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산소에 풀을 벤다는 벌초의 의미와 유래는? 현대판 명당조건은?
여러분! 지금쯤 야외로 나가면 여름동안 자란 풀이 엄청 많이 자라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우리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내고
묘를 깨끗하게 해준다는 벌초, 이 벌초의 의미와 시기,
예로부터 전해오는 풍습과 벌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아마 이때쯤 주말이 되면 들려오는 예초기 돌리는 소리일겁니다.
조상들의 묘에 벌초를 하는 소리죠
옛날에 벌초는 1년에 두번하라고 하지만
요즘에 와서는 두 번까지 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구요.
한번이라도 하면 다행이고 한번도 하지 않는 곳이 엄청 많답니다
조상산소에 풀을 벤다는 벌초의 의미와 유래는? 현대판 명당조건은?
이제 이번주말쯤 부터는 본격적인 벌초시즌이 다가오는데
벌초는 한식(寒食)이나 추석 성묘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 깨끗이 하는 일이죠
그러나 지금은 한식때보다는 대개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
이후부터 추석 전에 모두 이루어지고 있답니다.
그래서 나이드신 어르신들이 말씀하시길,
추석전날까지 벌초를 하지않는 산소를 보면
그 산소는 벌초를 하지않는다고 후손들 욕을 하게 되는 것이랍니다
설과 한식에는 성묘는 하지만, 벌초는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답니다
그 이유인즉 설에는 겨울이라 벨 풀이 없고, 한식에는 풀이 막 자라기 시작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베야 할 정도가 아니기 때문이죠
다만 한식에는 겨우내 묘에 생긴 구덩이나 부족한 떼(잔디)를
다시 입혀주는 개사초(改莎草)를 하기도 하는데요.
개사초를 할 때는 ‘손이 없는 날’(무방수날)을 택일하는데,
한식은 손이 없는날이라고 하여 일년중 산소를 가장 많이 손보는 날이랍니다.
개사초가 아니고 간단한 산소 손질도 한식때 하면 좋다고 합니다
개사초를 하기 전에는 미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조상을 위한 정성이라 생각하시고 몇 가지 제물을 마련하는 것이 좋아요
산신, 토지신, 묘의 주인(조상)에게 먼저 고한 다음 진행하고,
개사초가 끝나면 묘의 주인에게 고하여 평안을 알린답니다.
개사초 전에 산신과 묘의 주인에게 고한 다음,
개사초가 끝나고 산신과 묘의 주인에게 다시 고하기도 한답니다.
계절에 따라 장례시 심은 잔디가 잘 활착하지 않을시
장례를 치른 이듬해 봄에 떼를 입히기도 한답니다.
백중 이후에는 풀의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추석전에 벌초해 두면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깔끔하게 손질된 묘가 유지되는데요.
추석에 성묘를 가기 위해 추석 전에는 반드시 벌초해 두는게 원칙이랍니다.
참고로 올해는 백중이 양력 8월 18일 이었답니다
그러나 요즘은 자식들이 직장등으로 인해 벌초를 하러 가지못해
추석에 성묘를 가서 간단한 벌초를 하는 곳도 많은데 그래도 원칙은 아는게 좋죠
벌초를 하지않으면 보기도 흉하며, 자손이 없는 묘로 여기기도 하였으며.
또한 자손이 있음에도 벌초를 하지 않는 행위는 불효로 간주되었답니다.
물론 세월이 많이 변했다고는 하나 아직도 한국인은
죽은 조상도 살아있는 사람처럼 예우하였기에,
조상의 묘를 살피고 돌보는 일은 효행이자 후손들의 책무였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오늘날에도 추석 성묘 전 벌초를 중요하게 여겨,
추석 전 한 달은 성묘하는 차로 도로가 붐비는 현상을 자주 목격할 수 있죠
혹여 벌초할 시간과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요즘은 대행업체가 많아 이를 이용하여 벌초하기도 하기도 하는데
조상의 묘를 섬기는 마음이 중요하죠.
예전에는 일일이 낫으로 벌초를 하였으므로 벌초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1990년대 초반부터 예초기의 보급과 함께 벌초대행업이 성행하기 시작하여,
더욱 편리하게 벌초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대행업체 덕분에 그래도 멀리있는 자식들의 조상산소도 계속 벌초를 하고 있으니까
벌초 대행업체의 성행도 꼭 부정적이지는 않고 좋은 순기능적인 면도 있다고 할수 있겠죠
벌초도 지역에 따라서는 조금씩 다른데요
전국이 다 그렇지만 특히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추석 전에 벌초를 해두지 않으면 큰 불효로 여겼다고 합니다.
벌초하러 갈 때에는 집안의 여러 친척이 모여 날짜를 정하여
벌초의 순서는 웃어른의 묘부터 먼저 시작했구요,
벌초하기 전에는 조상의 묘를 둘러본 다음 술과 음식을 간단히 차려놓고 재배를 했다네요.
이 지역의 벌초 풍속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전승 양상이라고 할수 있죠.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는 입추 전후, 7월 초순, 7월 보름에 벌초하였는데,
최근에 와서는 음력 8월 중 공휴일에 맞춰 벌초를 한답니다.
공휴일에 벌초하면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죠.
조상산소에 풀을 벤다는 벌초의 의미와 유래는? 현대판 명당조건은?
제주도에서는 벌초를 ‘소분(掃墳)’이라고도 한답니다.
음력 8월부터 추석 전날까지 벌초를 모두 마치도록 하는데요
8월 초하룻날은 묘제나 시제를 하는 윗대 조상의 묘소에 친척들이 모여
공동으로 벌초하는데, 이를 ‘모듬벌초’라고 한답니다.
