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절 및 상식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청하인 2023. 7. 5. 21:50
반응형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일곱번째 시간으로

경주최씨(慶州崔氏)-945,005명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경주최씨(慶州崔氏)는 진주강씨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통계조사 결과 945,005명으로 거의 100만명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경주최씨(慶州崔氏)는 우리나라 성씨(姓氏) 가운데서도

가장 오랜 역사(歷史)를 지닌 씨족(氏族)의 하나로서 역사상 수 많은

인재(人才)들을 배출한 전통(傳統)있는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오랜 역사의 흐름과 체험(體驗) 속에서 많은 특성(特性)을 남겼구요

 

역사상 선현(先賢)들이 이룩해 놓은 찬란한 업적(業績)에서 더듬어 볼 수 있는

최씨 특유(特有)의 기개(氣槪) · 강기(剛氣) · 신념(信念) · 절조(節操)등이 있다고 합니다.

최씨(崔氏)의 원조(元祖)는 신라(新羅) 건국(建國)의 전신(前身)인

사로(斯盧:서라벌)의 육촌(六村)중의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 사량부(沙粱部) 촌장

소벌도리(蘇伐道利)인데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기원전 57년경 조선(朝鮮)의 유민(遺民)들이

여러 산골짜기에 흩어져 살면서 여섯 마을을 이루고 있었는데

신라 3대 유리왕(儒理王) 9년(서기 32년) 봄, 6부를 개정하고,

 

알천양산촌장(閼川楊山村長 : 梁部) 알평(謁平)에게는 이씨(李氏),

돌산고허촌장(突山高墟村長 : 沙梁部) 소벌도리(蘇伐道利)에게는 최씨(崔氏),

무산대수촌장(戊山大樹村長 : 漸梁部) 구례마(俱禮馬)에게는 손씨(孫氏),

취산진지촌장(嘴山珍支村長 : 本彼部) 지백호(智伯虎)에게는 정씨(鄭氏,)

금산가리촌장(金山加利村長 : 漢祇部) 기타(祇陀)에게는 배씨(裵氏),

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長 : 習比部) 호진(虎珍)에게는 설씨(薛氏)의

성(姓)을 내려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구요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위의 6부 촌장들이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것으로 기록(記錄)하고 있습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그러나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소벌도리의 24세손인 최치원(崔致遠)이라고 합니다.

최치원을 1세조로 하는 경주최씨에서는 최치원의 첫째 아들

최승로(崔承老)의 후손에서 여러 본관으로 갈라졌다고 합니다.

다 아시다시피 최치원은 신라 말 최고의 학자라는 건 다 아시죠.

최치원을 시조로 하여 대대로 경주에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당연히 경주를 본관으로 삼았습니다.

 

최치원은 12살의 나이로 당나라에 건너가 17세 때 과거에 급제하였구요,

당나라에서 벼슬을 지내다 29살 때 귀국을 하였답니다.

신라에 와서도 한림학사 등 여러 벼슬을 지낸 그는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는데요.

‘동문선’또는‘최문창후전집’에서 그의 뛰어난 글을 볼 수 있답니다.

그 중에서도 당나라 말 황소의 반란 때 지은‘토황소격문’은

동양에서 최고의 문장으로 꼽힌다는건 다 아시죠.

 

당나라에서 신라에 귀국할 당시는 신라 말기로 지방 민란이 일어나는 등

민심이 동요되었지만 신라 지배층은 이러한 사회 동요를 수습할 능력이 없었습니다.

그는 선진 당나라에서 배운 지식을 토대로 사회개혁을 시도하였죠.

그러나 이미 힘을 잃은 신라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그는 자원하여 지방의 벼슬자리를 역임하였습니다.

그 후 지방에 호족이 대두하고 사회가 어려워지자 가야산 해인사에 들어가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여생을 마쳤습니다.

그의 문인 중에는 고려조에 들어가 관직에 오른 사람이 많답니다.

경주최씨는 고려 초에 가문의 최고번성을 크게 누리게 되는데요.

고려 성종 때의 명신 최승로, 그의 손자인 최제안, 최 량, 최 항 등이

연이어 높은 자리에 오르면서 가문을 빛낸 것이죠.

최치원과 비슷한 시기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고려 초 평장사를 지낸 최언위는 최치원의 사촌 동생인데요.

18세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42세에 귀국, 벼슬을 지내게 되었죠

 

935년 신라가 망하자 고려에 가서 태사사부가 되었죠.

당시의 귀한 자제들은 모두 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할 정도랍니다.

최승우는 진성여왕 4년(890년) 당나라에 건너가 공부하고 3년 뒤 급제하였구요.

당시 당에서 공부한 학사 중에 가장 문장이 능하여 유명했습니다.

그는 후삼국 시대에 후백제로 가 견훤을 위한‘대견훤기고려주서’를 썼으며

그건 지금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를 가리켜 ‘삼최’라 부르고 있죠.

최승로는 고려 성종 때 문하시중을, 최 항은 고려 현종 때 평장사를 지냈습니다.

