씩 삼켜야 한답니다

그게 오히려 벌꺽벌꺽 마시는 것보다 갈증해소에 좋다. 당연히 물도 아끼게 되죠.

5.등산로를 막으면서 쉬지 말자.

여러 명이 산행을 하다보면 아무래도 휴식을 할 때 많은 공간을 차지 하는데요.

리더가 적당한 공간이라고 생각을 해서 휴식지로 정했을 경우라도

막상 여러 명이 앉다 보면 좁은 경우가 허다한데요.

그러다 보니 등, 하산인 들에게 방해를 줄 정도로 등산로를 막는 경우가 많아요.

옆이 절벽이 아니라면 옆으로 비켜서 쉬고.

비킬 여유가 없다면 몇 발짝만 가면 또 몇 명 앉을 공간은 있답니다.

절대 등산로를 막고 쉬지 말아야 한다네요.

6. 등반대장(리더) 보다 앞서지 말자.

여러 명이 산행을 할 때 절대 리더 보다 앞서지 않는다네요.

산행이 자기 페이스 보다 조금 늦더라도 왠만하면 무리에서 이탈하지 말아야 합니다.

설혹 앞질러 간 사람이 그 산을 잘 안다고 해도 리더는 맘을 졸이게 되죠.

그리고 인원 파악하는데 지장이 많으므로

팀 단위로 산행을 시작했다면 팀원답게 행동해야 합니다.

7. 등반대장(리더)이 잘못을 하더라도 공개적으로 반대하지 말자.

설혹 리더가 길을 잘못 잡고 있더라도

모든 사람이 다 들으라는 듯이 말하지 말아야합니다

그럴 땐 리더한테 가서 조용한 소리로 이 길이 아닌가봐 정도로 이야기 해야 합니다.

리더가 흔들리면 팀 전체가 흔들릴 경우가 많겠죠.

날씨,팀원의 컨디션이 최상일 땐 별 문제가 없겠지만. 누가 다쳤거나

날씨가 악천후 일 때 저마다 한 소리씩 한다면 최악의 경우로 갈수도 있답니다.

그렇다고 리더가 쇠고집 부리라는 것은 결코 아니고요.

다만 리더가 틀리더라도 리더의 흔들림으로 팀원이 불안하지 않게 하자는 것이랍니다.

8. 앞사람 발자국을 따라 일렬 보행하고 운행 중 잡담하지 않습니다

3보정도 간격으로 반드시 앞사람 발자국을 따라갑니다.

조금 편할 것 같은 생각에 옆으로 빠지거나 또 몇 발작 덜 걸으려 질러가지 않아야 하구요.

위험한길, 겨울산 , 낙엽길 , 미끄럼길에서는

앞사람 발자국을 따라가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죠.

운행 중 일체의 잡담을 삼가고 휴식중에도 조용한 어조로 대화합니다.

9.힘들고 처지는 사람을 앞으로 보냅니다

같은 팀의 앞 사람을 추월 하지 말고 항상 자기 뒷사람에게 신경을 써야 하구요.

시야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서로 ‘시선접촉’ 해야 합니다.

뒷사람이 처지면 양보하여 자기 앞으로 보냅니다.

이렇게 하면 결국 가장 지치고 늦은 사람이 앞에서 걷게 되고

그 사람의 속도에 전체의 운행을 맞춰야 하구요. 함께 걷고 함께 쉬도록 해야겠죠.

선두와 후미는 항상 시야로 연결되야 합니다.

10. 함께 걷고 함께 쉽니다

휴식장소에 먼저 도착했다고 해서 짐을 아무렇게나 벗어 던지지 않습니다.

맨 뒷사람이 도착할 때까지 잠시 기다렸다가 서로 짐 벗는 것을 도와줘야하죠.

배낭, 스틱, 장비 등 모든 짐을 한곳에 모아둡니다.

이것이 분실방지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

출발할 때도 함께 짐 지는 것을 도와줍니다.

배낭이 열려있는지, 신발끈이 풀렸는지 모자나 스틱을 두고 가지않는지

서로 확인하고 보살펴 줍니다.

11.길을 양보 할때는 자신의 몸을 안전한 곳에 위치 하십시오

암릉이나 좁은 길, 위험한 길에서 타인에게 길을 양보할 때는

산쪽에 몸을 바짝 붙여서 먼저 자신의 안전을 확실히 하십시오.

그 외에도 샘터나 취사장은 깨끗이 사용하고

쓰레기는 반드시 가지고 하산해야하구요

산불이 일어나지 않도록 담배 불 등 화기를 조심해야하며

산장이나 막영지에서 음주나 고성방가 등 소란을 피워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쳐서는 안된답니다.

또, 자연은 자연상태 그대로 두는 자연보호 활동에도 앞장서야겠죠

오늘은 요즘 남녀노소 구분없이 산행을 하는 사람들이 서로간의

지켜야 하는 예절. 즉 산행 예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산행에도 예절이 있는 만큼 잘 지켜서 서로가 기분좋고

멋진 산행이 되도록 해야겠죠

끝까지 봐 주서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