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꿩대신 닭이란 속담의 의미와 유래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옛날 속담중에 꿩 대신 닭이란 속담의 유래와 의미를 알아보고 떡국과 전통혼례와 관련된 이야기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꿩대신 닭! 이 말은 우리가 찾거나 입에 맞는 음식을 찾다가 그것이 없을 때 쓰는 말이죠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은 아주 흔한 속담으로 사전적 의미를 보더라도 ‘꿩’이 필요한데 ‘꿩’이 없어서 그것을 ‘닭’으로 대신한다는 의미랍니다. 그러니 ‘꿩’이 주인공이고, 그것을 대신하는 ‘닭’은 조연에 불과하다고 할수 있겠죠 ‘닭’으로서는 대단히 섭섭한 일이나 ‘꿩’보다 나은 점이 없으니 어쩔 수는 없는거랍니다. 꿩대신 닭! 요즘말로 말하면 일종의 대체재 또는 보완재라고 할수 있을까요? 이러한 대체재는 이외에도 밥 대신 빵, 볼펜 대신 연필, 에어컨 대신 선풍기, 자동차 대..

희대의 사깃꾼 김선달이 김생원의 혼외자를 친자로 판명한 기발한 근거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동강 물을 팔아먹은 희대의 사기극을 벌인 인물 봉이 김선달이 김생원의 고민거리를 해결하고 거하게 술한상 대접받고 노자돈까지 넉넉하게 챙긴 일화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여러분 김선달하면 생각나는 것이 무엇이 있나요? 희대의 사깃꾼, 봉이, 대동강 물 팔아먹은 사건, 김생원, 바람난 과부등 아무튼 재미있는 사람이죠 조선 말기 평양부에 살았다는 희대의 사기꾼 김삿갓처럼 비슷한 케이스의 다수가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봉이 김선달이라는 사람으로 정립된 듯 하다. 본명은 실제로 전하지 않지만 소설에서는 김인홍으로 나온답니다. 사기꾼 기질이 강한 중년에 비해 젊었을 적에는 무술에 능한 청년이었기에 무과에 급제해 선달 호칭[1]을 받았다 해서 김선달이라 하는데요. 그런데 판본에 따라서는 이것도..

오미사악(五美四惡)이란! 정치인이 지녀야 할 5가지 미덕과 4가지 악

안녕하세요. 옛 성현들의 말씀과 지혜를 알아보는 청곡의 니캉내캉입니다 이제 대통령선거가 100일도 채 남지 않았죠 그래서 오늘은 정치인이 꼭 알아야 할 다섯가지 미덕과 네가지 악 오미사악(五美四惡)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오미사악(五美四惡) 五 : 다섯 오 美 : 아름다울 미 四 : 넉 사 惡 : 나쁠 악 이말의 의미를 요약하면 다섯 가지 미덕과 네 가지 악이란 뜻으로 존오미병사악(尊五美屏四惡, 다섯 가지 미덕을 높이고 네 가지 악을 물리치다)의 줄임말이라고 할수 있죠 오미사악(五美四惡)! 이말은 《논어(論語)》 〈요왈(堯曰)〉편에 나오는 말인데요 지금부터 한번 살펴 볼까요. 정치에 관심이 많은 자장이 스승이신 공자님께 여주길 어떻게 하면 국사를 잘 돌보고 정치를 잘할수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께서 ..

대한민국 본관별 성씨별 현황

안녕하세요. 이제 올 한해도 며칠남지 않았네요. 얼마전 이 블로그에서 우리나라성씨별 현황에 대해서 올린적이 있는데요. 그때 많은 분들이 본관별로 성씨를 구분하여 알려줬으면 좋겠다는 메일이 와서 오늘 이렇게 대한민국 본관별 성씨별 현황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본관별 성씨별 현황! 얼마전 이채널에서 우리나라 성씨는 5인이상인 성씨만 해도 2015년 통계청 조사당시 532가지나 있다고 했죠. 또, 소수 희귀성도 정말 많구요. 지금도 생겨나고 있답니다. 그럼 본관성씨별로 알아보겠는데요. 숫자가 너무 많아 우선 300위까지만 알아보구요 그 이하는 통계청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거나 댓글을 달아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본관별 성씨별 현황! 참고로 이 자료는 통계청에서 2015년 조사한 최신 자료로 다음 조..

새해첫날이 1월 1일인 이유는?

안녕하세요! 우리의 전통과 옛것을 알아보는 청곡의 니캉내캉입니다 이제 새해가 며칠남지 않았죠? 그래서 오늘은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왜 1월 1일이 새해 첫 날이 되었는지 그 사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새해첫날이 1월 1일인 이유! 새해 첫날이 1월1일인 것은 어쩜 당연하다고 하겠죠 그러나 아주 옛날부터 1월1일이었던건 아니죠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이 날은 과연 누가, 언제 정한 것일까? 그 답을 찾기 위해 기원전 46년 전으로 돌아가 보겠는데요 기원전 46년, 로마가 사용하던 달력은 태양년의 길이가 부정확한 것이었죠. 뿐만 아니라 귀족들이 멋대로 달력을 운용해 일 년의 길이가 67일이나 어긋나는 일까지 생겼다고 하네요. 당시 로마의 정권을 잡고 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Julius C..