수운 최제우의 본명은 복술인데요.

‘어리석은 세상 사람을 구제한다’는 신념에서 제우라고 고쳤다고 합니다.

일찍부터 경사를 익혀 학문 연구에 전심하다가

1844년부터 전국 각지를 유람하며 구도 행각에 나섰습니다.

10년 후 고향에 돌아와 도를 닦던 중 1855년 금강산 유점사 승려에게서 얻은

‘을묘천서’를 통해 도를 깨닫구요. 그 뒤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핵심으로 한

인내천의 교리를 완성하고 동학을 창시합니다.

해월 최시형은 1861년 동학교가 된 뒤 1863년 최제우의 후임으로 제2대 교주가 되구요.

정부의 탄압으로 최제우가 처형되자 태백산에 은신합니다.

다시 관헌의 눈을 피해 각 지방을 전전하며 포교에 힘썼으며 경전을 완성했습니다.

 

그리고 최 준은 경주시 교동에서 '최부자집'으로 이름났죠.

우리나라 한글 발전에 공헌했던 외솔 최현배(崔鉉培)도 후손입니다.

특히 경주시 교동에 자리한 <최부자(崔富者) 집>은 12대(代)동안

만석(萬石)군으로 살아 왔지만 벼슬은 9대(代) 진사(進士)만 한 집안으로 로 유명하답니다.

그는 우리말과 글의 발전을 위해 외길 한평생을 걸어온 학자로

주시경에서 시작된 한글 연구는 그에 의해 꽃이 피워졌구요.

최영해(한국교과서출판협회장), 최신해(청량리뇌병원장),

최철해(도서출판정음사사장) 씨 등 3형제는 그의 아들들이랍니다.

 

그 밖에 현대 인물은 최문환(서울대총장), 최경록(육군참모총장),

최용덕(공군참모총장), 최종환(삼환기업회장), 최준문(동아그룹명예회장),

최형우(국회의원), 최원석(동아그룹회장), 최영근(국회의원),

최영두(국회의원), 최희송(국회의원)등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모두 669명으로 문과 42명, 무과 89명, 사마시 166명,

역과 86명, 의과 54명, 음양과 15명, 율과 14명, 주학 203명 등이랍니다

 

이렇게 신라(新羅)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국난의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최씨(崔氏)들이 등장하여 나라에 공헌하였죠

구국(求國)의 대열에 앞장섰던 항일투사와 의병(義兵) 및 근대사회 발전에 공헌한

많은 최씨(崔氏)들의 거룩한 발자취는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명문(名門)인

최씨 가문의 자랑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항렬자는 32世 모(模) 규(圭), 33世 병(柄) 용(鎔), 34世 탁(鐸) 문(汶), 35世 래(來) 동(東),

36世 시(時) 선(先), 37世 용(鏞) 재(在), 38世 수(洙)탁(鐸), 39世 근(根) 한(漢),

40世 하(夏) 민(敏), 41世 성(聲) 식(植) 등이구요

주요파는 판도판서공파, 충열공파, 삼사좌윤공파, 어사공파,

밀성공파, 광정공파 등이 있습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경주 본관 성씨는 정말 많죠, 강(姜), 고(高), 공(孔)씨를 비롯하여,

곽(郭), 권(權), 기(奇), 길(吉), 김(金), 나(羅), 남(南), 노(盧), 노(魯), 도(都), 류(柳), 민(閔),

박(朴), 방(方), 배(裵), 백(白), 변(卞), 봉(鳳), 빙(), 서(徐), 석(石), 석(昔), 설(薛), 설(),

섭(葉), 성(成), 손(孫), 신(申), 신(辛), 심(沈), 안(安), 양(梁), 염(廉), 엽(葉), 영(永),

오(吳), 우(禹), 원(元), 유(劉), 유(兪), 윤(尹), 이(李), 임(林), 장(張), 전(全), 정(鄭),

정(程), 조(趙), 주(朱), 주(周), 지(池), 진(陳), 차(車), 채(蔡), 천(千), 최(崔), 추(秋),

편(片), 하(河), 한(韓), 함(咸), 허(許), 현(玄), 홍(洪), 황(黃) 등이있죠.

 

문헌(文獻)에 의하면 최씨는 387본(本)까지 기록하고 있는데

거의가 지명(地名)이고 실제 시조가 분명(分明)하게 확인된 것은 43본밖에 없다고 합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경주최씨의 주요 세거지로는

- 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동 일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일대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사곡리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금천리

-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일대

-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면 옥동리

- 경상남도 창원시 구산면 반동리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산동

-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중옥리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마래리(충렬공파)

- 함경남도 함주군 천서면 고양리

-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헌면 용응동

-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면 신덕리

-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용강리 등이랍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는 경주최씨의 유래와 특징!

오늘은 우리나라의 본관성씨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그 일곱번째 시간으로 경주최씨(慶州崔氏) 시조의 유래와 분파,

특징, 역대 주요인물, 집성촌, 유적지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하구요. 구독도 꼭 부탁합니다

 

 
반응형