제주도에서는 모듬벌초로 윗대 조상의 묘역을 벌초한 이후에
추석 전날까지 벌초를 모두 끝내는 것이 전통이라고 하죠.
모듬벌초 때는 한 집에 한 명씩 거의 의무적으로 참여하는데,
남자가 없는 집에서는 여자가 대신 나오기도 할 정도로 모두가 참여한답니다.
제주도에서는 학생들도 모듬벌초에 참여하도록 ‘벌초방학’ 제도를 운영하기도 했다는데요
이런전통은 이어가는것도 나쁘지는 않을텐데요. 세월이 세월인만큼 많이 아쉽네요.
이렇게 벌초를 하듯 유교사회에서 조상을 잘 섬기는 것은 중요한 덕목이라고 하죠
조상제사를 비롯하여 조상의 육신이 있는 묘를 살피고 보존하는 일은
살아있는 부모를 모시는 것처럼 효행으로 인식되었고,
이런 효행을 하는 것이 후손들의 책무라고 인식되었답니다.
특히 묘와 주변에 자란 풀을 베고 다듬으며
떼(잔디)를 잘입히는 일이 중요했다고 하죠.
그러나 요즘은 이러한 벌초문화가 자꾸만 퇴색되어가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죠
옛날에는 조상의 묘를 좋은 곳에 모시고자 산골짜기 “左靑龍 右白虎” 명당을 찾아 모셨으나
그 명당자리가 지금 후손들에게는 명당이 아니라 오히려 골병당이 되었답니다.
제가 너무 심한말을 했나요
아무튼 그래서 요즘명당은 “左靑龍 右白虎”가 아니고
“左國道 右地方道”가 명당이라는 말이 생겨나게 된 것 같습니다.
그만큼 이제는 산중 깊숙이 모신 묘지는 벌초하고 관리가 정말 힘이 드니깐요.
조상산소에 풀을 벤다는 벌초의 의미와 유래는? 현대판 명당조건은?
벌초에 얽힌 재미난 얘기 하나 할까요
만약 3대가 한자리에 모여 벌초를 한다면 어떤 생각들을 갖고 어떻게 할까요?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고 평소 조상에 대한 생각과 조상들의 가르침에 따라,
그 집안의 내력이나 풍속에 따라 많은 차이점은 있지만 보편적으로 한번 볼까요
70대 후반 할아버지 : 벌초하는 하루가 마냥 즐겁고 행복하며
잘난 자식들과 손자들을 조상님 앞에서 자랑하는 기회를 가져
기쁜 마음으로 벌초를 한다고 하겠죠
☞ 40대~60대 : 현재 한창 일할 나이잖아요. 시간도 잘 없구요
그래서 그들이 생각은 벌초 대행업체에 맡겨서 벌초를 하고 싶은 생각이 많을 겁니다.
직장이 멀기도 하지만 차라리 대행업체에 맡기는게 경비가 오히려
절감될 수도 있으니깐요.
그러나 대행업체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이 조상의 묘를 직접 관리하고 벌초하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은 하고 있구요
그러나 이들이 벌초를 할때는 대부분 정성을 다해 벌초를 합니다.
☞ 10~30대 : “왜 벌초를 해야 하는가?
정부에서도 화장을 권장하는데 화장하여 묘를 없애면 안되는가?”하는 의구심을 갖고 벌초를 합니다
벌초하러 오더라도 잔심부름이나하고 귀에는 이어폰을 꽂고 랩을 듣거나
휴대폰을 들고 산소주변을 배회하거나 그늘 밑에서 쉬겠죠.
그러나 벌초의 의미를 꼭 산소에 잡초를 제거한다는 의미보다
바쁜일상생활에서 만나기 힘든 친척들과 1년에 한 번씩이라도 만나서
가족 집안끼리 공동체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잖아요,
10년이면 세대차이 난다는 시대는 가고 1년도 세대차이가 난다는 시대에
세대 간의 문화 충돌을 절충하여 그 간격을 좁혀주는 장이 되었으면 좋구요
조상을 소중하게 모셔야하는 의미와 자신의 뿌리를 되새겨보는
기회의 장이 된다는 좋은 의미로 생각하였으면 합니다
또 언론 매체를 통해서 보니 자식들이 벌초가 귀찮아서
산소를 세멘트 포장을 해버리는 곳도 보았는데
그건 정말 해서는 안될 불효라는 생각이 드네요
산소관리가 힘들어 죽어도 못하겠다면 차라리 자연으로,
자연과 함께 지내시도록 그대로 두는게 낫지 않을까요. 참 안타깝네요
조상산소에 풀을 벤다는 벌초의 의미와 유래는? 현대판 명당조건은?
오늘은 우리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내고 묘를 깨끗하게 해준다는 벌초,
이 벌초의 의미와 시기, 예로부터 전해오는 풍습과 벌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전통예절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희회사와 우리회사, 저희동네와 우리동네등 저희와 우리 차이점? 및 절대 저희라면 안되는 말은? (3) | 2024.09.02 |
---|---|
제사상 술잔은 돌려야 하나? 안돌려야 하나? 만약 돌린다면 어떻게? (7) | 2024.08.27 |
애고~애고! 아이고~아이고! 등 장례식장 곡소리 유래와 다른 이유? (14) | 2024.08.02 |
성뒤에 사용하는 "씨 와 가" 무엇이 맞는지와 이들의 차이점/김씨,이씨와 김가,이가~~ (2) | 2024.07.20 |
삼복의 유래와 풍습, 시절음식, 복날 목욕하면 안되는 이유? (2)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