크리스마스의 풍습과 유래, 크리스마스는 왜 대체공휴일이 없는지?

안녕하세요. 오는 25일 토요일은 크리스마스라고 하죠. 그래서 오늘은 크리스마스와 크리스마스 이브에 대한 유래, 크리스마트 트리, 실, 산타클로스, 자선남비등 크리스마스의 풍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2월 25일 토요일은 성탄절, 크리스마스죠. 그럼 성탄절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B.C. 4C 이전에는 성탄절이 없었답니다. 다만 2세기 때 1월 6일 ‘신현절’이라 하여 이날을 예수의 나신 날과 세례 받으신 것을 겸하여 지금의 성탄절로 지켰다고 하네요. 크리스마스 혹은 성탄절로 불리는 이 날은 기독교의 최대 축일 중 하나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죠. 영어로 크리스마스(Christmas)의 어원은 '그리스도(Christ)' 와 탄생 기념 미사(Mass)가 합쳐진 말로 로마역사에서 보면..

정수유심 심수무성(靜水流深 深水無聲),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안녕하세요! 사자성어를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라는 의미의 靜水流深 深水無聲(정수유심 심수무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靜水流深 深水無聲(정수유심 심수무성) (조용할정,물수,흐를류,깊을심, 깊을심,물수,없을무,소리성)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이런말 들어보셨죠 물, 자연계인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따위의 형태로 널리 분포하는 액체로서 순수한 것은 빛깔이나 냄새나 맛이 없고 투명하다고 하죠 ​또 물은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과 다투려 하지 않아요~ 그리고 물은 모든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만 흘러 늘 겸손의 철학을 일깨워 주고 있기도 하죠 또, 말을 배우는데는 2년이 걸리지만 ..

兎死狗烹(토사구팽)/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한 개를 삶아 먹는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치활동이나 기업의 운영에 있어 큰일이 있을 때 마다 이면에 항상 존재하는 사자성어로 토사구팽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兎死狗烹(토사구팽)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狗 : 개 구, 烹 : 삶을 팽] 이말의 의미는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한 개를 삶아 먹는다. 곧,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 버리듯 한다는 뜻으로 예로부터 무엇이 바뀔 때 많이 사용해 온 말이죠 이 말의 유래는 『사기(史記)』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글에서 찾아볼수 있는데요 한(漢)나라 유방(劉邦)과 초(楚)나라 항우(項羽)와의 싸움에서 유방이 승리하는 데 그 때 큰 공을 세운 사람이 한신(韓信)이었다고 합니다. 한나라 명장 한신은 항우를 물리치고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는 데 ..

六不合 七不交(육불합 칠불교), 여섯 종류의 사람과 동업하지 말고 일곱 종류의 사람과 사귀지 말라

六不合 七不交(육불합 칠불교), 여섯 종류의 사람과 동업하지 말고 일곱 종류의 사람과 사귀지 말라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시아 최고의 갑부이자 세계 탑10인 홍콩의 부호 이가성의 검소하고 봉사정신이 투철한 일상 생활과 그의 어록중 六不合 七不交(육불합 칠불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홍콩에 이가성(李嘉诚.리자청)이라는 부호가 있는데요. 세계에서 열 손가락 안에, 아시아에선 최고의 부자라고 할정도로 홍콩에서 1달러를 쓰면 5센트는 이가성에게 돌아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큰 위치를 하지하고 있답니다. 특히 홍콩 경제 더 나아가 전 중화권 경제와 아시아 경제에까지 영향력이 가장 큰 사람이라고 할수 있죠. 그는 13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학업을 포기하고 홍콩으로 건너가 닥치는 대로 일을 해 30세부터 ..

대한민국 의전 서열은? 대통령 1위. 2위는 누굴까요?

안녕하세요. 한주가 시작되는 월요일입니다 요즘 각종 행사때마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요인들이 많이 참석을 하게 되죠 그렇다면 대통령을 비롯한 우리나라 국가의전서열은 어떻게 되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많은 사람들이 1위는 대통령이고 2위는 국무총리인줄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고 하죠 그러나 그것은 아니랍니다 그래서 정세균총리 지명당시에 야당에서 총리가 국회의장보다 낮다며 반대한 사실이 있죠 대한민국은 국가의전서열을 직접적으로 명문화하지는 않았지만, 각 요직의 대우에 관한 법 조항이나 관행에 따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전서열이 있는데요 입법, 법률 개정, 정치적 상황 등등에 따라 유동적이긴 하나 대체로 관행에 따라 정해진답니다. 기본적으로 삼권분립에 의한 행정, 입법, 사법부 수반과 선관위원장, 각 여·야당 대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