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라와 영감, 천한말이 아니고 극 존칭어..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우리가 사람간의 대화를 할때는 반드시 호칭이 필요한데요.
그 호칭중에 오늘은 마누라와 영감, 이 호칭에 대한
유래와, 경우에 따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옛날에는 아내가 남편을 부를 때 ‘서방님, 낭군, 나리’라 이렇게 불렀죠.
그리고 남편은 아내를 ‘각시, 마님, 부인’이라고 불렀고요
또, ‘자네’나 ‘임자’는 부부가 함께 쓰는 말이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남편과 아내를 ‘그이, 집주인, 신랑, 아이 아빠’, ‘내자, 집사람, 아이 엄마’등으로
누구 앞에서 지칭하느냐에 따라 그 호칭도 달라졌다고 합니다.
아직도 많이 쓰는 여보나 당신은 물론이고,
나이먹은 사람들이 주로 쓰는 여편네, 마누라, 영감.
이런 부부사이의 호칭은 왠지 어색해 보일때도 있는데요.
이건 요즘에 와서 구식 표현인 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그 호칭의 좋은 의미를 알고 나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데 그 의미를 알아볼까요.
바로, 부부가 인생의 가장 소중한 동반자라는 의미가 그 호칭들 속에는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요즘의 젊은 부부들은 ‘여보’와 ‘당신’을 즐겨씁니다. 그런데 그 의미는 제대로 알고 있을까요?
‘여보(如寶)‘는 한자로 ’같을 여, 보배 보‘로, ’보배와 같이 소중한 사람‘이란런 뜻이죠.
여보가 ’여기를 보오‘의 준말이라는 설도 있다네요.
마누라와 영감, 천한말이 아니고 극 존칭어..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또, 아내가 남편를 부를 때는 ’당신(當身)‘이라고 많이 하는데,
한자로는 ’마땅할 당, 몸 신‘ 이렇게 쓰죠.
이 말은 결국 ’내 몸과 같다‘는 뜻으로, 내 삶의 전부일만큼 소중한 존재라는 의미랍니다.
이처럼 ’여보‘와 ’당신‘이라는 호칭은 ‘내 몸과 같고,
내 삶의 전부’라고 할정도로 소중한 존재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여편네‘는 조선시대에서 사용하던 고리타분한 호칭이라는 생각을 들게 하나,
집단을 뜻하는 접미사 ’-네‘를 붙인 것으로,
남편의 ’옆‘에 있어서 ’여편네‘라는 말이 되는 것이죠
결국 ’옆편네‘가 ’여편네’로 된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여편네’는 결코 낮추어 부르는 호칭이 아니라,
남편의 옆을 지키는 아내를 부르는 말로써,
항상 옆자리를 지켜주는 ’동반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마누라’와 ‘영감’이라는 호칭은, 원래의 의미와 달리
허물없이 쓰이는 말로 변하다 보니 낮춤말이라는 오해(?)를 사는 것 같기도 합니다.
‘마누라’는 ‘마노라’가 변한 말인데요.
마노라는 아랫사람이 상전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이랍니다.
즉 '마노라'는, 높은 사람이 여자든 남자든 상관없이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었지요.
이렇게 남녀 구분을 떠나서 왕이나 왕후, 세자. 세자빈를 일컫는 극존칭이며,
대비 마노라, 선왕 마노라처럼 임금이나 왕후, 세자, 세자빈에 대한
가장 높이는 칭호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선 말기에 대원군이 며느리인 명성황후를 깍듯하게 ‘마노라’ 이렇게 불렀다고 하잖아요.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도무지 맞지 않는 호칭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이 호칭이 중년을 넘은 남편이 아내를 허물없이 부르는 호칭으로 변했구요.
남편이 자신보다 연령이나 지위가 높은 다른 사람에게
아내를 지칭할 때도 ‘마누라’라고 한답니다
마누라와 영감, 천한말이 아니고 극 존칭어..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또는 아내를 부를때는 ‘여보, 마누라!’ 이렇게 많이 쓰는데요.
‘영감’ 역시 마찬가지이죠.
할머니가 할아버지를 가리켜 '영감'이라고 부르는 것을 들어 봤지요?
남편을 '영감'이라고 부르는 것도 비슷한 경우예요.
'영감'은 원래 조선시대 종2품이나 정3품 당상관의 품계를 가진
관리를 높여 부르던 말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것이 부인이 남편을 부르는 말로 바뀐 것이죠.
불과 30여년전만 해도, 당시는 관선시대였기 때문에
지역의 시장군수로 젊은 고시출신들이 많이 왔고요,
고시출신의 젊은 판검사도 많았는데요.
이들 보고도 주민들이 영감이라고 부르기도 했답니다
‘영감’보다 높은 관직은 ‘대감’, 그 위에는 국왕의 존칭인 ‘상감’이 있었죠.
지금도 법조계의 높은 자리에 오른 사람을 보면 ‘영감님’이라고
머리를 조아리는 사람이 있을 정도입니다.
그러다가 신분제도가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늙은 부인이나 아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잖아요
그러다가 아내를 허물없이 부르거나, 다른 사람에게 얘기할 때
아내를 낮춰 일컫는 말로 까지 전락했다고 합니다.
‘영감’이라는 말 역시, 나이든 남자들을 함부로 대하는 의미로 바뀌고 말았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주변에서 부부사이는 호칭을 보면
그 부부의 친밀도를 알 수 있음을 볼수있죠.
이렇게 부부의 호칭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어떤부부던 서로 호칭만 잘 사용해도 관계가 좋아진다고 합니다.
그만큼 시대에 따라 부르는 호칭이 중요하다는 말이기도 하죠.
그래서 ‘마누라’와 ‘영감’의 원래 뜻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지금 시대에는 적합한 표현이 못되는 것이 참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러니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구요.
괜히 불러서 오해를 살 일은 안하는게 나을 듯 싶어집니다.
마누라와 영감, 천한말이 아니고 극 존칭어..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마누라의 어원에 대해서는 재밌는 이야기도 전해오는데요.
정확한 역사적 문헌이나 근거는 없지만
여담삼아 경상도에서 전해 내려온 이야기인데 어떤 내용일까요
경상도에서 전해오는 ‘마누라의 어원’을 소개하면 아주 먼 옛날 경상도 청년이 장가를 갔는데요.
첫날밤, 신랑이 먼저 누웠는데 신부가 옆에 와서 눕기를 기다렸는데요,
아무리 기다려도 신부가 수줍었는지 누울 생각을 안 하자 그만 애가 탔겠죠
그래서 신랑은 애가 탄 나머지 신부를 끌어당기면서 “마, 누우라! 마 누우라”라고 말했는데요
이때부터 전래가 되어 ‘마누라’ 라는 말이 탄생 되었다는 우스개소리도 있습니다.
마누라와 영감, 천한말이 아니고 극 존칭어.. 이말의 유래와 의미는?
오늘은 우리가 부르는 호칭중에 마누라와 영감,
이 호칭에 대한 유래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았구요.
경상도 지역에서 전해오는 마누라의 유래도 알아보았습니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